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롯데건설,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 11월 분양 예정

롯데건설이 이달 서울시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을 통해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는 서울시 성북구 삼선동2가 일원에 지하 4층~지상 18층, 19개 동, 총 1223세대의 대단지(임대 포함)로 조성된다. 이중 전용면적 59·84㎡ 509세대를 일반분양한다. 일반분양 물량 타입별 세대수는 ▲59㎡A 54세대 ▲59㎡B 97세대 ▲59㎡C 218세대 ▲84㎡ 140세대다. 전 세대가 전용면적 59㎡와 84㎡로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종로·시청·광화문 등 중심업무지구(CBD)로의 이동이 편리해 직주근접성을 갖췄다. 도보권에는 4호선 한성대입구역과 6호선·우이신설선 환승역 보문역이 자리한 트리플 역세권 단지다. 강남업무지구(GBD)도 30분대에 이동이 가능하다. 도보통학이 가능한 삼선초, 한성여중, 한성여고, 경동고 등을 비롯해 반경 1km 이내에는 다수의 초·중·고교가 자리하고 있다. 주변에는 삼선아동청소년도서관을 비롯해 한성대, 성신여대, 고려대 등 10개의 대학 캠퍼스가 밀집된 교육특구를 형성하고 있다. 단지 인근에는 창경궁, 종묘, 창덕궁, 성북천 분수광장, 삼선공원, 마로니에공원 등이 자리해 있다. 낙산공원, 한양도성길 등 다수의 녹지공간도 가깝게 위치한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이번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는 삼선동 일대에서는 10여 년 만에 공급되는 신축 아파트로 서울 도심권에 위치해 주요 주거 인프라를 모두 가깝게 누릴 수 있어 많은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11-15 13:55:46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서울 민간아파트 분양가 3.3㎡당 4700만원 육박…최고치 또 경신

지난달 서울 민간 아파트의 3.3㎡ 기준 분양가가 4700만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를 또 다시 경신했다.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10월 말 기준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의 최근 1년 간 ㎡당 평균 분양 가격(공급 면적 기준)은 1420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338만3000원) 대비 6.13%, 전년 동월(974만4000원) 대비 45.76% 증가한 수치다. 이를 3.3㎡(평) 기준으로 다시 환산하면 서울 아파트의 평당 분양가는 4695만2000원으로 전월(4424만1000원) 대비 271만1000원 급증했다.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은 지난해 2월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오다 지난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소폭 하락했으나, 다시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해 지난달 결국 4600만원대를 돌파,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 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 사업장의 평균 분양 가격을 의미한다. 3.3㎡당 서울 아파트 분양가를 면적별로 보면 ▲60㎡ 이하 4494만5000원 ▲60㎡ 초과~85㎡ 이하 4716만원 ▲85㎡ 초과~102㎡ 이하 6267만1000원 ▲102㎡ 초과 6041만7000원으로, 60㎡ 이하의 중소형 평형을 제외하고는 모두 평당 4500만원을 넘겼다. 서울, 인천,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의 경우에도 3.3㎡당 2911만7000원으로 분양가격이 전월 대비 4.26%, 전년 동월 대비 27.18% 상승했다. 인천과 경기지역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각각 1863만1000만원, 2177만2000원으로, 서울 평균 분양가의 약 절반 수준에 그쳤다. 반면 5대 광역시 및 세종시의 경우에는 3.3㎡당 1957만원으로 전월 대비 오히려 0.09% 하락했다. 기타 지방은 3.3㎡당 1492만2000원으로 전월 대비 0.05% 상승했다. 그러나 이들 지역 역시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각각 12.52%, 5.43% 상승했다. 이를 모두 합친 전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격은 575만9000원(3.3㎡당 1903만8000원)으로 전월 대비 1.18% 상승, 전년 동월 대비 13.05% 상승했다. 한편 HUG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전국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물량은 총 1만7877가구로 전년 동월(1만8435가구)대비 3% 하락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는 1만1110가구, 5대 광역시와 세종시는 4456가구, 기타지방은 2311가구가 각각 신규 분양됐다.

