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전기차, 효율을 넘어 브랜드의 시대로…테슬라·폴스타·BYD 새로운 소비 기준 제시

2026년형 폴스타 4.

국내 전기차 시장이 감성적 가치 수요 중심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은 과거 유지비 절감과 보조금 지원이 소비자 선택의 핵심 요인이었지만, 최근에는 가격 효율성, 주행 성능, 브랜드 경험이 전기차 선택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29일 EV 트렌드 코리아 2025 조사에 따르면 '연료비 절감(60.2%)'이 여전히 가장 큰 장점으로 꼽혔지만, '주행 퍼포먼스(12.7%)'와 '디자인(6.4%)' 등 감성적 가치 요인이 빠르게 비중을 높이고 있다. 전기차가 더 이상 경제적 대안에 머물지 않고, 브랜드 경험과 감성적 만족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집계에서도 이 흐름은 뚜렷하다. 2025년 3분기(7~9월) 수입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총 3만3946대, 9월 한 달간은 1만2898대가 판매되며 시장 성장세를 이끌었다.

 

이 가운데 테슬라·폴스타·BYD 등 순수 전기차 브랜드가 시장을 견인했다. 세 브랜드는 전체 수입 전기차 등록의 약 81%를 점유하며, 단순한 판매 경쟁을 넘어 전기차 시장의 소비 가치와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의 기준을 새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테슬라 모델Y/테슬라코리아

테슬라는 가격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판매량을 늘려가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달 모델 Y 주니퍼(8361대)의 흥행에 힘입어 총 9069대를 판매하며 수입차 전체 판매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저가형 트림 모델 Y RWD가 전체의 88.3%(7383대)를 차지하며 가격 경쟁력 전략의 핵심 역할을 했다.

 

스웨덴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는 퍼포먼스와 고급화 등 프리미엄 전략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폴스타 대표 모델 폴스타 4는 9월 한 달간 361대, 올해 누적 1881대를 판매하며 6000만원 이상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폴스타 4는 프리미엄 전기 SUV 쿠페로 최고출력 544마력, 최대토크 686Nm, 제로백 3.8초의 강력한 퍼포먼스를 갖췄다. 또 나파 가죽 시트, 통풍·마사지 기능, 일렉트로크로믹 루프 등 고급 사양을 통해 감성적 만족도를 높이며 단순한 성능 경쟁을 넘어섰다. 폴스타는 최근 전기차 소비 트렌드가 가치 소비로 확장되는 움직임에 맞춰 2026년 폴스타 3와 폴스타 5를 출시해 럭셔리 전기차 라인업을 완성할 계획이다.

 

BYD 씨라이언7.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는 실속형 모델로 대중화에 나서고 있다. BYD는 9월 한 달간 1020대를 판매하며 처음으로 월 1000대 고지를 돌파했다. 신형 씨라이언 7이 전체 판매의 80%를 차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씨라이언 7은 4490만원대의 합리적인 가격에 중형 SUV급 차체(전장 4830㎜)를 갖춰 테슬라 모델 Y보다 약 800만원 저렴하면서도 공간성과 실용성을 강화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전기차 시장은 보조금의 시대에서 '가치의 시대'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며 "전기차는 이제 유지비 절감 중심의 친환경 이동수단을 넘어 브랜드 경험의 무대이자 라이프스타일의 선택지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