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블프' 코앞인데 날벼락...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에 비상

의류 1100만점 보관된 국내 최대 패션 물류센터 불타, 4분기 실적 빨간불
이랜드, 천안 대신 부평·오산 등 대체 물류 투입... 정상화 속도전

천안 이랜드물류센터에 난 화재를 진화 중인 모습/뉴시스
화재와 무관하게 스파오 명동점에서 아우터 페스타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손종욱 기자
스파오 제품을 선보이는 무신사 홈페이지, 17일 오후 1시 기준 1453개 제품 중 10개 제품을 제외하고 모두 품절처리돼 있다/무신사

블랙 프라이데이를 앞두고 이랜드패션에 악재가 닥쳤다. 아시아 최대 규모인 천안 패션물류센터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물류망이 마비되면서 연중 최대 성수기인 4분기에 피해를 입은 건 물론 이랜드 브랜드가 입점한 주요 패션 플랫폼 연말 행사에도 비상이 걸렸다.

 

17일 유통업계와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이어진 천안 패션물류센터 화재로 인해 이랜드패션은 의류 이월 재고 및 가을·겨울(FW) 상품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천안 패션물류센터는 패션 물류를 처리하는 물류센터 중 국내 최대 규모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19만3210㎡(약 5만8000평), 축구장 27개 넓이에 달하는 초대형 물류 거점으로 스파오, 뉴발란스, 후아유 등 10개 브랜드 상품 1100만 점이 보관돼 있었다. 구조물을 중장비로 해체하며 불씨를 정리해야 하는 만큼 완전 진화까지는 1주일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 화재는 주요 패션 플랫폼이 블랙 프라이데이 행사를 시작한 시점에 발생해 더욱 뼈아프다. 무신사는 이달 16일, 지그재그, 에이블리, 4910은 이달 17일부터 대규모 할인 행사를 시작했지만 이랜드 브랜드 상품은 물류 문제로 인해 주문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이 날 오후 1시 기준 무신사 스토어에선 이랜드의 SPA 브랜드 스파오 제품 1453개 중 99.31%에 달하는 1443개 제품이 품절 처리돼 있어 주문이 되지 않았다. 뉴발란스도 등록된 제품 611개 중 39.6%인 242개가 모두 품절 상태다. 무신사 측은 공지와 함께 "현재 무신사로지스틱스를 통해 별도로 보관·배송되는 일부 풀필먼트 상품만 정상적으로 운영 중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패션업계 특성상 할인 행사가 몰려 있고, 고단가 아우터 등이 판매되는 4분기에 실적이 집중된다는 점 역시 악재다. 지난해 이랜드그룹 지주사인 이랜드월드의 연결 기준 실적을 보면 4분기 매출액은 1조6187억원, 영업이익은 1176억원으로 분기 중 가장 높았다. 지난해 1분기에서 3분기까지 평균 매출이 1조2777억원, 영업이익 512억원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4분기가 한 해 실적을 좌우하는 상황이다.

 

패션 부문은 이랜드그룹의 핵심 사업이기도 하다. 이랜드월드의 패션 부문은 올해 3분기 누적 매출 4조9443억 중 51%에 달하는 2조5311억원을 기록할 정도로 그룹 내 비중이 절대적이다.

 

이랜드그룹은 비상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랜드 관계자는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물류 인프라와 의류 재고가 소실되는 피해가 있었다"며 "현재 국과수에서 CCTV를 확보해 화재 원인을 규명 중"이라고 밝혔다.

 

이랜드 측은 대체 물류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 관계자는 "인근의 이랜드리테일 물류센터를 비롯해 부평, 오산 등 그룹 관계사의 물류 인프라와 외부 물류 인프라를 임차해 정상화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품 공급에도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랜드는 "전국 매장에 이미 겨울 신상이 대부분 출고된 상황이며, 신상품은 항만 물량을 어느 정도 확보해 대응이 가능하다"면서 "자가 공장의 생산 속도를 높이는 등 영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대응 중"이라고 전했다.

 

온라인 주문 고객에 대해서는 "일부 주문은 취소 처리된 상황이며, 매장 및 타 물류 인프라를 통해 발송 가능한 상품은 금일부터 순차적으로 출고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예정돼 있던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는 브랜드별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