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6·3대선 주요 공약 비교]①尹 정부서 두 차례 좌초 '노란봉투법', 민주 "재추진"vs국민의힘 "불법 파업 조장"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오는 6월 3일 실시된다. 보름 가량 남은 기간 동안 주요 대선 후보자들은 각종 공약을 발표하며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메트로경제신문>은 주요 대선 후보들의 정치·경제·사회·노동·보건 등 분야별 공약을 비교함으로써 유권자들이 정책 중심으로 차기 대통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주] 더불어민주당·노동계 주도로 추진하고, 국민의힘·경영계가 반대하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의 운명이 6·3 조기 대선과 맞물리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尹 두 차례 거부권 행사한 대표 '쟁점 법안' 노란봉투법은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하고 노조의 정당한 쟁의 행위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노란봉투법은 2014년 쌍용자동차 파업으로 인해 파업 노동자들이 47억원의 손해배상금을 내야 한다는 판결이 내려지자 시민들이 이를 돕기 위해 성금을 노란봉투에 넣어 전달하면서 입법 시도가 시작됐다. 해당 법안은 19대 국회부터 발의됐으나 계류됐다. 지난 2022년 대우조선해양 파업 당시 대우조선해양이 47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해 다시 관심을 모았다. 대법원은 지난 2023년 '노동조합의 불법 쟁의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조합원 개인에게 물을 경우 신중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민주당의 입법 추진에 속도가 붙기도 했다. 하지만, 21~22대 국회에서 노란봉투법은 두 차례 본회의 문턱을 넘으나 두 번 모두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하고 재의결되지 못하고 폐기됐다. ◆민주당, 더 강화된 '노란봉투법' 이미 발의 더불어민주당은 노란봉투법 입법을 10대 공약 노동 분야에 적시하며 개정 의지를 드러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공개된 정당별 10대 공약에 따르면, 민주당은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으로 하청노동자 등의 교섭권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가 당선되면 21대 국회에서 거대 의석을 점한 민주당 주도로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고 거부권 행사 가능성도 낮아 무난한 법 시행이 예상된다. 이 후보 선거대책위원회의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하면서 민주당의 노란봉투법 추진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민주당에선 김태선, 박홍배 의원 등이 노란봉투법을 재발의했다. ◆국민의힘 "노란봉투법 = 악법" 국민의힘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기업에 부담을 주는 노란봉투법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중앙선관위 정당별 10대 공약에도 노란봉투법과 관련한 언급은 없다. 고용노동부 장관 시절부터 노란봉투법에 반대 입장을 내비친 김 후보는 지난 15일 중소기업인협의회 조찬강연에서 중대재해법과 노란봉투법을 두고 "결정권자가 되면 반드시 이런 악법이 기업을 괴롭히지 못하게 고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노란봉투법도 헌법에 위배된다"며 "(대기업) 노조는 표가 있고 중소기업은 표가 적다는 생각이 경제를 망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문수 후보가 당선되면 민주당이 추진하고 행정부에서 거부권을 행사하는 장면이 재현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8월 노란봉투법 거부권 행사를 알리며 "지난 21대 국회에서 이미 폐기된 법안에 독소조항을 더해 여야 및 노사 당사자 간 합의 없이 야당이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법안"이라며 "소위 '불법 파업 조장법'으로 불릴 정도로 산업현장과 경제계에서는 그 피해가 고스란히 고용시장 위축과 산업 생태계 붕괴로 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첨예한 경영계 노동계 입장차 경영계와 노동계의 입장차도 극명하다. 한국경영자총연합회(경총)는 지난 14일 '주요 노동 현안에 대한 경총 입장'을 발표하고 노란봉투법은 사용자 범위를 확대해 원·하청 산업생태계를 붕괴하고 불법 쟁의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를 제한해 노사분규와 불법행위를 조장한다고 우려했다. 경총은 노조의 불법파업을 조장할 것이라며 반대 주장을 펼치고 있다. "노란봉투법은 노사관계를 크게 악화해 우리 기업과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매우 큰 사안"이라며 "노사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불법행위에 면죄부를 주기보다 사업장 점검 금지 등 합리적 노사문화 구축을 위한 법 제도가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지난 16일 중대재해처벌법과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을 '악법'이라고 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두고 "대통령 후보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노란봉투법을 두고 "가장 시급한 노동개혁 과제"라면서 "김문수의 노동 공약은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 노선을 그대로 답습하는 복사판"이라고 지적했다.

