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무한도전 Run with 쿠팡플레이' 티켓 오픈 디데이...추가 라인업 공개

쿠팡플레이가 11일 오후 8시 '무한도전 Run with 쿠팡플레이'의 티켓 오픈을 앞두고, 무한도전 멤버와 특별 공연 아티스트의 추가 라인업을 공개했다. 내달 25일 오전 8시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개최되는 이번 이벤트는 러닝과 공연, 체험형 콘텐츠가 결합된 입체적인 라이브 엔터테인먼트 형태로 진행된다. 쿠팡플레이는 마라톤 시작 전부터 피날레를 장식할 특별 공연까지 전 일정을 실시간 생중계로 선보인다. 무한도전의 박명수, 정준하, 하하, 조세호, 광희, 전진이 행사 날 현장에서 팬들과 만난다. 무한도전 전담 심판인 박문기 심판과 팬들에게 익숙한 시영준 성우를 비롯해 일반인 레전드 출연자로 큰 웃음을 안겼던 에어로빅 강사 할마에(염정인)도 함께해 오랜 팬들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현장에는 무한도전의 대표 에피소드를 오마주한 체험형 부스가 마련된다. 팬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무한도전만의 다양한 게임과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참가자들은 테마 포토존과 즉석 포토 부스에서 무한도전에 얽힌 추억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다. 마라톤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할 특별 공연 무대에는 무한도전과 깊은 인연을 자랑하는 아티스트들이 총출동한다. 추억을 소환하는 코요태와 지누션을 포함해 DJ G.PARK(박명수), 레게 강 같은 평화(스컬&하하), 감미로운 콧소리 정준하&스윗소로우, 조남지대(조세호&남창희), 백만돌이 잔스틴 전진까지 무한도전 팬들에게 더없이 반가운 얼굴들로 구성된 역대급 라인업이 축제의 피날레를 장식할 예정이다. 무한도전 20주년 기념으로 열리는 무한도전 Run with 쿠팡플레이의 참가 신청은 이날 오후 8시부터 쿠팡플레이 모바일 앱에서만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쿠팡플레이에서 확인하면 된다.

2025-04-11 11:35:49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최보민, '바니와 오빠들' 특별 출연...지독하게 얽히고 싶은 '치명남' 변신!

MBC 새 금토드라마 '바니와 오빠들'에 특별출연한 배우 최보민이 첫 화를 빛낸다. 11일 오후 9시 50분 첫 방송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최보민은 바니(노정의 분)의 인생에 결정적 순간을 만드는 인물로 등장, 짧지만 강렬한 존재감을 뽐낸다. 극 중에서 최보민은 지나가는 사람들마다 힐끔거리는 피지컬과 비주얼을 겸비한 예인대학교 연극영화과 학생이자 바니의 친구 권보배(남규희 분)의 연영과 동기로, 바니의 연애사에 소소한 자극을 일으키는 인물을 연기한다. 특히 최보민은 출중한 외모에 무심한 듯한 성격을 가진 캐릭터를 특유의 섬세한 연기로 완벽 소화하며 지독하게 얽히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치명남'으로 변신할 예정이다. 최보민은 2017년 그룹 골든차일드로 데뷔, 2019년 플레이리스트 드라마 '에이틴2'로 처음 연기에 도전했다. 이어 tvN '날 녹여주오', JTBC '18 어게인', 카카오TV 오리지널 '그림자 미녀' 등 다채로운 장르의 작품을 통해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올해는 웹툰 원작 드라마 '스피릿 핑거스', 지난해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 '미드나잇 패션' 섹션에 공식 초청돼 관객의 호평을 받은 영화 '괴기열차' 공개를 앞두고 있다.

2025-04-11 10:49:45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비트코인, 미중 무역갈등 격화 4% 급락…1억2000만원대 반납

