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이 첨단 산업 분야 전문인력 수요 확대에 대응해 해외 대학과의 공동학위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호서대학교는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이 영국 공립 런던브루넬대학교(Brunel University of London)와 글로벌 공동학위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인공지능(AI)·디지털 마케팅 분야 인재 양성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런던브루넬대는 2024년 기준 QS 세계대학순위 342위의 연구중심대학이다. 특히 경영대학원은 인공지능(AI),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디지털 마케팅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며 혁신적인 교육 시스템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양 대학이 공동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총 2년 과정의 이학석사(MSc) 복수학위다. 세부 전공은 △조직 내 AI 응용과 규제·관리·분석을 아우르는 'AI 전략 과정(MSc AI Strategy)' △데이터 분석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 전문성을 강화하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디지털마케팅 과정(MSc BI & Digital Marketing)'으로 구성된다.
학생들은 호서대에서 6개월간 기초 전공을 이수한 뒤 런던브루넬대에서 1년간 전문 교육을 받고 다시 호서대로 돌아와 연구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모든 과정을 마치면 양교의 석사학위를 각각 취득하게 된다. 첫 신입생은 내년 9월 입학하며 영국 파견은 2027년 1월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협약식에서 강준모 호서대 글로벌부총장은 "호서대는 지역 거점대학으로서 첨단 전략산업 분야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해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하빈 런던브루넬대 교수는 "데이터 분석과 AI 분야에 강점을 가진 런던브루넬대는 이번 공동 프로그램을 통해 호서대와 교류 협력을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권영일 호서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은 "양교 공동학위 협약은 국내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글로벌 기술경영 인재 양성의 새로운 이정표"라며 "학생들이 해외 선진대학 경험을 통해 K-MOT(한국형 기술경영)의 영역을 확장하고 기업 연계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호서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은 지난 4월 산업부 '글로벌첨단전략산업 기술경영 전문인력양성사업' 선정과 동시에 '글로벌 공동학위 지원 프로그램'에도 추가 선정돼 지역산업과 첨단 전략산업 분야에 기여할 글로벌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중앙대, 6개국 대학과 글로벌 가상융합대학 얼라이언스 공식 출범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가 한국이 강점을 지닌 IT 기반 융합 교육 모델을 해외 대학과 공동 개발·확산하기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공식 출범한다.
중앙대는 오는 25일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글로벌 가상융합대학 얼라이언스(Global Virtual Convergence College Alliance)'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얼라이언스는 AI 기반 학습 확산과 K-교육에 대한 글로벌 관심 증대 등 고등교육 환경의 구조적 변화 속에서, 한국 대학이 새로운 교육 모델을 주도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구성한 첫 국제 협력 체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중앙대는 한국이 보유한 콘텐츠·IT 경쟁력을 기반으로 실감미디어·AI 등 융합 교육을 해외 대학과 공동 운영하는 구조를 도입해 K-교육의 해외 확산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출범식에서는 ▲IT 기반 실감미디어 교육 콘텐츠 공유 ▲마이크로디그리 등 대학 간 공동 교육과정 개발 ▲AI 교육 플랫폼 연동 등 중점 협력 방향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더불어민주당 전용기·김준혁·조인철 의원실과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실이 공동 주최하며,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후원 기관으로 참여한다.