2025-05-18 16:36:09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AI, Gaming, and Camera – All in One"… Qualcomm Unveils 'Snapdragon 7 Gen 4'

Qualcomm Technologies announced on the 18th the release of its next-generation mobile platform, the Snapdragon 7 Gen 4 Mobile Platform, aimed at the mid-premium smartphone market. A Qualcomm spokesperson stated, "The Snapdragon 7 Gen 4 is the latest platform in the Snapdragon 7 series, designed to enhance the multimedia experience that users prefer and deliver overall powerful performance. Several global manufacturers are expected to adopt it." The new platform boasts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its predecessor, including a 27% increase in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erformance, a 30% boost in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rendering speed, and over a 65% enhance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performance. These improvements greatly enhance core user experiences such as photography, video recording, gaming, and AI-based functionalities. In particular, the platform features advance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Snapdragon Elite Gaming" function, providing immersive action game play and clear photographic performance. It also supports innovative features such as an on-device generative AI assistant and large language models (LLM). For the first time in the series, the platform includes a Stable Diffusion-based image generation feature, enabling users to easily create content on their mobile devices. Chris Patrick, Senior Vice President and Head of Qualcomm’s Mobile Handsets Division, stated, "We bring the user experience enabled by AI to the hardware level,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create and share conten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5-18 16:32:5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카카오, 내달 중 다음 분사 마무리… 내홍은 여전

카카오가 포털사이트 '다음(DAUM)'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18일 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다음을 사내독립기업(CIC) 형태에서 독립 법인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이달 중 마무리하기로 하고, 직원 전적에 대한 동의 절차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는 구성원 설득을 사실상 마무리 단계로 보고 있으며, 상반기 중 이사회를 열고 분사 안건을 의결할 가능성이 크다. 다음이 독립 법인으로 다시 분리되면 2014년 카카오와의 합병 이후 11년 만이다. 카카오는 2023년 5월부터 콘텐츠 CIC 체제로 다음을 독자 운영했다. 이번 분사에 대해서는 "콘텐츠CIC의 재도약과 독자적인 의사결정 구조 확보를 통해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카카오는 이번 분사에 따라 다음 소속 직원들에게 카카오 본사 잔류 또는 신설 법인 전적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사내 일각에서 제기 되는 분사와 매각설에 대해 취지가 매각이 아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정신아 대표는 지난 3월 주주총회 이후 "지금은 회사를 잘 만드는 것이 우선"이라며 "현재로선 매각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은 카카오 내부 구조로는 성장하기 어려운 상태"라며, 독립적 경영과 자율적 실험이 가능한 구조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번 분사는 다음의 검색 시장 점유율 하락과도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웹로그 분석사이트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5월 기준 다음의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은 2.79%로 3%대마저 무너졌다. 네이버가 65%, 구글이 27%에 달하는 상황과 비교하면 격차가 크다. 다음은 최근 몇 년간 블로그 종료, 카페 개편 등으로 서비스를 축소해 왔고, 2023년부터는 앱 전면 개편과 숏폼 콘텐츠, 뉴스 큐레이션 챗봇 등을 도입했으나 회복세로 이어지진 못하고 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5-18 16:02:54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빅텐트'를 넘어 '그랜드 텐트'로?… 민주당, 보수진영 인사 합류 계속될듯

