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中·日 갈등에 '들썩'…TIGER 화장품·여행레저 ETF 5000억 돌파

중국 ‘한일령’ 조짐에 한국 관광주 강세…화장품·레저 ETF 자금 유입 가속
“중국인 수요 회귀…K-뷰티·여행 레저 업종 탄력 받을 것”

/미래에셋자산운용

한국 관광이 '중일 갈등'의 반사이익을 타고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일본을 찾던 중국인 수요가 한국으로 방향을 틀 조짐을 보이면서 K-뷰티와 여행·레저 업종이 동시에 주목받는 가운데, 관련 대표 ETF인 'TIGER 화장품'과 'TIGER 여행레저'의 순자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중일갈등으로 한국 관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TIGER 화장품 ETF', 'TIGER 여행레저 ETF'의 순자산 합계가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1일 종가 기준 'TIGER 화장품 ETF' 순자산은 4,216억원이다. 해당 ETF는 K 뷰티를 이끄는 한국 화장품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달바 글로벌', '제닉' 등 신생 인디 브랜드(중소기업 독립 브랜드)도 편입해 'K-화장품' 산업 전반에 집중 투자 가능하다.

 

'TIGER 여행레저 ETF'의 순자산은 1092억원이다. '롯데관광개발', '파라다이스', '호텔 신라' 등을 편입하고 있는 국내 유일 여행레저 ETF로, 면세점 쇼핑뿐 아니라 호텔, 테마파크, 카지노 등 고부가가치 레저 소비 관련 수혜가 예상된다.

 

특히 최근 중국이 자국민의 일본 관광 자제를 촉구하는 '한일령'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 여행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이 있던 11월 7일부터 21일까지 일본의 화장품, 면세점, 호텔 관련주들(시세이도 -14.4%, 팬 퍼시픽 -8.3%, 세이부 홀딩스 -6.6%)은 주가가 하락한 반면, 한국의 화장품, 면세점, 호텔 관련주들(아모레퍼시픽 +5.0%, 호텔신라+12.0%, 롯데관광개발 +23.9%등)의 주가는 상승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정의현 ETF운용본부장은 "한국을 찾는 여행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일갈등으로 화장품과 여행레저 산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TIGER 화장품과 TIGER 여행레저 ETF를 통해 한일령 이슈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