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MZ세대, '셀프 케어'로 건강관리 혁신… 식품업계도 발빠른 대응

'저속노화(슬로 에이징)' 식단과 맞춤형 운동을 병행하는 흐름이 확산하면서, 식품업계도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서고 있다./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MZ세대의 건강 관리 방식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단순히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을 넘어, 일상 속에서 스스로 실천하는 '셀프 케어(Self-care)'를 중심으로 체중·자세 관리, 균형 잡힌 식단까지 생활 전반으로 확장되는 모습이다. 단백질과 수분뿐 아니라 탄수화물과 지방까지 골고루 챙기는 '저속노화(슬로 에이징)' 식단과 맞춤형 운동을 병행하는 흐름이 확산하면서, 식품업계도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서고 있다.

 

맞춤형 영양제·건강기능식품 섭취는 기본이 됐다. 오픈서베이의 '건강 관리 트렌드 리포트 2025'에 따르면 20~30대 응답자의 절반 이상(약 56%)은 건강기능식품·영양제를 꾸준히 섭취하고 있으며, 홈트레이닝·필라테스·PT 등 소규모 운동을 꾸준히 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4명은 수면·활동량을 기록하는 앱이나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기반의 일상적 관리로 건강을 '생활 습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건강을 개인의 라이프스타일 일부로 적극 관리하는 '웰니스(Wellness)' 소비 성향을 잘 보여준다.

 

소비 인식도 달라졌다. MZ세대의 건강 관련 구매 기준에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보다 '가심비(가격 대비 만족감)'를 중시한다는 응답이 60%를 넘었다. 특히 원료 투명성(43%), 친환경·비건 등 가치 소비(38%)가 제품 선택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단순히 유명 브랜드보다는 신뢰할 수 있는 품질 관리와 윤리적 요소가 소비의 기준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국내 식품업계는 '셀프 건강관리(Self-care)' 트렌드를 새로운 성장 축으로 삼고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면역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개인 맞춤형 소비가 보편화되면서 기존 식품기업뿐 아니라 편의점·카페 업계까지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우선 대기업들은 맞춤형 영양제·건강기능식품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CJ제일제당, 대상그룹은 각각 헬스케어 전문 자회사를 출범하거나 기능성 브랜드를 확대하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CJ제일제당은 2022년 제약·헬스케어 전문 자회사 'CJ바이오사이언스'를 공식 출범시키며 바이오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2021년에는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천랩을 인수하며 맞춤형 헬스케어 기반을 마련했다. 같은 해 1월에는 건강사업부문을 분리해 'CJ웰케어'를 설립, 건기식부터 개인 맞춤형 건강 솔루션까지 아우르는 전문 기업으로 도약했다.

 

대상그룹 역시 건기식과 균형 영양식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대표 브랜드 '뉴케어'를 중심으로 시장 영향력을 넓혀온 데 이어 2017년에는 자회사 '대상웰라이프'를 출범해 헬스케어 전문성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저속노화(슬로 에이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제 곡물과 단순당을 줄이고 통곡물과 채소, 단백질을 중심으로 한 식단이 주목받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정희원 노년내과 교수가 제안한 'MIND 식단' 역시 이런 흐름과 맞닿아 있다. 흰쌀·밀가루, 가공 떡·빵·면류, 설탕·탄산음료 등 고혈당 식품은 최소화하고, 귀리·현미 같은 통곡물, 콩류, 견과류 등 복합 탄수화물을 활용해 혈당 상승을 완화하는 방식이다.

 

이같은 건강 이슈 확대는 곧바로 식품업계의 제품 전략으로 이어지고 있다. 업계 전반에서 칼로리·지방을 줄이되 맛은 유지하는 '로우스펙(Low Spec)' 제품군이 잇따라 출시되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풀무원의 식물성 지향 브랜드 '풀무원지구식단'은 대표적으로 '제로면' 라인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두유면'은 85㎉ 저칼로리 제품이면서도 고식이섬유·고칼슘 성분을 갖춰 인기를 끌고 있다. 수요가 공급을 웃돌자 생산 라인 증설에 나섰으며, 두부면·곤약면까지 제로면군을 확대해 주력 제품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즉석밥 시장에서 잡곡·콩·퀴노아 등을 활용한 웰니스 햇반 신제품을 선보였다. '서리태 흑미밥', '렌틸콩퀴노아 곤약밥', '병아리콩퀴노아 곤약밥' 등으로, 간편성과 영양을 동시에 잡아 건강한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자를 겨냥했다. 회사 측은 앞으로도 웰니스 제품군을 확대해 시장 입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제 소비자들은 건강을 '특별한 관리'가 아니라 일상식 속에서 챙기는 습관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식품기업이 기능성·웰니스 요소를 얼마나 자연스럽게 결합하느냐가 향후 경쟁력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