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수도권인구 8년 연속 순유입...교육·취업 탓 청년층의 서울·경기행 지속

/뉴시스

 

 

수도권 인구가 8년째 순유입을 나타냈다. 특히 비수도권 태생의 청년층이 취업 및 교육의 이유로 서울·경기·인천으로 향하는 상황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는 41만8019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전출한 인구는 37만2850명으로 이보다 적었다.

 

작년 한 해에만 4만5169명이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것이다. 수도권 인구는 2011년 순유출로 돌아섰다가 중앙행정기관·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서 2017년에 다시 증가(순유입)로 복귀했다.

 

수도권 순유입 규모는 2017년(+1만6006명)에 비해 2018년(+5만9797명)과 2019년(+8만2741명), 2020년(+8만7775명)에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이후 2021년에 +5만5697명, 2022년 +3만6643명, 2023년 +4만6869명, 2024년 +4만5169명 등이다.

 

수도권 인구 집중의 주 원인으로 청년층의 수도권 내 취업·교육이 꼽힌다.

 

지난해 40~64세 중장년층 인구는 수도권에서 1만7983명 순유출됐다. 이에 비해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청년층(19~34세) 인구는 중장년에 비해 훨씬 많은 6만1490명에 달했다. 청년층 인구는 2004년부터 작년까지 21년째 순유입, 중장년층 인구는 2007년부터 18년째 순유출을 기록했다.

 

한편 수도권 지역 중 서울은 인구가 순유출되고 경기는 순유입되는 현상이 지속됐다.

 

지난해에도 서울 인구는 4만4692명 순유출, 경기는 6만4218명 순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2023년(-3만1250명)에 비해 유출 규모가 커졌고 경기는 2023년(4만4612명)에 비해 유입 규모가 확대됐다. 인천의 경우 2017~2020년 인구가 순유출됐다가 2021년부터 2024년(2만5643명)까지 4년 동안은 순유입됐다.

 

다만 청년층의 경우 서울·경기·인천 지역에서 모두 인구가 순유입됐다. 지난해 서울로 순유입된 청년층은 2만8010명으로 2016년 이후 9년째 증가를 기록했다. 인천은 7745명, 경기는 2만5735명을 나타냈다.

 

지난해 영남권(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인구는 3만4000명, 호남권(광주·전남·전북·제주)에서 순유입된 인구는 1만4000명이었다. 반면 중부권(대전·세종·강원·충북·충남)으로는 수도권 인구가 3000명 순유출됐다.

 

청년층은 영남권(3만1000명), 호남권(1만7000명), 중부권(1만3000명)에서 모두 수도권으로 순유입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