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 APEC 개막 알렸다…정기선 회장 'AI·스마트조선' 비전 천명
HD현대가 글로벌 리더들과 함께 미래 조선업의 청사진을 제시하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의 시작을 알렸다. HD현대는 27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 문무홀에서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퓨처 테크 포럼: 조선'을 개최했다. 이 포럼은 '조선의 미래를 그리다(Shaping the Future of Shipbuilding)'를 주제로 진행됐다. 퓨처 테크 포럼에는 정기선 회장을 비롯한 HD현대 임직원, 헌팅턴 잉걸스, 안두릴, 지멘스 등의 포럼 연사, 조선업계 관계자, 학계 관계자, 정부 및 군 관계자 등 총 600여 명이 참석했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기조연설을 맡아 혁신 기술을 통한 조선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을 당부했다. 정기선 회장은 "인공지능(AI)은 선박의 지속가능성 및 디지털 제조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의 경계를 넘어서는 긴밀한 글로벌 혁신 동맹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HD현대는 첨단 역량을 기반으로 미국의 해양 르네상스를 위한 든든한 파트너로 여정에 함께할 준비가 돼있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AI 혁신 기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조선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 등 조선업의 미래 비전과 실행 방향도 제시했다. 주요 파트너사들도 연사로 참여해 혁신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존 킴 안두릴 한국 대표는 드론과 미사일 등 복합 무인 위협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대비해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방위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솔루션을 소개했다. HD현대와 안두릴은 무인수상정(USV) 공동 개발을 목표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김형택 HD현대 함정AI전문위원은 HD현대의 자율운항 기술과 안두릴의 임무자율화 기술을 결합시켜 무인함정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패트릭 라이언 미국선급(ABS)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디지털 트윈, 스마트 조선소, 자율운항 시스템, 원격 검사·로보틱스를 미래 조선업을 이끌 핵심 기술로 제시했다. 이정민 HD현대 AI전략팀장은 '데이터와 AI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해양 산업' 비전을 공유하고, 자체 개발한 ▲오션와이즈(OCEANWISE) ▲HD 에이전트 ▲명장 에이전트 등 효율성과 안전성 제고를 위한 AI 솔루션을 소개했다. 조 보만 지멘스 CTO는 AI 기반 디지털 트윈과 '마린 디지털 스레드'를 중심으로 설계-생산-유지보수를 연결하는 지능형 제조 혁신 전략을 제시하며 전 공정의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니콜라스 래드포드 페르소나 AI CEO는 인구 감소 및 고령화 추세, 숙련 노동자의 부족을 미래 산업 현장의 핵심 과제로 지적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능과 물리적 역량을 결합한 휴머노이드를 제안하고, HD현대와 공동 개발 중인 조선 산업용 휴머노이드의 현황을 공개했다. 에릭 츄닝 헌팅턴 잉걸스 부사장은 함정 사업 역량과 기업 미션을 소개하고 한·미 조선 협력 확대 계획을 밝혔다. 양사는 미 해군 군함 건조 역량 확대, 차세대 군수지원함 프로젝트 등 전략적 협력을 모색하는 한편 로보틱스·AI 분야 공동 연구개발과 기술 교류, 해상 전력의 전 생애주기 지원 및 정비체계 구축 협력도 추진할 방침이다. APEC 퓨처 테크 포럼은 글로벌 대표 기업과 정부·기관, 학계가 모여 주요 산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청사진을 논의하는 자리다. HD현대가 첫 회를 맡았으며 오는 30일까지 ▲조선 ▲방산 ▲유통 ▲AI ▲디지털자산 ▲미래에너지를 주제로 순차 진행된다. /유혜온기자 dhaledhal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