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벤츠코리아, ‘G-클래스 스트롱거 댄 더 1980 에디션’ 출시

G바겐 W460 헌정 기념해 총 460대 제작

메르세데스-벤츠 G 클래스 스트롱거 댄 더 1980 에디션./벤츠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가 G-클래스 첫 모델을 헌정하는 한정판 'G-클래스 스트롱거 댄 더 1980 에디션'을 국내에 선보였다. 이번 에디션은 지난 1979년 출시된 G-클래스와 1980년대 W460 시리즈를 오마주해 제작됐으며, 전 세계 460대 중 한국에는 단 25대만 판매된다.

 

벤츠 코리아는 4일 서울 서초구 HS효성더클래스 방배 서비스센터에서 'G-클래스 스트롱거 댄 더 1980 에디션' 출시 기념 사진 행사를 열고 'G-클래스 스트롱거 댄 더 1980 에디션'을 공개했다.

 

포토세션 현장에는 1980년대와 각기 다른 특별한 인연을 가진 스타들도 참석했다. 1980년대 전성기를 누린 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차범근', 1980년대생으로 한국인 타자로는 최초 메이저리그 올스타에 선정된 전 야구선수 '추신수', '응답하라 1988'이라는 1980년대 배경의 시대극에서 연기를 선보인 배우 '이동휘'가 자리해 차량과 시대적 의미를 함께 소개했다.

 

차범근 전 축구감독은 "1980년대 초반 독일에서 '겔렌데바겐(Gelandewagen, 길이 없는 지역을 다니는 차)'이라 불리던 G-클래스를 처음 접했고, 1988년 제 첫 G-클래스를 갖게 됐다"며 "1989년에 귀국하면서 그 차를 함께 가져와, G-클래스는 한동안 한국에서 유일하게 저만 타고 다니는 차였다"고 설명했다.

 

지난 1979년 첫 출시 후 1980년대에 온로드와 오프로드 성능을 결합한 독창적인 매력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첫 G-클래스 모델 시리즈 W 460를 헌정해 제작된 한정판 모델이다. 차량은 G 450 d와 G500 두 가지 버전으로 전 세계 총 460대 생산되며, 그 중 한국에는 G 450 d 모델 25대가 판매된다.

 

G-클래스의 독보적인 첨단 기술 및 주행 성능에 지난 1980년대 W460 시리즈의 대표 모델인 280 GE에서 차용한 3가지 역사적인 색상과 독창적인 디자인 요소, 그리고 특별한 장비 등을 적용했다. 당시 G-클래스 최초 컬러 옵션 중 하나였던 '마누팍투어 아가베 그린'(10대), '마누팍투어 크림'(10대), '마누팍투어 콜로라도 베이지'(5대) 등이다.

 

또한 방향지시등은 지난 1980년대 전형적인 오렌지 색상이 특징이다. 빈티지한 외관을 완성하기 위해 차량 전면, 라디에이터 그릴, 범퍼, 휠 아치 및 외부 미러 하우징은 초기 G-클래스의 인상을 반영하는 나이트 블랙 마그노 색상으로 마감했다.

 

보닛에는 파란 배경에 메르세데스-벤츠 로고와 월계관 문양을 적용한 역사적인 엠블럼 디자인을 얹었고 차량 후면 문에는 지난 1980년대 메르세데스-벤츠 로고와 에디션 전용 스페어 휠 커버를 장식했다.

 

내부 검은색 가죽 시트 중앙에는 당시 인기 있던 비둘기 빛 회색 체크 패턴 직물을 적용했다. 전면 도어 실 패널에는 오스트리아 그라츠 근처 '쇼클' 산의 지형도를 적용했는데, 이는 1979년부터 G-클래스가 뛰어난 오프로드 성능을 입증해온 테스트 트랙을 상징한다.

 

또한 나파 가죽으로 둘러싼 다기능 스티어링 휠, 슬라이딩 선루프, 부메스터 3D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등 G-클래스 고객들의 선호가 높은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탑재됐다. 'G-클래스 스트롱거 댄 더 1980 에디션' 가격은 2억1820만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