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D램 부족은 시작일뿐…HDD·낸드·SSD 컨트롤러까지 '전방위 쇼티지' 경고

美 실리콘모션, 台 에이데이타 경영진, 수급 불안정 경고

서울특별시 가산동 KT AI 데이터센터 전경./뉴시스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D램을 넘어 저장장치 전반의 공급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인공지능(AI) 서버 중심의 스토리지 수요가 기존 메모리 사이클을 상회하는 속도로 증가하면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낸드플래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컨트롤러 등 주요 품목에서 가격 상승 현상이 동시에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 실리콘모션과 대만 에이데이터 경영진이 연이어 시장 경고를 내놓으면서 내년부터 공급 불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AI 데이터센터 증설은 스토리지 수요를 구조적으로 바꾸고 있다. 대규모 AI 학습·추론 환경을 운영하기 위해 하이퍼스케일러(초대형 클라우드·데이터센터 사업자)들이 최신 규격인 NVMe SSD 뿐 아니라 HDD 투자 역시 동시에 확대하고 있으며 장기 원천데이터 저장용 HDD 발주량도 빠르게 늘고 있다. 실리콘모션 최고경영자 월리스 쿠는 지난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 서버와 데이터센터향 수요가 상당한 생산능력을 선점하고 있다"며 "HDD와 낸드플래시, HBM 등 일부 제품군에서 2026년도에 공급이 타이트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공급 압박은 부품·모듈 단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HDD는 플래터와 모터 등 핵심 부품 리드타임이 길어지며 생산 대응 여력이 제한적인 상황이고 낸드플래시는 감산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용량 제품 수요가 늘어 공급 조정이 쉽지 않다는 평가다. SSD 컨트롤러 역시 성숙공정 기반 파운드리 공급 여건이 부족해지면서 일부 고객사의 내년·후년 물량 소화가 부담스러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만 에이데이터 사이먼 첸 회장은 지난달 간담회에서 "AI 데이터센터가 HDD와 SSD, 낸드를 동시에 흡수하는 것은 업계를 오래 경험한 입장에서도 드문 흐름"이라며 "메모리 전반에서 공급이 빠듯해지는 조짐이 있다"고 말했다.

 

HBM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D램 전체 웨이퍼 배정 구조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는 점 역시 꾸준히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 제조사들이 동일한 D램웨이퍼에서 HBM용 투입 비중을 높일 경우 범용 D램 공급 여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품목별 병목 지점은 다르지만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가 공통적인 수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저장장치 전반의 가격 변동성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한편 국내 기업들 역시 스토리지 수급 리스크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0월 미국 샌호세에서 차세대 낸드 스토리지 제품군을 발표하며 고용량 SSD와 AI 인프라 수요 대응을 위한 설계·제조 전략을 명확히 했다. 삼성전자 역시 최근 평택 V8 낸드 라인의 가동률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이재성 중앙대학교 AI학과 교수는 "AI 데이터센터는 비단 GPU와 HBM 같은 연산 자원으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SSD·HDD 스토리지, 네트워크, 냉각, 전력 등 다양한 요소가 연결돼 있는 종합 시설이다"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