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딸깍' 소리에 발작 버튼 눌리네

신조어를 좋아한다. 우리 사회의 우스꽝스러운 세태를 촌철살인의 풍자로 풀어낸 표현들이 주는 묘한 쾌감이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던 '발작 버튼 눌렸다'라는 표현처럼 말이다. 이 유행어(?)는 누군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유발할 만한 트리거를 건드렸을 때 사용되곤 했다. 버튼을 누르면 나는 의성어 '딸깍'이 자주 함께 쓰였다.

 

최근 AI(인공지능)의 부상과 함께 '딸깍'의 쓰임새도 달라졌다. 이제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로 무언가를 대충 쉽게 해내는 모습을 빗대는 말로 쓰인다. 필자는 'AI 전문기업'이라는 수식어를 내세운 취재처가 답변을 늦게 줄 때면 "명색이 AI 전문기업이라면서 '딸깍'도 못 하나?"라고 혼잣말을 궁시렁거리곤 했다.

 

회사 LLM(거대언어모델)에 질의서를 넣고 답변 초안을 받아, 팩트 체크하고 표현만 좀 다듬으면 10~15분에 끝날 일인데 왜 이렇게 오래 걸리는지 이해가 안 갔다.

 

얼마 전, 이 '딸깍' 소리에 발작 버튼이 눌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개발자인 지인에게 "AI 때문에 개발자들 다 잘린다는 데 정말 큰일이다"라고 '걱정'해줬더니 그쪽에서 "기자도 곧 아냐? 기사는 '딸깍'하면 하루에 100개, 1000개도 금방이잖아"라고 맞받아쳤다.

 

취재원의 답변을 기다리며 투덜거렸던 과거가 떠올랐다. 혹 그간 내가 다른 사람의 노고를 '딸깍'이라는 두 글자로 평가절하해왔던 건 아닐까. 나는 그리고 어쩌면 당신 혹은 우리는, 그간 '딸깍'이라는 말로 비아냥대며 타인의 수고와 노력을 얼마나 많이 후려쳐왔던가.

 

며칠 전 기사를 준비하며 홍경한 미술 평론가에게 "전문가들의 전망과 달리, 인간 고유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예술 창작 분야가 가장 빠르게 AI에 잠식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은 적이 있다. 그의 답변이 이 '내로남불 딸깍 사태'를 풀어줄 실마리가 될 것 같아 덧붙인다.

 

"일단 아직까진 전문가들의 예측이 빗나갔다고 여기지는 않는다. 몇몇 주요 미술관에서 AI와의 창작에 호의적인 것은 맞고, 언론은 그것을 침소봉대하지만 여전히 대다수의 작가들은 AI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작업한다. 도구로써의 AI와도 거리를 두는 작가들이 많다. 사회적 현상에서만 보면 갈수록 저항력이 떨어져서 그렇지, 제가 아는 한 절대다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