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LNG선 10% 유휴에도… 美·카타르 증산으로 성장세 지속 전망

해외 증산 프로젝트에 발맞춘 LNG선 발주 확대 전망
노후 선박 교체 수요도 국내 조선업체에 기회

현대중공업의 고성능 가스처리시스템을 탑재한 17만6000 입방미터급 LNG운반선./현대중공업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하 LNG선) 시장이 최근 공급 과잉과 운임 약세 상황이지만, 앞으로 북미 대형 LNG 프로젝트와 노후 선박 교체 수요가 맞물리며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 전망이 밝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비영리단체 기후솔루션(SFOC)와 업계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LNG선 약 60척이 운항되지 못한 채 유휴 상태다. 이는 전체 선대의 약 10% 규모로 좌초자산으로 환산하면 약 108억 달러(약 15조 원)에 달한다. 올 상반기 LNG선 발주는 대형 8척, 중형 LNG벙커링선 6척에 그치며 전년 대비 77.8% 감소했다.

 

유휴 LNG선은 단기적으로 해운사에 부담을 주지만 미국과 카타르 등 주요 LNG 생산국의 증산 계획이 본격화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또 늘어나는 물량을 소화하기 위해 해운사들이 신규 선박 발주에 나서고, 이 과정에서 한국 조선사에 발주될 가능성이 높다.

 

SK증권리서치센터는 글로벌 LNG 시장이 오는 2035년까지 연평균 3~4%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도 미국 LNG 수출량이 지난해 하루 11.9억 입방피트(11.9Bcf/d)에서 오는 2030년 21.5Bcf/d로 약 80%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북미에서만 기초설계 단계 프로젝트가 21개(130MTPA·연간 1억 3000만 톤)이며 이를 운송하기 위해 LNG선 238척이 필요하다. 제안 단계까지 포함하면 최대 382척이 요구된다

 

카타르도 생산능력을 지난해 77MTPA에서 오는 2027년 126MTPA, 2030년 142MTPA로 확대할 방침이다. 최근 발표한 'North Field West(NFW)' 프로젝트만 해도 174K CBM(약 17만 4000㎥)급 LNG선 20척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노후 선박 교체 수요도 본격화되고 있다. 올해 폐선된 LNG선은 11척으로 역대 최다였으며, 전체 선대의 13.1%가 선령 20년 이상이다. 특히 스팀터빈 추진 선박(215척· 25.4%)은 효율이 낮아 조기 폐선 가능성이 크다. 신규 발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업계 관계자는 "북미 LNG 프로젝트에 필요한 선박은 미국의 대중 제재와 항만 규제 등을 고려하면 한국 조선 3사에 발주될 가능성이 크다"며 "실제 규모는 프로젝트 최종투자결정(FID)에 달렸지만 수요 자체는 확실하다"고 말했다.

 

오대균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교수는 "수소·바이오에탄올 등 대체연료는 인프라와 비용 문제로 한계가 있다"며 "현실적으로 LNG가 가장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이 높은 연료다. 국내 조선업체들이 주도권을 쥔 LNG선 시장은 여전히 밝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