얼라이언스에는 베트남 우정통신기술대학교(PTIT), 태국 치앙마이대학교(CMU),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ITB), 헝가리 모홀리-나기예술공과대(MOME),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UKM), 키르기스스탄 살림베코프대학교(SU) 등 6개국 주요 대학이 우선 참여한다. 참여 대학들은 한국의 IT 융합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공동 교육과 교육 플랫폼 연계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참여 대학 확대 등 얼라이언스의 글로벌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위정현 중앙대 가상융합대학 학장은 "한국은 IT와 콘텐츠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융합 교육은 전 세계 대학들의 관심이 가장 높은 분야"라며 "실감미디어·AI 기반 K-교육 모델을 체계적으로 확산해 한국이 미래 고등교육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외대 임주원 교수팀, 이종접합 반도체 광전극으로 차세대 광전지 효율 향상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정운)는 임주원 공과대학 반도체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중국 동북석유대학교 환왕(Northeast Petroleum University Huan Wang)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변환 기술로 주목받는 광전화학(photoelectrochemical, PEC) 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신개념 반도체 광전극(photoanode)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임 교수팀은 몰리브덴 도핑 텅스텐 산화물(Mo–WO₃)과 세륨 산화물(CeO₂)을 결합해 S-scheme 이종접합(heterojunction)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광전자와 정공의 분리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로써 기존 광전극의 주요 한계였던 전하 재결합 손실(recombination loss)을 획기적으로 억제하고, 빛을 이용한 고효율 전력 생산이 가능함을 입증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Mo–WO₃/CeO₂ S-scheme 복합체 광전극은 과산화수소(H₂O₂)를 매개로 하는 신형 광전화학 전지(H₂O₂ PEC cell)에 적용되어, 기존 WO₃ 기반 전극 대비 4배 이상 높은 H₂O₂ 생성 효율과 2.55배 향상된 전력 밀도(5.79 mW/cm²)를 달성했다. 또한 해당 전지는 57,834 mF/cm²의 초고용량 커패시턴스(capacitance)와 12시간 동안 54% 용량 유지율을 보여, 광에너지 변환과 동시에 에너지 저장 및 전력 공급 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올인원(All-in-one) 에너지 시스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와 같은 성능 향상은 Mo 도핑에 따른 산소 결함(oxygen vacancy) 생성과 S-scheme 내부 전기장 기반의 효율적 전하 이동 경로 덕분으로, 반도체의 밴드 구조 제어를 통해 전자공학적 설계 개념을 광전화학 시스템에 융합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임주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반도체 소자의 전하 이동 제어와 결함공학(defect engineering) 개념을 에너지 변환 소자에 접목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연료 저장·전력 생산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 구현한 혁신적인 접근"이라며 "향후 반도체 기반 수소 생산, 자가발전형 센서, 광촉매 반응 소자 등 다양한 응용 연구로 확장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Journal of Materials Science & Technology, Impact Factor: 14.3)에 게재됐으며, 동 저널은 JCR 기준 금속공학(Metallurgy & Metallurgical Engineering) 분야 전 세계 상위 1% (랭킹 1/97)에 해당하는 최우수 학술지이다.
◆건국대, 하반기 채용 겨냥 '입사지원서 작성' 컨설팅 성료
건국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사업단이 지난 8월 27일부터 9월 3일까지 '2025학년도 하반기 채용대비 입사지원서 작성 프로그램(삼성그룹)'을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기업 입사 전형 대비를 위한 온라인 특강과 1대 1 컨설팅 파트로 이뤄졌으며, 갑작스러운 공식 채용 일정 변경에 대비할 수 있도록 속성으로 운영됐다.
프로그램에는 건국대 졸업생과 졸업예정자 등 총 297명이 참여했다.
사업단은 삼성그룹을 포함한 10대 주요 대기업의 입사지원서 작성 요령을 중심으로 실무 특강을 제공했다. 또한 특강 우수 수료자를 선발해 1대 1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함으로써 지원자의 자기소개서 구성, 문항별 표현, 직무 연계성 강화 등을 집중적으로 지도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소개서를 쓰며 느꼈던 답답함과 불안이 해소됐다", "대기업 입사지원서 작성 요령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히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상원 건국대 대학일자리플러스사업단장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1대 1 컨설팅에 대한 학생 수요가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향후 관련 취업지원 프로그램 확대 운영을 계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건국대 대학일자리플러스사업단은 주요 대기업의 채용 일정에 맞춰 직무적성검사 대비, 면접전형 대비 프로그램 등 하반기 취업 지원 서비스를 지속 운영해나갈 계획이다.
