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사정 악화 시 '절약 1순위 외식비'....선호직장 '대기업>공기업>정부기관'
국내 가구주들은 재정 상황이 나빠질 경우 가장 먼저 외식비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또 의류비, 식료품비, 문화·여가비가 그 뒤를 이었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직장은 대기업, 공기업, 국가기관 순이었다. 국가데이터처가 11일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9세 이상 가구주 중 1년 전보다 가구 소득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21.5%로 나타났다. 또 감소했다고 답한 비중은 19.0%, 동일하다는 응답은 59.5%였다. 가구 부채가 전년대비 늘었다고 답한 비중은 17.7%, 감소는 13.0%, 동일은 69.3%로 집계됐다. 내년 가구의 재정 상태에 대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2년 전보다 1.3%p 증가한 27.0%로, '나빠질 것'(19.1%)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비관 응답은 1.8%포인트(p) 줄었다. 가구주의 연령이 낮고 소득이 높을수록 재정 상태를 낙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의식주와 여가를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중은 24.6%로, 2년 전(21.2%)보다 3.4%p 상승했다. 재정 상황이 악화되면 우선적으로 줄일 지출항목(복수응답)으로는 외식비가 67.2%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의류비(43.1%), 식료품비(40.4%), 문화·여가비(39.6%) 순이었다. 직업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수입(40.0%)이 1순위였다. 이어 안정성(23.3%), 적성·흥미(13.5%), 근무환경(10.0%)이 뒤를 이었다. 모든 연령대에서 수입과 안정성 순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13~34세 청소년 및 청년이 선호하는 직장은 대기업이 28.7%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공기업(18.6%), 국가기관(15.8%) 순이었다. 자영업(창업), 벤처, 중소기업, 해외취업 선호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19세 이상 취업자 중 '가까운 미래에 실직·이직에 대한 불안함을 느낀다'는 응답은 54.3%이었다. 기능·노무직, 서비스·판매직에서 불안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 취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5.6%가 '여성이 직업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답해 긍정 인식이 2년 전보다 1.4%p 증가했다. 다만 모든 연령대에서 육아부담(51.3%)을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꼽았다. 사회적 편견(14.0%), 불평등한 근로여건(11.8%) 등이 뒤를 이었다. 일·가정에 대한 가치관을 묻는 질문에는 46.5%가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중요시한다'고 응답했고,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은 34.3%, 가정생활 우선은 19.2%였다. 남성은 일 우선 응답 비중(40.0%)이 여성(26.9%)보다 높았다. 임금근로자의 전반적인 일자리 만족도는 38.3%로 2년 전보다 3.2%p 올랐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