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바이어들은 확실한 타격을 원한다. 그래서 재밍(전파 교란)으로 대응이 안 되는 경우엔 하드킬(직접 요격)로 잡을 수밖에 없어 그런 체계를 지원하고 있다. 맞춤형으로 설계 가능하며 진화하기위해 계속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23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현장에서 만난 현대로템 관계자의 말이다. '맞춤형 전차'라는 표현은 이번 ADEX 2025 전시장의 흐름을 압축해 놓았다.
실제 전시장 곳곳에는 '맞춤형', '인공지능(AI)', '자율'이라는 단어가 도처에 새겨져 있었다. 각국 바이어들이 부스 앞에서 기술 설명을 경청했고, 기업 관계자들은 운용 환경과 위협 양상에 따라 달라지는 '맞춤형 설계' 방안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전시장을 둘러보면 B2B 미팅이 잇따라 열리는 모습도 쉽게 관찰됐다.
한화그룹 전시관은 이러한 변화 흐름을 집약적으로 보여줬다. 진입로를 중심으로 'A'자 형태로 배치된 부스에서 그룹 계열사들이 육·해·공 전장을 아우르는 통합 미래 체계를 선보였다. 한화오션은 17m급 모듈형 무인수상정(USV)을 선보였다. 동일 플랫폼에서 무인잠수정(UUV), 공중정찰발사대(UAB), 로켓 모듈을 교체하며 임무를 전환할 수 있는 구조다. 위성통신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스텔스(저피탐) 형상과 12.7mm 원격조종무장(RCWS)을 갖췄다.
한화시스템은 중거리(M-SAM)에서 장거리(L-SAM) 요격체계로 이어지는 다층 방공체계를 전시했다. 탄도미사일 요격까지 목표로 설계돼 M-SAM의 일부 장비는 이미 수출·양산 단계에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호주 '레드백' 장갑차의 완전 국산화(오는 2028년 목표) 계획을 밝히며 중동 등 해외 수출 시장을 적극 공략 중이라고 강조했다.
현대로템은 육상 플랫폼 분야에서 '맞춤형 전차'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수출형 K2 전차(K2PL) 전시모형에는 폴란드군이 요구한 현지형 장비(RCWS, 드론 대응용 소프트킬·하드킬 체계, 능동방어체계)가 탑재됐다. 위협 환경에 따라 진화하는 플랫폼으로 개발 방향이 옮겨가고 있다.
하늘로 시선을 옮기면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유·무인 복합체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줬다.
대한항공은 KF-21 전투기와 함께 작전하는 저피탐 무인편대기(U-UCAV) 및 3종의 소형 무인기를 공개했다. 정찰·전자전·타격 기능을 결합한 플랫폼으로 내년 비행시험을 통해 유·무인 복합작전 개념을 현실화할 계획이다. KAI는 KF-21의 공대공 무장 통합 시험 완료와 내년 공대지 무장 통합 시험 착수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에는 무인기와 편대 운용이 가능한 완전 혼합체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LIG넥스원은 다층 방공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L-SAM-천궁-해궁-신궁으로 이어지는 위협 차단 레이어를 구성했다. 대드론 드론(드론을 요격하는 드론) 기술도 눈길을 끌었다. 시속 200~250km로 접근해 충돌로 상대 드론을 무력화하는 방식으로, 자율체계가 전장 방어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줬다.
파블로항공과 사브(SAAB) 등 중소·해외 방산기업의 전시도 같은 흐름 위에 있었다. 파블로항공은 정찰·공격 기능을 결합한 소형 자폭 드론 전술체계를 선보였다. 다수의 저가형 기체를 군집 투입해 목표를 포위·타격하는 개념으로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사브는 대전차 무기(AT4·Carl-Gustaf )를 내놓았다. 전차의 두꺼운 장갑면 대신 상부를 노려 관통력을 높이는 '맞춤형' 전술 장비로, 전장의 세분화된 전투 개념을 상징했다.
전시장을 한 바퀴 도는 동안 느낀 것은 단 하나였다. 전차나 미사일, 전투기보다 그 모든 것을 연결하고 통제하는 기술이 중심에 섰다는 점이다. 각 체계가 인공지능과 자율운용 알고리즘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엮이고 있었다. 모듈·자율·데이터, 그리고 '맞춤형'이 네 단어가 전시장을 지배했다.
ADEX 2025 현장은 한국 방위산업이 향하는 방향을 선명히 보여줬다. 전장의 복잡함만큼 요구는 세분화되고, 기술은 정교해지고 있다. '맞춤형 전차의 시대'그 말은 이제 현장 전체를 설명하는 문장이 됐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