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전기차 화재사고 '0' 외친 현대차 BMS 믿어도 될까?

기자수첩

'전기차 화재 언제쯤 안심할 수 있을까?'

 

지난달 29일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한 오피스텔 지하 2층 주차장에서 충전 중인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당시 불길은 빠르게 번졌고 검은 연기가 계단과 복도, 엘리베이터를 타고 위층으로 퍼지며 주민 100여명이 대피했고 15명이 연기를 마셔 병원으로 옮겨졌다.

 

지난해 인천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이후 다양한 완성차 업체들이 선제적으로 차량에 적용한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앞다퉈 공개한 지 2년이 채 되기도 전에 또다시 문제가 됐다.

 

특히 이번 전기차 화재는 그동안 배터리 안전 기술을 강조해온 현대차그룹의 차량이라는 점에서 회사의 신뢰도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기술'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공개했다. BMS는 배터리를 전체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배터리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담한다. BMS는 높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를 총괄하는 역할을 하는 만큼 전기차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현대차·기아는 BMS의 역할 중 하나인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정밀 '배터리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해 배터리 이상 징후 발견 시 신속하게 탐지, 위험도 판정, 차량 안전제어를 수행하게 되고 필요시에 고객에게 통지함으로써 더 큰 문제로의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적용했다고 했다.

 

문제는 이번 화재 차량의 차주에게 알림 메시지가 갔지만 이는 당시 오피스텔 경비가 차량 화재를 확인하고 119에 신고한 뒤 진행됐다는 점이다. 차량의 배터리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신속한 알림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당시 차주에게 알림이 갔지만 이미 해당 오피스텔 경비가 차량 화재를 인지하고 신고한 상태였다"고 사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물론 정부의 정밀 감식과 조사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지만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쌓아가기 위해서는 제조사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전기차 화재 사고로 불안감을 갖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전기차에 대한 신뢰를 심어줬으면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