2024-11-15 10:38:40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금호건설, 3분기 영업손실 1574억원…"리스크 다 털어냈다"

금호건설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반영하면서 실적이 대폭 악화됐다. 금호건설은 14일 올해 3분기 매출 3871억원, 영업손실 1574억원, 당기순손실 189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수준이지만 적자 폭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확대됐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선제적, 보수적으로 처리하면서 이번 분기에 적자 폭이 예상치보다 더 크게 발생했다"며 "잠재적인 원가 상승 요인을 선제적으로 모두 반영하면서 손실규모가 늘어나는 부분을 감수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실적에는 대규모 터널공사 발주로 인한 터널 장비 수요 급증, 각종 민원으로 인한 공사지연,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외부 변수로 발생한 공사비 상승분이 선제적으로 반영됐다. 이와 함께 사업 진행 중 추가 손실이 예상될 수 있는 민관합동사업의 계약을 선제적으로 해지하면서 발생한 계약금 및 중도금 이자 등도 미리 손실로 인식해 처리했다. 책임준공 미(未)이행으로 발생한 일회성 손실도 반영했으며, 사업성 악화 및 시행손실로 회수 가능성이 낮아진 대여금도 손실처리했다. 대여금 손실 처리의 경우 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정리가 아닌 단순 대여금의 손실 처리에 해당된다. 관계자는 "선제적 손실처리한 매출 채권 및 대여금은 회계상 보수적으로 손실 처리했지만 향후 회수될 경우 환입처리로 손익이 개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호건설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未) 착공 PF나 브릿지론, PF 보증 현실화와 같은 추가 리스크는 없다. 관계자는 "선제적, 보수적 손실 처리로 향후 추가 손실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4분기부터 각종 재무 지표가 점차 개선될 것은 물론 'V자'형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건전성 지표는 2분기 대비 개선됐다. 매입채무는 3414억원으로 지난 2분기 대비 1251억원 감소했으며, 차입금은 337억원 줄어든 3016억원으로 집계됐다. 앞으로 지속적인 유동성 관리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공사비가 급등한 시기 이전에 수주된 사업들이 점차 마무리되고, 공사비 상승분이 반영된 신규 사업은 점차 매출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라 매출원가율 개선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이번 3분기를 바닥으로 4분기부터는 실적이 'V자' 반등으로 돌아설 것"이라며 "지속적인 재무구조 개선과 적극적인 사업 관리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 나갈 예정이며 2025년에는 건실한 사업구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흑자 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11-14 15:58:57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DL이앤씨,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 15일 사이버 주택전시관 오픈

