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830℃ 불길 속 전력 지키는 케이블…LS전선 국내 첫 상용화

시공 단순화·공간 절감·안전성 강화

LS전선이 국내 최초 MV 내화 케이블을 상용화했다./LS전선

고전력 설비가 밀집한 AI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공장, 초고층 빌딩과 대형 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안전은 물론, 현장 작업 인력의 안전까지 강화할 수 있는 내화 케이블이 개발됐다.

 

LS전선은 국내 최초로 국제 신규 내화 기준(IEC 60331-4)을 충족한 MV(중전압) 내화 케이블을 상용화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830℃ 고온에서도 전력 공급이 가능해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대규모 다중이용시설 등 고전력 인프라에 최적화됐다. 내화 케이블은 화재 시에도 일정 시간 전력을 유지해야 하는 비상 전원, 피난 설비, 소방 시스템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기존에는 국내 표준이 없어 일반 케이블에 방화 도료와 덕트를 씌우는 복잡한 시공 방식을 사용해야 했다. 이로 인해 공간·비용 부담은 물론, 높은 곳에서의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도 컸다. LS전선의 신제품은 케이블 하나로 기존 3단계 공정(케이블+도료+덕트)을 대체해 시공을 간소화하고 설치 공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무엇보다 현장 작업 인력의 안전성을 크게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LS전선은 지난해 12월 MV 내화 케이블 국제 표준 제정과 동시에 국가 공인인증기관의 성능 평가를 완료하고 곧바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번 성과는 국내 전선업계가 그동안 해외 규격에 의존해왔던 내화 기술 분야에서 자립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공장이 전국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내화 케이블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S전선 관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 첨단 시설 확산에 맞춰 전력 인프라의 안정성과 시공 효율을 동시에 높이며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이번 제품을 시작으로 내화 케이블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국내 시장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수주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LS전선은 지난 2019년 업계 최초로 LV(저압)급 고내화 케이블에 대해 '국가 재난안전제품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이 제품은 950℃에서 180분간 전력 공급이 가능해, 일반 제품(830℃·120분) 대비 화재 골든타임을 1.5배 이상 확보할 수 있다. 이번 중전압급 신제품까지 더해지면서 저압부터 중전압까지 전압 전 구간을 아우르는 내화 케이블 풀라인업을 갖추게 됐고, LS전선은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프로젝트 수주와 해외 파트너십 확대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