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영덕군, '2025 경북선비문화 영덕포럼' 성료

성균관영덕청년유도회가 주관하고 경상북도 청년유도회가 주최한 '2025 경북선비문화 영덕포럼'이 11월 22일 예주문화예술회관 무형문화재 전수관에서 개최됐다

선비정신의 현대적 가치와 영덕의 지역 정체성을 고찰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경북 청년유도계가 주축이 된 이번 포럼은 학술과 토론, 그리고 교류의 장으로 구성돼 의미를 더했다.

 

성균관영덕청년유도회(회장 김생기)가 주관하고 경상북도 청년유도회가 주최한 '2025 경북선비문화 영덕포럼'이 지난 22일 예주문화예술회관 무형문화재 전수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김광열 영덕군수, 김성호 영덕군의회의장, 황재철 도의원, 김성철 군의원, 신정희 군의원을 비롯해 150여 명이 참석했다. 사회는 강상태 사무국장이 맡아 진행의 흐름을 이끌었다.

 

김성호 영덕군의회의장은 "선비문화는 영덕이 가진 소중한 정신적 자산이며, 지역 정체성을 더욱 굳건히 다지는 힘"이라며 "군의회도 전통문화 계승과 지원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개회식에서 김성호 영덕군의회의장은 "선비문화는 영덕이 가진 소중한 정신적 자산이며, 지역 정체성을 더욱 굳건히 다지는 힘"이라며 "군의회도 전통문화 계승과 지원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생기 성균관영덕청년유도회 회장은 "유교정신은 단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오늘날의 공동체와 인간관계에 여전히 유효한 가치라고 말했다.

이어 김생기 성균관영덕청년유도회 회장은 "유교정신은 단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오늘날의 공동체와 인간관계에 여전히 유효한 가치"라며 "청년 유도인들이 그 전통을 바르게 계승하고,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영덕포럼은 총 세 부분으로 구성됐다. 1부 개회식에 이어 2부에서는 학술발표, 3부는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2부 학술발표에서는 전통사상과 지역 정체성에 대한 깊이 있는 발표가 이어졌다. 첫 발표를 맡은 경북대학교 정우락 교수는 '영남 산수와 유교적 공간 인식의 문화적 구현'을 주제로,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자연을 어떻게 인식하고 공간에 철학을 투영했는지를 조명했다.

 

이날 포럼은 학문과 지역정신, 공동체 가치가 만나는 장으로서, 전통문화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열의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정 교수는 "영남 지역의 산천은 유학자들의 사유와 성찰의 현장이었다"며,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등 지역 서원 배치의 철학적 구조를 통해 자연과 조화되는 유교 공간의 본질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뒤이어 경국대학교 강윤정 교수는 '신돌석 장군의 항일운동'을 통해 영덕 출신 의병장의 항일 정신을 되새겼다.

 

그는 "신돌석 장군은 단순한 무장 투쟁가가 아니라 지역민과 함께한 지도자"라고 강조하며, 일제 강점기 초기 봉기의 배경과 그 영향력을 사료를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강 교수는 "신 장군은 전국적 의병운동의 상징이자 선비정신의 실천적 표상"이라고 밝혔다.

 

3부에서는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유교 공간의 현대적 재해석 가능성과 항일정신의 계승을 놓고 발표자들과 심도 깊은 토론을 나눴다.

 

김광열 군수는 "선비정신은 우리 지역의 뿌리이며, 이를 계승하는 것이 미래를 여는 길이다"라며 "이번 포럼이 영덕의 문화 정체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광열 군수는 "선비정신은 우리 지역의 뿌리이며, 이를 계승하는 것이 미래를 여는 길이다"라며 "이번 포럼이 영덕의 문화 정체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은 전통에 대한 학문적 성찰과 더불어,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정체성과 가치를 나누는 장으로서 전통문화의 현대적 의미를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