DL이앤씨는 오는 15일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의 사이버 주택전시관을 열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다고 14일 밝혔다.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는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4가 91번지 일대에 유원제일1차아파트를 재건축한 곳이다. 지하 3층~지상 25층, 8개 동, 전용면적 44~84㎡, 총 550가구 규모다. 이 중 전용 51~59㎡, 111가구를 일반 분양으로 공급한다. 일반분양 물량은 △51㎡A 56가구 △51㎡B 43가구 △59㎡A 1가구 △59㎡B 11가구로 구성된다. 신혼부부와 같은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소형 위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청약 일정은 25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6일 1순위 청약 접수, 27일 2순위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1순위 자격요건은 청약통장 가입기간 1년 이상, 지역·면적별 예치금액 이상을 납입해야 한다. 입주자 모집공고일 기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이면 주택소유 여부와 상관없이 청약할 수 있다. 전매제한은 1년이며, 재당첨제한 및 거주의무기간은 없다.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는 차별화한 상품을 적용한다. 전용 51㎡타입의 경우 두 개의 방과 두 개의 욕실에 드레스룸을 더한 구조로 설계했다. 기존 주방 후드 대비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인 '디 사일런트 후드', 미세먼지를 줄이고 공기질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스마트 공기질 시스템' 등 다양한 특화설계도 적용했다.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는 지하철 2·5호선이 지나가는 영등포구청역이 도보권에 위치한다. 또 지하철 2·9호선 당산역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여의도와 광화문, 강남 등 서울 주요 업무지구를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단지 주변으로는 입주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주거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인근에 코스트코, 롯데마트 등의 대형마트가 있고, 타임스퀘어와 IFC, 더현대 등 영등포·여의도의 인프라 역시 누릴 수 있다. 영등포구청과 영등포우체국, 당산2동주민센터도 도보권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교육 환경도 우수하다. 단지 내 어린이집을 비롯해 인근에 당서초와 당산서중이 자리한다. 반경 1km 내에 선유초, 선유중, 선유고 등 다수의 초·중·고교가 밀집해 있다. 분양 관계자는 "최근 늘고 있는 1~2인 가구와 신혼부부 및 젊은 층의 수요가 높다"고 전했다. 한편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는 사이버 주택전시관으로 운영되며, 입주는 2028년 3월 예정이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11-14 14:51:42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서울 집값 34주째 상승...매수심리 4주 연속 하락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34주 연속 상승했다. 매매수급지수는 4주째 하락했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1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6% 오르면서 34주 연속 상승했다. 권역별로는 강북권에서 광진구(0.08%→0.09%)가 광장·자양동, 중구(0.08%→0.10%)는 신당·흥인동 역세권 단지, 종로구(0.06%→0.09%)는 명륜2가·무악동 중소형 규모, 용산구(0.11%→0.10%)는 이촌·한남동, 성동구(0.14%→0.09%)는 성수·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에서 서초구(0.14%→0.11%)는 반포·잠원동, 양천구(0.06%→0.06%)가 목·신월동, 강남구(0.18%→0.19%)는 압구정·청담동, 영등포구(0.07%→0.06%)는 문래동3가·당산동4가 등 역세권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트리마제'는 이달 전용면적 136㎡가 64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5월 매매가격(59억원) 대비 5억5000만원 상승했다.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개포래미안포레스트'의 경우 지난 10월 전용면적 59㎡가 23억3000만원에 거래되면서, 1개월 만에 3000만원 올랐다. 11월 둘째 주(1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3으로 전주(100.4)보다 0.1포인트 내렸다. 등락을 반복하다 10월 셋째 주부터 4주 연속 지수가 하락세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 단지에서는 상승거래 신고 등 수요가 꾸준하지만 그 외 단지는 대출규제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 거래가 정체됐다"며 "혼조세를 보이면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2024-11-14 14:03:55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대우건설,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 탄소크레딧 인증 추진

대우건설은 한라시멘트와 함께 개발한 신형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DECOCON)'의 현장타설 적용 실적을 바탕으로 탄소저감 성과를 인정받는 '탄소크레딧' 인증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건설사 중에서는 최초다. 지난 2022년 개발한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는 상온양생 환경에서 기존 콘크리트 대비 평균 112kg/㎥까지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 약 54%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달성했다. 또 '조강 슬래그시멘트'를 활용하여 일반 시멘트보다 조기강도가 10~30% 더 우수하다. 대우건설은 이를 통해 동절기 콘크리트 강도 지연과 품질 하자 문제를 해소했으며, 온도나 계절에 상관없이 현장에서 직접 타설할 수 있는 특징을 바탕으로 공동주택 등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기존의 조강형 콘크리트가 일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한정되어 사용되던 것과 달리 모든 건설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실제 대우건설은 철도공사와 아파트 건설 등 6개의 현장에 현재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외 건설 현장에서 쓰이는 콘크리트는 1㎥당 245㎏의 시멘트(OPC기준, 혼화재 별도)가 사용돼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 주재료로 널리 쓰이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의 경우, 1톤 생산에 약 0.8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해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대우건설은 친환경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 경험을 바탕으로 2025년 상반기까지 환경부에서 시행하는 환경성적표지(EPD)와 저탄소제품 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다. 이 인증은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객관적인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대우건설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건설 문화를 조성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또 건설업계 최초로 현장타설 콘크리트 적용 실적을 바탕으로 탄소 저감 성과를 인정받는 대한상공회의소 탄소크레딧 인증도 추진 중이다. 탄소크레딧은 온실가스 배출 감소 실적을 크레딧으로 인정받는 제도로 대우건설은 향후 탄소거래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번 기술 개발은 계절과 관계없이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친환경 기술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친환경 건설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아가는 만큼 앞으로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다양한 친환경 기술을 연구하고 적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11-14 10:54:04 안상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