◆경희사이버대, 일반대학원 첫 출범… 2026학년도 석·박사 신입생 모집 시작
경희사이버대학교(총장 변창구)는 2026학년도 전기 일반대학원 및 호텔관광대학원 석·박사과정 신입생 모집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특히 올해는 교육부 인가를 통해 일반대학원이 새롭게 출범하며, 박사과정도 개설하여 교육의 폭을 넓혀나간다.
일반대학원은 △문화예술창조학과 △미래 시민리더십·거버넌스학과 △글로벌한국학과 석사과정으로 운영하며, 글로벌한국학과는 박사과정도 개설된다. 호텔관광대학원은 △호텔외식MBA △관광레저항공MBA 석사과정을 모집한다.
2026학년도 전기 모집을 통해 총 석사 120명, 박사 20명을 선발하며(정원내 기준), 원서접수는 12월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경희사이버대 일반대학원은 학업·진로·연구 전반을 지원하기 위해 상담·논문지도 전담교수 제도를 도입했으며, 1기에는 상담지도 교수가, 2~4기에는 논문지도 교수가 전담 배정된다.
또한 특강·세미나·워크숍·인턴십 등으로 구성된 비정규 교육과정 '경희융합과정'을 운영해 전공 기반 학업 역량과 실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한다. 교육 방식은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세미나가 결합된 블렌디드 러닝으로 진행되며, 토론과 협동학습 등 참여 중심 수업이 확대된다.
특히 글로벌한국학과 박사과정은 한국학, 글로벌 거버넌스, 인문사회 융합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연구자와 실무 전문가가 참여하는 국제적 연구 플랫폼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호텔관광대학원 석사과정은 이론과 실무를 결합한 교육 체계를 바탕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호텔·관광 분야 전문 인재를 양성한다. 호텔·관광·외식·항공 등 서비스 산업 전반의 흐름을 분석하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산업 수요를 반영한 현장 중심 교육 비중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주요 호텔·관광기관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특강·현장 세미나·프로젝트 기반 학습도 정기적으로 운영해, 온라인 기반에서도 산업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반영한 실무형 전문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변창구 총장은 "일반대학원 설치 인가는 연구분야 고도화를 통해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종합적인 체계를 갖춰 확장해나간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경희의 후마니타스 지향과 첨단 디지털 교육환경을 결합해 미래형 대학원의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경희사이버대 대학원 신·편입생 모집요강과 절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학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사이버대, 반려동물·스포츠·데이터 신설… 2026학년도 전공 개편 추진
서울사이버대학교(총장 이은주)는 2026학년도 학과와 전공 신설 및 개편을 통해 사회 수요에 맞춘 교육과정을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학교는 문화예술대학과 음악대학을 예술대학으로 통합하고 반려동물산업학과, 스포츠지도학과, 응용수학·통계학과를 새로 만들었다. 드론·로봇공학과, 문예창작학과, AI커머스학과, 국방AI학과 등 기존 학과도 확대 개편했다.
반려동물산업학과는 반려동물의 건강, 행동, 영양, 미용, 법규, 경영 등 전반을 교육하며 졸업생들은 동물보건사, 펫푸드 연구원, 펫테크 기업 데이터 분석가, 행동지도사, 미용사, 펫시터, 공공기관 동물복지 담당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관련 자격으로는 반려동물행동지도사, 동물보건사, 반려견훈련사, 반려동물관리사 등이 있다.
스포츠지도학과는 증가하는 건강·여가·체육 활동 수요에 대응해 현장 중심의 스포츠 지도 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한다. 졸업 후 시도체육회와 공공스포츠센터 운동지도자, 재활트레이닝센터 지도자, 피트니스 지도자, 필라테스 지도자, 선수 트레이너 등으로 진출 가능하며 건강운동관리사, 전문스포츠지도사, 생활스포츠지도사 등이 주요 자격이다.
