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저출생에 학령인구 560만명선 붕괴…학생 1년 새 13만명 줄어

학교급별 학생 수/교육부 제공

저출생 여파로 전국 유·초·중·고 학생 수가 1년 새 13만여 명 줄며 학령인구가 56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반면 다문화 학생은 20만 명을 넘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교육부가 28일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유·초·중등 학생 수는 555만1250명으로 전년 대비 13만3495명(2.3%↓) 감소했다. 이 중 유치원생은 ▲48만1525명으로 1만7079명 줄었고, 초등학생은 234만5488명으로 14만9517명 감소했다. 중학생은 137만356명으로 3만7506명 늘었고, 고등학생은 129만9466명으로 4859명 줄었다. 기타학교 학생은 5만4415명으로 454명 증가했다.

 

학교 수는 전국 2만374개교로 전년 대비 106개교 줄었다. 유치원은 8141개원으로 153개원 감소했으나 초등학교는 6192개교로 9개교, 중학교는 3292개교로 20개교, 고등학교는 2387개교로 7개교 증가했다. 기타학교는 362개교로 11개교 늘었다.

 

학급당 학생 수는 ▲유치원 15.6명 ▲초등학교 19.3명 ▲중학교 24.9명 ▲고등학교 23.4명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전년 대비 0.7명 줄었고, 중학교는 0.4명 늘었다.

 

초·중등학교 다문화 학생 수는 20만2208명으로 전년 대비 8394명(4.3%↑) 증가해 전체 학생의 4.0%를 차지했다.

 

학업중단율은 1.1%로 전년 대비 0.1%p 상승했다. 초등학생 학업중단율은 0.7%로 변동이 없고, 중학생은 0.8%(1만216명)로 0.1%p 증가했으며, 고등학생은 2.1%(2만7065명)로 0.1%p 올랐다.

 

교원 수는 50만6100명으로 전년보다 3142명(0.6%↓) 감소했다. 유치원 교원은 5만5223명으로 181명 줄었고 ▲초등학교 교원 19만3071명( 3527명 감소) ▲고등학교 교원 12만8333명(1103명 감소)이다. 반면 중학교 교원은 11만6046명으로 1266명 늘었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유치원 8.7명 ▲초등학교 12.1명 ▲중학교 11.8명 ▲고등학교 10.1명으로 조사됐다.

 

고등교육기관 수는 421개교로 전년 대비 1개교 감소했다. ▲일반대학 189개교 ▲교육대학 10개교 ▲전문대학 130개교 ▲대학원대학 44개교 등이다. 전체 재적학생은 301만6724명으로 9482명(0.3%↑) 증가했고, 대학원 재적학생은 35만1774명으로 9449명(2.8%↑) 늘었다. 신입생 충원율은 86.8%, 재학생 충원율은 104.2%로 각각 전년보다 상승했다.

 

학교급별 다문화 학생 수/교육부 제공

외국인 학생은 25만3434명으로 4만4472명(21.3%↑)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7만6541명(30.2%) ▲베트남 7만5144명(29.7%) ▲우즈베키스탄 1만5786명(6.2%) ▲몽골 1만5270명(6.0%) ▲네팔 1만2784명(5.0%)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기관 교원 수는 24만624명으로 3644명 증가했으나 전임교원은 8만6701명으로 617명 줄었다. 전임교원 확보율은 ▲일반대학 90.3% ▲교육대학 73.8% ▲전문대학 63.5%로 모두 하락했다.

 

교육부는 "저출생으로 학령인구 감소세가 심화돼 교육환경 변화와 구조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다문화 학생 증가 추세는 학령인구 구성의 다양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