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美 스마트폰 시장서 점유율 높이는 삼성...AI·폴더블 경쟁 심화

갤럭시 Z폴드7 시리즈 중 블루 쉐도우 색상(왼쪽)과 갤럭시 Z 플립7 시리즈 중 코랄레드 색상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신제품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폴더블폰이 삼성의 핵심 성장축으로 떠오르며 애플과의 격차가 좁혀지는 모습이다. 여기에 AI(인공지능) 기술 경쟁까지 더해지면서 양사 간 대결이 본격화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2분기 삼성전자의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31%로 전년 동기 대비 8%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애플의 점유율은 56%에서 49%로 7%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이에 대해 삼성이 다양한 가격대와 폼팩터를 제공한 경쟁력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한다.

 

특히 폴더블폰이 성장세를 타면서 화면 혁신을 둘러싼 양사의 경쟁 구도가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플립'을 선보였다. Z폴드7은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처럼 쓸 수 있다. 또한 접었을 때 8.9mm, 펼쳤을 때 4.2mm로 두께를 크게 줄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Z플립은 과거 접이식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아울러 Z폴드7은 삼성 폴더블폰 시리즈 중 가장 높은 사전 판매량을 기록했다.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삼성전자 미국 뉴스룸에 따르면 갤럭시 Z7의 미국 시장 초기 판매량은 전작 대비 25%이상 늘었으며 현지 이동통신사를 통한 예약 판매는 60% 이상 급증했다.

 

삼성전자의 2분기 출하량 또한 83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30만대 증가했다. 다양한 가격대의 '갤럭시 A 시리즈'가 판매량 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애플 또한 폴더블폰을 선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믹 채터지 JP모건 체이스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삼성의 Z 폴드와 경쟁하기 위해 내년에 아이폰 18 라인업 일부로 폴더블폰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스마트폰 시장 내 AI 기술 경쟁도 활발하다. 삼성전자는 지난 2월 출시한 갤럭시 S25시리즈에 퀼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 2억 화소 카메라 등 최고 사양을 적용하면서 지난해 선보인 AI 기능의 완성도를 높였다. AI에이전트 기능을 통해 AI가 사용자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여러 앱과 연동해 실행하는 등 사용자 중심의 실용적인 AI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애플은 AI기술을 자사 생태계와 결합해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애플은 시리(Siri)의 자연어 처리 능력을 개선해 직관적인 음성 인식을 지원하며 사진 편집 AI 기능을 추가했다.

 

일각에서는 애플이 오는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17 시리즈를 앞세워 반등을 꾀하는 가운데 높은 고객 충성도를 바탕으로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다는 관측도 따른다.

 

다만 삼성전자는 신제품 가격을 동결하거나 소폭 인상에 그친 반면 애플은 관세 영향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각이 제기된다. 결국 가격 부담과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시장 선점 효과를 돌파할 핵심 변수는 기술 혁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폴더블폰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대세로 자리 잡느냐 혹은 특정 프리미엄 세그먼트에 머무르느냐가 관건"이라며 "삼성의 기술력과 애플의 브랜드 파워가 맞붙는 구도가 향후 시장 흐름을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