비트코인이 상호관세 유예 효과로 급등한 지 하루 만에 1억2000만원대를 반납했다.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았음에도 미중 무역갈등 여파로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11일 오전 8시50분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24시간 전보다 1.95% 하락한 1억1793만원을 기록했다.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2.75% 떨어진 1억1799만원에 거래됐다.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24시간 전보다 4.01% 빠진 7만9612달러를 나타냈다.시가총액(시총) 2위 이더리움도 전날 상승분을 전부 반납했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빗썸에서 2.59% 하락한 225만원을, 업비트에서는 7.82% 떨어진 226만원을 기록했다. 코인마켓캡에서는 8.84% 빠진 1521달러에 거래됐다. 리플과 솔라나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하락 전환했다. 같은 시각 코인마켓캡에서 리플은 4.23%, 솔라나는 5.32%, 도지코인은 4.22%, 에이다는 3.56% 각각 빠졌다.비트코인의 국내외 가격 차이를 뜻하는 김치프리미엄은 1%대를 이어갔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분 기준 비트코인 김치프리미엄은 1.90%다.시장은 하루 만에 살아난 관세 불안감에 다시 휘청였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부과하는 합계 관세율이 총 145%인 점이 알려지면서다. 미중 무역 갈등이 재차 격화하자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커진 것이다. 예상치를 밑돈 3월 CPI도 소용 없었다. 가상자산 대표 호재인 금리인하 기대감보다 관세 여파가 더 컸던 셈이다. 10일(현지시간) 발표된 3월 CPI 상승률은 2.4%로 전문가 예상을 밑돌았다.이 가운데 트럼프발(發) 리스크가 가상자산 가치를 더 키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홍성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은 신용화폐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탄생했다. 1등 신용화폐인 달러의 신뢰도 훼손은 비트코인 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며 "달러 붕괴라는 비트코인의 꿈을 트럼프 대통령이 돕고 있다"고 진단했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그러면서 달러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트럼프발 리스크를 ▲부채한도 협상 불발 ▲미국채 채무재조정 ▲연방준비제도(Fed) 독립성 훼손 ▲트럼프 3선 ▲대미 무역 및 무역적자 축소 등으로 꼽았다.투심도 하루 만에 급격히 악화됐다.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서 집계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25점을 기록하며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39·공포)보다 떨어진 수치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공포를,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각각 의미한다.

2025-04-11 10:27:51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이재명, 대선 슬로건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을 자신의 대표 슬로건으로 공개하며 "K-이니셔티브의 새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비전 발표회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며 없는 길을 만들어 걸어온 저 이재명이 위대한 국민의 훌륭한 도구로서 위기 극복과 재도약의 길을 열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번 대선은 단순히 5년 임기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아니다"라며 "향후 5년은 대한민국의 국운(國運)이 걸린 ‘절체절명’의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내란마저 이겨내고 세계 속에 우뚝 선 위대한 나라임을 증명할지, 파괴와 퇴행의 역주행을 계속할지 결정되는 역사적 분수령"이라며 "무너진 민생과 평화,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멈춰버린 경제를 다시 살려야 한다. 국난을 온전히 극복하고 새로운 희망의 아침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양적 성장’에만 매달리던 ‘기능 중심 사회’의 한계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어떤 삶이 행복한 삶인지를 고심하며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가치중심 사회’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먹사니즘의 토대 위에 ‘잘사니즘’의 비전을 제시했던 이유도 다르지 않다"며 "스스로의 눈으로 세계를 읽어내는 힘을 길러야 하고, 스스로의 선택으로 판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이번 대선을, 대한민국이 새 희망의 미래를 여는 레벨업(Level-up)의 전기로 만들겠다"며 "70년의 위대한 성취를 넘어, 대한민국이 세계를 주도하는 시대를 개척하겠다. 이것이 바로 ‘K-이니셔티브’의 비전"이라고 설명했다.

2025-04-11 10:20:36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4월 11일자 한줄뉴스

<정치> ▲국민의힘이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일정과 방식을 확정했다. 1차 예비경선은 일반국민 여론조사, 2차에서는 당심·민심 각 50%를 반영해 2명을 선출한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과제는 비호감도 해소다. ▲일부 극우 지지층을 중심으로 윤 전 대통령이 재출마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다만 윤 대통령은 파면처분을 받아 공무단임권(공직을 맡는 권리)이 박탈돼 후보등록을 할 수 없다. <산업>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국내 스타트업들을 위해 베트남 소프트웨어(SW) 인력을 추가로 양성한다. ▲덤프트럭에만 허용하던 옥외광고를 레미콘트럭, 지게차 등 9종까지 늘린다. ▲전기차 캐즘(수요정체기) 극복 시기로 거론되던 시점이 거듭 밀려나고 있다. 국내 주요 배터리사들의 글로벌 점유율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부동산> ▲미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위험자산'인 가상자산과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 가격이 급등했다. ▲지난해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줄고 해외투자가 늘어나며 가계와 비영리 단체를 중심으로 여유자금이 증가했다. ▲포스코이앤씨가 세계적인 건축설계사 유엔스튜디오와 협업해 '맞춤형 특화 디자인'을 선보인다. <자본시장> ▲미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국내 반도체 주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국내 증시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장 초반부터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4%대 반등한 가운데, 코스피에 이어 코스닥시장에서도 사이드카(프로그램 매수 효력 정지)가 발동됐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가운데, 안전자산인 일본 엔화에 투자할 수 있는 엔화 ETF 상품이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유통 라이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온라인을 통해 거래되는 농축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대해 오는 14~25일 특별 단속에 나선다 ▲서울시가 무주택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 '미리내집'의 올해 첫 입주자를 모집한다. 총 567세대다. ▲서울시교육청이 공교육 내 영재교육의 체계적인 시스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초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을 수립했다.

