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백화점부터 편의점까지, 쉴 곳 만드는데 주력하는 유통업계

마트 내 상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스타필드마켓/뉴시스

대형마트, 백화점 등 유통업계가 매장에 휴식 공간을 마련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상품 구매를 위해서 뿐 아니라, 휴식이나 산책 등을 위해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면서 영업 면적 안에 체류형 휴게 공간을 점차 확대하는 추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최근 경산에 스타필드마켓 4호점을 선보였다. 지난해 8월 죽전에 1호점을 선보인 이래 빠른 속도로 점포가 증가하고 있다. 스타필드마켓은 매장의 핵심 공간을 휴식이 있는 커뮤니티 라운지로 꾸민 체류형 복합 공간이다. 매장 내에 휴식 공간인 북그라운드가 있는 게 특징이다. 북그라운드에선 따로 커피를 주문하지 않아도 가만히 소파나 의자에 앉아 쉴 수 있다. 경산점은 205평에 달하는 큰 북 그라운드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타필드마켓은 새 단장 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8월 개점한 스타필드마켓 죽전점은 올해 2분기 매출과 방문객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104%, 82% 증가했다. 올해 6월 문을 연 일산점은 1달 간 매출이 39%, 방문객 수는 67% 늘어났다. 동탄점은 지난 7월 31일 개장 후 2주간 매출이 52%, 방문객 수는 18% 증가했다.

 

더현대 서울은 영업 면적의 절반 가량을 상품 판매 공간이 아닌 고객 휴게 공간으로 채웠다. 사운즈 포레스트, 폭포, 벤치 등 쇼핑 중간 공원처럼 휴식할 수 있는 장소가 많다. 2023년 매출 1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최근 전주점을 새 단장한 후 1층에 휴식할 수 있는 복합 공간을 마련했다. 시그니처 카페가 있어 쇼핑하면서 동시에 쉴 수 있는 공간이다.

 

CU는 올해 여름 전국 점포를 폭염 대피소로 운영하며 물건을 구매하지 않아도 휴식할 수 있도록 운영했다. 어린이, 임산부, 노약자 등 취약계층을 포함해 모든 사람이 쉬어갈 수 있도록 했다.

 

최근 트렌드 미디어 '캐릿'은 이처럼 본래 기능을 유지하고 쉴 수 있는 요소를 갖춘 공간을 '냅 스페이스(Nap Space)'라고 정의했다. 체험형 팝업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피로감을 느낀 소비자들이 도심 속 휴식 공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휴식 공간이 고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늘어나는 이유를 두고 업계에선 고객들이 온라인 공간과 다른 차별점을 둔 공간을 찾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장을 보는 것 자체는 온라인 마켓에서도 가능한 만큼 추가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장소를 찾는다는 것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고객들이 휴식이나 다른 즐길거리를 위해 방문했다가 자연스럽게 장을 보는 것까지 연결되는 것을 지향한다"며 "고객이 오프라인 매장까지 오게 만드려면 상품 구매 외에 다른 특별한 요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