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영상pick] 홈플러스, 세금 700억 원 미납…"유동성 한계 직면"

 

image

홈플러스가 전기요금에 이어 700억 원 규모의 세금도 미납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회생 절차 돌입 이후 경영 정상화에 난항을 겪으면서 유동성 위기가 심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회생 절차 개시 9개월 만에 세금과 공공요금 체납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사실상 '유통 대형사 붕괴'의 위기 신호가 현실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현재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재산세, 지방세 등 700억 원 규모의 세금을 납부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8월과 9월 전기요금 미납분이 220억 원 가량 더해지면서 체납 총액은 920억 원 수준에 달한다. 한국전력공사 규정상 3개월 이상 전기요금을 내지 않으면 공급이 중단될 수 있어 일부 점포 운영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으며, 이후 매출이 전년 대비 20% 이상 급감한 상태다. 납품사 물류 공급망이 원활히 돌아가지 않고 대금 정산 주기가 짧아지면서 현금 흐름이 빠르게 악화됐다. 그 결과 본사뿐 아니라 협력사, 점포 단위에서도 자금 압박이 확산되고 있다.

 

홈플러스는 법원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지난 10일 회생계획안 제출을 앞두고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 등 두 곳이 인수의향서를 냈지만, 이들이 실제로 자금 조달 능력을 입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홈플러스는 "26일까지 투자확약서(LOC)를 제출해야 하는데, 인수 의향 기업들이 자금 확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인수 절차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서울회생법원은 홈플러스에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12월 29일까지 연장했다. 이는 다섯 번째 기한 연장으로, 그만큼 법원도 내부 유동성 상황과 M&A 진행 속도를 면밀히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홈플러스가 현금 유입 없이 버티기 어려운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본다. 유통업 특성상 영업이 중단되면 고객 이탈이 가속화되고 협력사 납품이 끊겨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다. 한 유통업 관계자는 "미납 세금이 쌓이는 것은 사실상 현금이 바닥났다는 의미다. 홈플러스가 버틸 수 있는 시간은 길지 않다"며 "유통 대기업이 무너질 경우 납품 중소업체와 소비자 피해로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응에 나섰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홈플러스 사태를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며 관계 부처와 협조해 원만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 개입만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를 계속 끌 경우 브랜드 신뢰도가 급락해 인수 희망자들의 의지도 약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12월 말까지 실질적인 투자자 확약이 이뤄지지 않으면 파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