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서울 ADEX 2025 개막…‘우주·AAM’ 품은 K-방산 미래전 돌입

성남·고양서 첫 분산 개최…35개국 600개 기업 참여
정부, 오는 2027년 방산수출 200억달러 목표 정해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가 17일 경기도 성남에서 개막했다./이승용 기자

국내 최대 항공우주·방위산업 전시회인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가 개막했다. 올해로 15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우주'와 '첨단항공모빌리티(AAM)'를 핵심 주제로 내세워 미래 항공우주산업과 K-방산 수출 확대 전략을 함께 조명할 예정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ADEX 2025는 오는 24일까지 8일간 서울공항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된다. ADEX는 홀수해에 매년 10월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방위산업·항공우주 전시회다. 해외 군·기업 관계자, 바이어가 참여해 수출 계약이 체결될 수 있는 박람회이자 외교 무대로 꼽히고 있다.

 

올해 ADEX는 처음으로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와 성남시 서울공항 두 곳에서 분산개최된다. ADEX는 그간 성남 서울공항에서만 열렸다. 하지만 올해는 제32차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국가원수 및 국빈들이 서울공항을 이용으로 전시 장소가 조정됐다.

 

서울공항에서는 오는 19일까지 일반 국민 대상 퍼블릭 데이를, 20~24일에는 킨텍스에서 실내외 전시와 세미나, 수출상담회 등이 진행된다.

 

올해 전시회에는 35개국 600개 기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해외에서는 미국·호주·독일·프랑스·캐나다 등 주요국이 국가관을 설치하고, 록히드마틴·보잉·RTX·GE·엘빗 등 글로벌 방산기업이 대거 참여한다.

 

이번 행사의 핵심은 새로 신설된 '신기술관'이다. 공동운영본부는 올해 ADEX의 중점 목표를 '우주 경제 인식 제고'와 'AAM 산업 진흥'으로 제시했다. 2260㎡ 규모의 신기술관은 파리 에어쇼의 '우주관'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이곳에는 재사용 발사체 실물 모형, AAM 실물기체, 우주농장(스페이스 팜), 우주쓰레기 회수 장치 등이 전시된다. 우주항공청은 심우주 탐사 중장기 계획을 국토교통부는 AAM 운용 인프라 구축 방안을 각각 소개한다.

 

정부는 이번 ADEX를 계기로 K-방산 수출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해 57억 달러(약 8조 원)였던 방산 수출을 오는 2027년까지 200억 달러(약 28조 원)로 확대해 세계 4위권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방위사업청도 연구개발·시험평가·품질보증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홍보관을 운영하며 국산 무기 수출 경쟁력을 알린다.

 

이강희 서울 ADEX 2025 공동운영본부장은 "서울 ADEX는 국민과 산업이 함께 참여하는 항공우주 전시회로 발전하고 있다"며 "산업계에는 기술 교류의 장으로, 청소년에게는 진로 탐색의 기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