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스마트공장 구축 中企 절반 'AI 도입 필요'…'비용 부담'에 주저

중기중앙회, 502개사 'AI 도입 의견 조사'…'1억 이상 투자' 10곳 중 3곳
47.4%, 제조공정에 AI 도입 '필요'…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 '직접 지원'
'인력 부족'등의 이유로 10곳 중 6곳만 제조 공정 데이터 수집·활용·분석

 

*자료 :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들의 절반 가량이 제조 공정에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초기 비용 부담' 등의 장벽 때문에 주저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AI 투자에 1억원 이상을 쓰겠다는 곳은 10곳 중 3곳에 그쳤다. 아울러 정부에 바라는 1순위 요구로는 '직접 자금 지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런 가운데 10곳 중 6곳만 스마트공장을 운영하면서 제조 공정 데이터를 수집해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내용은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5년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중소 제조기업 502개사를 대상으로 'AI 도입에 대한 의견조사'를 실시해 19일 내놓은 결과에서 나왔다.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의 47.4%가 제조 공정에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보수적인 답변인 '보통'까지 포함하면 응답기업의 78.5%가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모습이다. 도입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이 높을수록 도입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컸다.

 

AI 도입이 가장 어려운 이유로는 '초기 비용 부담'(44.2%)과 '전문인력 부족'(20.5%), 'AI 기술을 어떻게 공정에 적용할지 전략 부족'(14.9%) 등을 주로 들었다.

 

비용 부담 때문에 1억원 이상을 AI 도입에 투자하겠다는 답변은 31.1%에 그쳤다. 나머지 68.9%는 투자금액이 '1억 미만'이라고 답했다.

 

AI 도입시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복수응답)으로는 '직접적 자금 지원'이 72.3%로 가장 많은 가운데 ▲AI 전문 컨설팅(21.9%) ▲전문인력 양성 지원(19.3%) ▲신뢰성 높은 AI 공급기업과 매칭 지원(16.7%) 등을 희망했다.

 

아울러 중소기업들은 AI 도입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 '품질관리'(33.9%), '생산 최적화'(32.3%), '공정 자동화'(31.9%) 등을 주로 꼽아 생산 현장의 효율성 제고, 품질향상에 대한 요구가 큰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응답기업들의 54.6%는 정부가 'AI팩토리'와 같은 AI 기반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신설하면 '적극 참여하겠다'고 답해 관련 지원사업에 대한 기대가 컸다.

 

한편,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통해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실제 활용 여부에 대해선 응답기업의 77.1%가 '잘 활용하고 있다'고 답해 전반적으로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

 

스마트공장 구축 결과로 가장 만족하는 것은 ▲생산성 증가(42%) ▲작업환경 개선·산업안전 향상(36.1%) ▲공급망 관리·재고 관리 효율성(25.5%) ▲품질 향상(25.3%) ▲원가절감(14.9%) 순으로 높았다.

 

제조 공정 데이터를 수집·활용·분석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절반 가량이 '담당자·전문인력 부재'라고 답했다.

 

중기중앙회 양찬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스마트공장의 실제 활용도나 데이터 수집·분석 현황 등이 업체별 공장 수준과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AI 대전환을 위한 제조 AI 도입 지원 뿐만 아니라 기초 수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도 지속하는 투 트랙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