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전자, 폴드폰 美시장 고전에 제품군 다양화로 대반격 나선다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플립7. / 삼성전자

미국과 중국의 휴대폰업체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에서 점유율을 키워나가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의 입지가 주춤한 가운데 신제품 출시와 제품군 다양화로 반응을 노리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제조사별 점유율은 화웨이가 45%로 1위를 차지했으며 모토로라는 28%로 2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전년 동기 대비 점유율이 반토막 나며 9%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러한 흐름은 미국 시장에서도 뚜렷하다. 모토로라는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미국 플립형 폴더블폰 시장에서 점유율 78%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22%를 기록했다. 모토로라의 신작 '레이저60'시리즈의 클림셸 모델이 인기를 끌면서 출하량 규모가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삼성전자가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지난 2021년 81%, 2022년 79.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2023년 들어 중국 업체들의 가성비 공세에 밀리며 55.1%로 떨어졌고 2024년 32.9%까지 하락했다.

 

모토로라가 미국 폴더블폰 시장에서 점유율을 끌어올린 배경으로는 '가성비 전략'이 꼽힌다. 모토로라가 레이저 시리즈에 기본 모델 기준 699달러라는 저렴한 가격을 책정해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끌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7월 판매호조로 연간 점유율은 회복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7월 선보인 갤럭시Z폴드7·플립7을 앞세워 점유율 반등을 노린다는 전략이다. 특히 내년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 진입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폴드8 제품 라인업을 다각화해 선제 대응에 나설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내년 차기 갤럭시Z플립8과 함께 두가지 Z폴드 8모델을 출시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특히 화면을 두 번 접는 '트라이폴드'폰이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모델은 '스마트폰·태블릿 하이브리드'라는 새로운 영역을 제시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6.5인치 커버 스크린과 10인치 내부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휴대성과 대화면 경험을 제공한다. 아울러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 최대 16GB램, 1TB 저장공간, 고성능 카메라를 지원하면서도 무게와 두께를 줄여 기존 대화면 기기의 단점을 보완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18:18 화면비를 적용해 정사각형에 가까운 '와이드폴드'폰도 출시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술적·제품적 우위를 선점하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폴더블폰 시장에서는 가격 경쟁력 확보와 제품 완성도가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며 "프리미엄급에 머물러 있는 가격을 낮추고 힌지 내구성과 화면 주름 문제 등 여전히 남아 있는 개선 요구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