응용수학·통계학과는 수학과 통계를 기반으로 데이터·AI·블록체인 분야에서 필요한 실용 인재를 양성한다. 직장인과 비전공자를 위한 단계별 커리큘럼을 운영하며 졸업 후 데이터 분석가, 통계분석가, AI 모델링 전문가, 금융·보험·공공·제조·교육 분야의 데이터 직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한편 서울사이버대학교 대학원은 2026학년도부터 사회복지학과와 상담·임상심리학과에 더해 뷰티산업학과, 음악학과, AI융합기술학과 석사·박사 과정을 신설해 총 5개 학과를 운영한다. 뷰티산업학과는 화장품 산업, 뷰티테크, 메디컬 뷰티 분야 인재를 양성하며 음악학과는 성악, 피아노, 음악치료 전공으로 구성된다. AI융합기술학과는 다양한 공학 분야에 AI를 접목해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사이버대는 오는 12월 1일부터 11개 단과대학, 49개 학과(전공)에서 2026학년도 상반기 학부 신·편입생을 모집한다.
◆고려대·KIST,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성능·내구성 동시 향상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는 화학과 이광렬 교수 연구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유성종 박사팀, 성균관대학교 이상욱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소연료전지의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차세대 합금 촉매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수소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등 친환경 연료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연구 결과는 재료·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IF=26)' 11월 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저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Pt-Co 기반 인터메탈릭(intermetallic) 구조에서 Co 일부를 Ni로 치환해 전자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원자 격자 속 무작위 배치(Inter-Sublattice Random, ISR)' 전략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백금(Pt) 합금 촉매가 갖는 내구성 장점은 유지하되, 전자 구조 조절의 한계를 극복해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 방식이다.
연구팀은 이종 에피택시 성장(heteroepitaxial growth) 기법으로 Pt-Co 규칙 격자 내부에 Ni를 정밀하게 도입해 Pt-Co-Ni 삼원계 인터메탈릭 나노촉매를 합성했다. 실험 결과, 새 촉매는 상용 Pt/C 대비 질량 활성이 10배 이상 높았고, 15만 회 이상의 가속 내구성 시험 후에도 초기 성능의 96% 이상을 유지했다. 실제 연료전지 적용 시험에서도 미국 에너지부(DOE)가 제시한 2025년 기준을 뛰어넘는 출력 성능을 보였다.
이광렬 교수는 "원자 수준에서 구조적 질서와 조성적 무질서를 결합해 기존 백금 기반 촉매의 한계를 넘어섰다"며 "상용화 수준의 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한 만큼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박예지 박사에 대해 "창의성과 근면함이 연구 성과의 큰 힘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리더연구사업, 현대자동차 산학과제, KIST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위성 기반 산불 정보 정확도 검증… 국민대 연구팀, 최초 글로벌 분석 성과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는 과학기술대학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강유진 교수가 글로벌 산불 감시에 널리 활용되는 MODIS, VIIRS, SLSTR 등 3개 원격탐사 위성의 산불 방사열 에너지(FRP) 산출물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진행됐으며, 강 교수와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재세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임정호 교수가 공동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원격탐사·환경과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리모트 센싱 오브 인바이런먼트(Remote Sensing of Environment)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세 위성 산출물의 FRP 값을 대륙별로 비교한 결과, 아프리카에서는 산불의 일 변화 사이클 변동 폭이 커 일치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최근 지구 탄소 배출량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는 북방림(Boreal Forest) 지역에서는 MODIS·VIIRS·SLSTR 세 시스템 모두 거의 동일한 수준의 산불 세기를 기록해 높은 일관성을 보였다. 이는 기후 변화 연구에 핵심 자료로 활용되는 위성 기반 산불 데이터가 가장 중요한 지역에서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강유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공위성 기반 FRP의 전 지구적 일관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익스텐디드 트리플 콜로케이션(Extended Triple Collocation) 기법을 적용한 첫 사례"라며 "글로벌 탄소 배출 모델링과 기후 영향 분석 연구에서 위성 데이터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신저자인 임정호 UNIST 교수는 "세 위성 산출물의 일관성과 불확실성을 참조 데이터 없이 평가한 최초의 글로벌 연구"라며 "위성 기반 산불 정보 분석의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