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실적시즌 불장 기대감...'어닝 서프라이즈' 종목은?

코스피 3분기 영업이익 상향 흐름...77~78조원 전망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실적 주도...'깜짝실적' 기대감

ChatGTP로 생성한 '증시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 관련 이미지.

최근 증권가가 '제2의 삼성전자' 찾기에 분주하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깜짝 실적(3분기 영업이익 12조원대)을 낸 뒤 상승세다. 글로벌 관세 전쟁과 경기 침체 우려로 실적 개선 기업의 희소성이 높아지면서 실적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코스피 기업들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약 78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성장이 예상된다. 시가총액 1·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할 경우, 약 57조원으로 성장률도 7.2%로 줄어든다.

 

NH투자증권 역시 지난 12일 기준 코스피 3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를 77조5000억원 수준으로 잡았다. 최근 20영업일 동안 8% 상향 조정된 결과다. 업종별로는 반도체(9.0%), 에너지(6.2%), 건설(4.6%), 디스플레이(38.7%) 업종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3분기 실적 기대감이 가장 높은 업종은 단연 반도체다. 통상적으로 코스피는 3분기에 부진한 실적 흐름을 보여 왔지만, 올해는 반도체 업황의 슈퍼 사이클이 본격화된 만큼 전반적인 분위기를 이끌고 있는 것이다. 김종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역사적으로 코스피의 3분기 실제 영업이익은 추정치 대비 다소 부진한 경우가 많았지만, 이번 3분기는 반도체 호황 국면에 해당하기 때문에 실제 실적이 추정치에 부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3분기 실적 시즌 개막과 함께 성적표를 공개한 삼성전자는 분기 최대 매출을 발표하며 '깜짝 실적'을 내놓았다. 삼성전자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은 86조원으로 분기 매출 최초로 80조원을 넘겼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1.81% 증가한 12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예상치를 17.4% 상회한 것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도 10조9142억원으로 55.25% 성장이 예상된다. 분기 최초 영업이익 10조원 돌파다.

 

기업들의 실적 기대감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코스피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실적시즌에 진입한 가운데, 견조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에 따른 변동성은 비중확대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제언했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를 포함해 디스플레이, 조선, 상사 등에 대한 주목을 언급한다. 하나증권은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 업종군으로 디스플레이, 반도체, 상사 등을 꼽았으며, 교보증권에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상사·자본재 등을 언급했다. 한국투자증권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건설, 호텔·레저 등을, 현대차증권은 반도체, 유틸리티, 디스플레이, 조선, 상사 등을 제시했다.

 

정상휘 교보증권 연구원은 "3분기 이익 컨센서스의 상향 추세가 크게 나타난 업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기계, 상사·자본재, 증권 업종"이라며 "과거 동분기와 비교해 볼 때, 높은 성장세가 뚜렷하게 나타난 이상 5개 업종이 실적 기대감을 높인 일등공신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별 종목으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포스코퓨처엠, 대덕전자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이외에도 유진투자증권은 삼성전기, 한화솔루션, SK, 유한양행 등을 제시했으며, 교보증권은 현대로템, 하나금융지주, LG화학, 크래프톤, 미래에셋증권, 현대글로비스, 에코프로비엠, 에이피알 등을 예상했다. 하나증권은 대웅제약, 파마리서치, 키움증권, 산일전기, 한국금융지주, LG이노텍, 더존비즈온 등을 제안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