2025-04-11 06:00:09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마사지 샴푸베드 브랜드 컴헤어, 2025년형 신제품 '베르스파 제니스' 출시

주식회사 컴헤어가 2025년형 신제품 '베르스파 제니스(ZENITH)'를 출시했다. 이번에 선보인 베르스파 제니스는 헬스케어 기술과 미용업계의 최신 니즈를 반영한 신개념 제품으로, 콤팩트한 디자인에 안정적인 내구성과 혁신적인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국내 최초로 스마트 원격 감지 시스템(AI) 특허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가 이상을 인지하기 전에 문제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IC 전자 집적 회로와 더블 센서 특허 기술을 접목해 내구성과 안전성을 대폭 강화했다. 업계 최초로 도입된 레일 방식 리클라이닝 시스템은 편리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춘 마사지볼 넓이 조정 기능과 허리 통증 완화를 위한 등 집중 모드를 탑재해 맞춤형 케어를 제공한다고 업체측은 설명한다. 6가지 맞춤형 마사지 모드와 온열 기능을 담았다. 무선 휴대폰 충전기, 스마트 터치 패드 스크린 리모컨, 풋 페달 시스템 등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이미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호주, 태국, 필리핀 클락 등) 시장에서 수출을 진행 중이라고 업체측은 전한다. ㈜컴헤어 관계자는 "다년간 축적된 기술력과 미용업계 트렌드를 반영해 개발된 ZENITH는 고급스러운 외관과 뛰어난 내구성을 갖춘 프리미엄 힐링 솔루션"이라며 "프리미엄 헤드스파 시장에서 독보적인 차별성을 구축하며, 앞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지속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4-10 17:53:08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윤석열, 11일 오후 5시 관저 떠나… 파면 일주일 만에 퇴거

윤석열 전 대통령이 오는 11일 한남동 관저를 떠난다. 지난 4일 파면 결정이 내려진 지 7일 만에 관저에서 퇴거하는 것이다. 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10일 오후 "윤 전 대통령은 내일(11일) 오후 5시 관저를 떠나 사저로 이동한다"며 "대통령실 수석급 참모 등은 관저를 찾을 것으로 전해졌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관저를 나서며 별도의 메시지를 낼지, 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인사를 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는 대통령(윤석열)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열고 윤 전 대통령을 파면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곧바로 관저를 떠나지 않고, 국민의힘 당 지도부나 나경원 의원, 윤상현 의원, 이철우 경북지사, 전한길 강사 등 보수 진영 인사들을 관저에서 접견했다. 그 사이 대통령경호처는 사저 경호 전담팀 구성을 완료하고 이동할 준비를 마쳤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임 전에 머물던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로 돌아갈 예정이다. 경호상의 문제나 반려동물이 많은 상황이라 서울 인근 단독주택도 고려됐지만, 시일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존에 살던 곳으로 일단 돌아가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이 관저에서 퇴거하지 않자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규탄하며 관저를 압수수색하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명태균게이트 진상조사단은 이날 서울중앙지검을 항의 방문해 "윤석열·김건희 부부의 휴대폰 등 증거 확보를 위해 관저와 대통령실을 압수수색 하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증거 인멸이 이뤄지고 있을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조국혁신당 역시 "민간인인 윤 전 대통령 부부가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퇴거하지 않고 130시간 이상 불법 점유하고 있다"며 "(윤 전 대통령이) 사람들 불러 관저 정치하면서 술 먹고 밥 먹고 하지 않았나. 명백한 국고손실죄"라고 지적했다.

