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이탈리아 발폴리첼라 '알레그리니'
먼저 포도가 완전히 익을 때까지 기다린다. 늦게 수확한 포도는 세심하게 말린다. 포도에서 수분이 절반 가량 빠져나가면서 당도, 산도, 복합미가 응축된다. 이탈리아 발폴리첼라에서 아마로네 와인을 만드는 전통적인 방식 아파시멘토다. 건포도로 만들었으니 알코올은 높고 진득한 와인을 상상하면 오산이다. 농밀한 과실의 풍미는 얻었지만 산도는 살아있고, 타닌은 부드럽다. 아마로네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와이너리 알레그리니의 아마로네다.
이탈리아 발폴리첼라를 대표하는 와이너리 알레그리니의 아시아 지역 매니저 엘리아 아초리(Elia Aztori)는 최근 한국을 방문해 "알레그리니는 아마로네 양조방식과 스타일 모두에서 혁신을 거듭해왔다"며 "2023년부터는 가문의 7세대가 알레그리니 경영을 맡아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이탈리에서 어느 지역인지를 보자. 지도를 떠올려 장화 모양의 입구 부분인 북부 베네토다.
아마로네 와인은 잘만 만들면 이탈리아 3대 와인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인정을 받지만 문제는 포도를 말리는 아파시멘토 과정이 만만치 않다는데 있었다. 우리나라와 달리 발폴리첼라의 겨울은 비가 많이 오고 습해 포도에 곰팡이가 생기는 일이 잦았다. 포도 손실률이 40%에 달하다 보니 가격은 올라가고 품질 역시 떨어졌다. 이때 대대적인 투자에 나선 곳이 알레그리니다. 공기 순환이 잘 되는 최첨단 건조 시설을 만들었더니 포도 손실률은 1%대로 뚝 떨어졌다. 품질은 높아지고, 생산량도 늘었다. 발폴리지역 전체가 아파시멘트에 대해 새로운 희망을 갖게 된 순간이다.
알레그리니의 새로운 세대가 꾀한 혁신은 클라시코와 토착품종에 대한 집중이다. 지역 전체에서 생산된 포도로 만든 와인은 발폴리첼라 DOC, 석회암 점토와 화산토로 구성된 구릉지대는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DOC로 따로 구분된다. 기존 발폴리첼라 와인은 더 이상 알레그리니의 레이블을 달고 나오지 않는다 .
기다렸던 만큼 아마로네 먼저 맛본다. 역시 강렬함보다는 우아함과 균형감이 먼저다.
'알레그리니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2020'은 코르비나를 주품종에 론디넬라, 오셀레타 등을 섞었다. 말린 자두와 검은 체리같은 과실에 다크초콜릿과 향신료 뉘앙스가 복합적이다. 입 안 전체를 가득 채우지만 타닌은 부드럽고, 산도도 명확하다. 잡티없는 깔끔함이 고급스럽다.
'알레그리니 발폴리첼라 클라시코'가 발폴리첼라라는 지역을 잘 보여주는 와인이라면 '알레그리니 팔라쪼 델라 토레'는 알레그리니의 가치를 입증하는 와인이다.
어떻게 하면 와인을 더 맛있게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하던 알레그리니는 기존 고정관념을 모두 깨버렸다. 포도의 70%는 일반 레드 와인 방식으로, 30%는 아마로네와 같은 아파시멘토 방식으로 건조해 각각 숙성한 뒤 블렌딩했다. 쉽게 말하면 발폴리첼라에 아마로네를 더한 것. 잘 익은 과실미가 살아있으면서도 향신료향 등 풍미는 복합적이고, 산도가 살아있다. 지금은 알레그리니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는 대표 와인이다.
'알레그리니 소아베 2024'는 토착 화이트 품종인 가르가네가로만 만들었다. 알레그리니는 원래 레드 와인만 생산했는데 15년 전쯤부터 화이트 와인 산지로 유명한 소아베와 루가나 등에 투자해 화이트 와인을 본격 만들기 시작했다. 앞으로는 화이트 와인도 인기가 높아질 것이란 예측이 딱 맞아 떨어졌다. 이전에는 샤르도네도 일부 섞었지만 새로운 세대는 토착 품종에 좀 더 집중하기로 했다.
화사한 흰꽃 향기와 함께 아로마로도 화산성 토양에서 비롯된 미네랄이 충분히 느껴진다. 신선하고 쨍한 산미와 함께 뒷맛이 깔끔하다. 와인만 마시기도, 해산물이나 샐러드, 치즈 등과 같이 내놔도 좋을 와인이다.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