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르포]거대한 실험장…정저우에서 본 BYD의 진짜 속도

중국 EV 심장에서 본 속도·규모·전환의 현장
도시급 공장에서 확인한 중국식 확장 전략

정저우에 위치한 BYD 공장 모습./BYD코리아

BYD 정저우 공장은 공장보다는 도시라는 느낌이 강했다. 부지 면적 10.67㎢, 축구장 1500개가 들어간다는 설명이 낯설지 않을 만큼 거대한 철골 구조물이 끝없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지난 2021년 9월 착공 후 17개월 만에 가동을 시작했다는 설명을 들었을 때는 믿기 어러웠지만, 직접 현장을 둘러보니 BYD가 지난 몇 년간 얼마나 빠르게 기업을 확장했는 지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프레스·용접·도장·조립뿐 아니라 배터리·모터·시트 등 차량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을 단지 안에서 생산한다. '수직계열화의 끝판왕'을 실물로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프레스 공장을 지나 용접 공장에 들어서자 공기 자체가 달라졌다. 뜨거운 열기와 금속의 미세한 떨림이 바닥을 타고 올라왔고, 눈앞에는 길게 이어진 라인들과 로봇팔들이 기자단을 반겨줬다.

 

BYD는 공장 자동화율을 강하게 강조했다. 용접 공장은 98% 자동화됐다는 설명이 반복해서 귓가에 맴돌았다.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길게 뻗은 약 300m 라인에는 25~30명의 작업자가 일정 간격으로 서 있었다. 로봇이 차체를 집어 고정시키고 레이저가 용접을 이어가는 동안, 사람들은 각 지점에서 간격을 다시 맞추고 결합부를 확인하는 등 흐름에 맞춰 미세한 조정을 반복했다.

 

자동화가 전면에 배치돼 있음에도 라인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마지막 단계는 여전히 사람의 감각과 몸이 맡고 있었다. 특히 서로 다른 차종이 동시에 생산되는 혼류 라인에서는 사람의 개입이 더 두드러졌다. 멀리서 보면 완전 자동화 공정처럼 보이지만 가까에서 보면 '스마트 공정 전환이 진행 중'이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 있어 보였다.

 

/BYD코리아

다만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생산의 속도만큼은 확실히 느껴졌다. BYD 측은 "1분에 친환경차 1대, 3초에 배터리 1개가 생산된다"고 강조했다.

 

지난 2023년 20만대였던 정저우 공장의 연간 생산량은 지난해 55만대로 늘었고, 단지 전체에는 약 6만 명이 근무한다.

 

그러나 그 대규모 숫자와 속도 뒤편에는 미묘한 정체감도 공존했다. 조립라인에서는 중형 전기 SUV '송L'과 중형 PHEV 픽업 '샤크6'가 생산 중이었지만, 멈춰 있는 라인도 곳곳에 보였다. 퇴근시간이 가까웠다는 설명이 있었지만 최근 중국 내 전기차 공급 과잉과 내수 시장 포화가 현장에도 스며들어 있다는 느낌도 받았다.

 

디스페이스에 위치한 각국 내연기관 판매 종료 문구./BYD코리아

BYD가 지난해 10월 첫 체험형 전시관으로 세운 '디스페이스(Dispace)'는 또 다른 느낌을 줬다. 총 4층, 1만5000㎡ 규모의 공간은 공장에서 느낀 묵직한 공기와 달리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브랜드의 성과가 담긴 현장이었다. 하루 평균 방문객이 1000명에 달하고, 누적 방문객이 44만 명을 넘어섰다는 설명이 공간 곳곳에서 체감됐다.

 

배터리 제조 8대 공정을 투명 구조물로 재현한 기술 전시층에서는 관람객들이 모형과 영상 앞에 몰려 있었다. 벽면에는 '등록 특허 5만9000건, 발명 특허 3만5000건 이상'이라는 숫자가 크게 적혀 있었는데, BYD 스스로 기술기업으로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의지가 드러났다.

 

1층 글로벌 전략 전시존에서는 BYD의 성장 속도가 단순한 '급성장'이 아니라 '폭주에 가까운 확장'이었음을 다시 실감하게 된다. 지난 2020년 이전까지만 해도 연간 50만대를 넘기기 어려웠던 회사가 2022년 186만대, 2023년 427만대까지 판매량을 늘렸다. 블레이드 배터리의 상용화, 공격적인 신차 투입, 정부 지원책이 맞물리며 전기차 산업 전반의 흐름을 완전히 바꿔놓은 것이다.

 

그러나 올해는 분위기가 조금 다르다. BYD는 내수 둔화와 정부의 강도 높은 가격 경쟁 규제 등으로 연간 판매 목표를 550만대에서 460만대로 낮췄다. 그럼에도 유일하게 꺾이지 않은 지표가 있다면 수출이다. 지난해 41만7천대였던 수출은 올해 100만대에 육박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정저우 공장에서 본 압도적인 생산 역량과 디스페이스에서 확인한 기술·브랜드 전략을 떠올리면, BYD가 앞으로 내수보다 해외에서 더 큰 승부수를 띄울 것이라는 전망은 충분히 설득력을 갖는다.

 

중국 전기차 산업의 속도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어 있고 정저우 공장과 디스페이스를 잇는 공간은 BYD가 여전히 '중국 EV 산업의 심장'으로 뛰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줬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