2025-04-10 17:43:04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동아제약, '판피린' 브랜드파워 1위..."한국인의 초기 감기약 입지 굳혀"

동아제약은 감기약 브랜드 판피린이 2년 연속으로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 감기약 부문에서 1위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주관하는 행사로, 매년 소비자 조사 및 평가를 거쳐 대한민국 소비 생활을 대표하는 브랜드를 선정하는 제도다. 올해는 1만2800명의 소비자와 일대일 개별 면접을 통해 소비재 92개 등 총 235개 산업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판피린은 특정 브랜드를 인식하거나 회상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브랜드 인지도'를 측정하는 ▲최초 인지 ▲비 보조 인지 ▲보조 인지 등 세부 지표 모두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정 브랜드에 대한 호감 및 애착 정도를 나타내는 '브랜드 충성도'와 관련해서도 ▲브랜드 이미지 ▲구입 가능성 ▲선호도 등의 항목에서 타 브랜드 대비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동아제약은 약국용 액상 제형의 판피린큐와 편의점용 알약 제형의 판피린티 2가지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판피린큐는 물 없이 간편히 복용할 수 있으며, 6종 복합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 병으로 오한 발열부터 기침, 콧물, 인후통까지 감기의 다양한 증상을 완화해 준다. 올해 64주년을 맞이한 판피린은 감기·발열·두통·오한에 잘 듣는 '한국인 초기 감기약'으로 알려졌다. 2022년 기준 연간 1억 병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는 1초당 3병씩 판매되고 있는 규모다. 동아제약 측 관계자는 "2년 연속 감기약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애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2025-04-10 17:26:59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High exchange rates and falling oil prices... Diverging strategies in the refining industry.

Amid the global tariff war sparked by U.S. President Donald Trump's policies, international oil prices have plummeted and the value of the won has fallen, causing divergent responses among domestic refining companies. Some are viewing the oil price decline 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investments, while others are focusing on securing financial stability, with differing strategies in play. As of the 9th, Brent crude was trading at $61.88 per barrel. After China announced it would impose a 84% retaliatory tariff on U.S. products starting on the 10th, Brent crude dropped to $58.40 per barrel during the session. This marked the first time the $60 mark was breach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and U.S.-China tensions in 2020. U.S. West Texas Intermediate (WTI) also showed weakness, closing at $62.35 per barrel on the same day, and dipping below $60 to $59.58 on the previous day. The uncertainty in the refining industry has further increased due to the high exchange rate. As of 3:30 p.m., the exchange rate stood at 1,456.4 won to the dollar. While the dat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iprocal tariffs has been delayed by three months, the market remains tense, with concerns that the rate could surpass 1,500 won.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has forecasted that if the exchange rate rises by 10%, the cost of goods in the 'coal/oil and natural gas' sectors will increase by an average of 3.39%. Typically, refining companies reflect exchange rate fluctuations in product prices, but with both high exchange rates and growing concerns about an economic slowdown, the risk of reduced demand and falling refining margins cannot be ignored, making the impact negative for the industry. As industry uncertainties increase, refining companies are adopting different strategies in response. S-Oil and SK Innovation are making large-scale investments in preparation for a recovery in demand. In particular, S-Oil is undertaking the Shahin Project, which is the largest investment in the history of the domestic petrochemical industry, amounting to 9.258 trillion won. Once the Shahin Project becomes fully operational, S-Oil will produce basic petrochemical products such as 1.8 million tons of ethylene, 770,000 tons of propylene, 200,000 tons of butadiene, and 280,000 tons of benzene. SK Innovation is considering building self-generation facilities at its Ulsan complex and is exploring the option of directly producing LNG. This aims to reduce electricity costs and create synergies with SK Innovation E&S, which was merged last year. On the other hand, HD Hyundai Oilbank is focusing more on securing financial stability rather than making bold investments. According to Korea Credit Rating, HD Hyundai Oilbank’s net debt at the end of last year was 8.6 trillion won, a slight decrease from 8.8 trillion won the previous year. The total liabilities disclosed also decreased from 9.1653 trillion won to 9.1328 trillion won, indicating that efforts to improve its financial structure have had some effect. HD Hyundai Oilbank made a large investment in heavy oil cracking facilities (HPC), injecting 4.7 trillion won from 2020 to the end of 2022,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its borrowing. This year, the company plans to focus on stabilizing its financial structure after the large-scale investment.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As oil prices continue to fluctuate rapidly, refining demand and supply will inevitably undergo periodic adjustments. Currently, the declin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is having a negative impact on refiners in terms of inventory valuation losses, but it is cautiously speculated that with the recovery in demand, both oil prices and refining margins may rebound."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4-10 17:00:37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