더불어민주당에 김상욱 의원이 합류하고, 보수진영 인사들이 계속 넘어오고 있다. '반명 빅텐트'를 넘어 '그랜드 텐트'까지 거론하던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은 단일화는커녕 '원팀'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정작 민주당이 '진정한 빅텐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2·3 내란 사태 이후 당과 다른 행보를 보이던 김상욱 의원은 국민의힘을 탈당한 지 열흘 만인 지난 16일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전날(17일) 광주에서 유세 중인 이 후보를 만난 지 하루 만인 18일 민주당 입당을 선언했다. 김상욱 의원은 이날 국립 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에 입당해 바닥에서부터 배우면서 함께 하고 더 건강한 민주당을 만들어 함께 국민을 받드는,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며 "국민의힘의 정당으로서 기능이 거의 마비 상태인 것 같다. 야당이 되더라도 야당으로서 해야 할 견제기능조차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이런 상황이 되면 거대 집권여당 민주당이 스스로 더 건강하고 성공한 정부가 되는 것 외에는 다른 길이 없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 외에도 보수진영 인사들이 민주당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 애초 보수진영의 원로로 꼽히던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 총괄선대위원장이 된 이후, 이재명 후보의 고향인 경북 안동에서 정치활동을 하던 권오을 전 의원이 이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권 전 의원의 경우 경북지역 조직 일부와 함께 이 후보를 지원하고 있다. 또 이인기 전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의원도 이 후보 선대위에 공동선대위원장으로 공식 합류했다. 이외에도 민주당 선대위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친이(친이명박)계 좌장'으로 꼽히는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 등 대표적인 보수 인사들과도 접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민주당 등 야5당은 '내란 극복'과 통합 차원에서 함께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내란 극복' 의지만 같다면 함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이를 통해 정체성 영역을 넓히고, 국민의힘을 '내란·수구 프레임'에 가두고 있다. 보수진영은 '반명 빅텐트'를 강조했지만, 정작 합리적 보수 진영은 민주당에 합류하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비상계엄에 동의하지 않는 보수진영 인사들이 민주당에 계속 합류해 '빅텐트'를 만든 것이다. 실제로 전날 이 후보의 광주 유세에서는 김용남 전 의원이 무대에 올라 지지 선언을 했다. 검사 출신인 김 전 의원은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19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지난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상임공보특보를 맡아 활동했다. 그러나 지난해 개혁신당에 합류했고, 12·3 내란 사태 이후 보수진영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에 김 전 의원은 전날 오전 개혁신당을 탈당하고, 같은날 오후에 이 후보를 지원했다. 또 이준석 대선 후보 측과 갈등을 빚다 개혁신당을 탈당한 허은아 전 대표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중도보수 확장 시도에 대해서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앞서 허 전 대표는 국민의힘에서 '이준석 대표' 체제 당시 수석대변인을 지내며 측근으로 분류됐고, 지난해 국민의힘을 탈당해 개혁신당에 합류, 이후 대표로 선출됐다. 그러나 이준석 후보와 인사 문제 등을 두고 충돌이 벌어졌고, 지난 1월 당원소환 투표로 대표직을 잃게 된 후 탈당해 현재 무소속이다. 김상욱 의원과 김용남 전 의원이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면서, 허 전 대표도 민주당에 합류할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내란 극복'이라는 이유로 텐트가 너무 커져버렸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도보수로서 정체성을 굳히는 것은 좋지만, 당의 노선보다는 개인 정치인의 기회 창출 수단이 되면서 당내 혼란을 불러오는 것 아니냐는 의미다. 특히 이후 전국단위 선거에서 기존 세력과 새로 합류한 이들의 갈등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5-18 16:00:52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이재명 "대통령 4년연임·결선투표, 총리 국회 추천" 개헌 구상 공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8일 대통령 4년 연임제와 결선투표제 도입, 국무총리의 국회 추천 등을 골자로 한 개헌 구상을 공개했다. 그간 명확한 개헌안을 제시하지 않았던 이 후보가 구체적인 안을 내놓으면서 대선정국에서 '개헌' 역시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으로 정권에 대한 중간 평가가 가능해지면 그 책임성 또한 강화될 것"이라며 "대통령의 책임을 강화하고 권한은 분산하자"고 했다. 또 사회적 갈등을 줄이기 위해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제한과 국회의 국무총리 추천도 개헌안에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이 후보는 "본인과 직계가족의 부정부패, 범죄와 관련된 법안이라면 원천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지키지 않으면 국회가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해, 삼권분립의 가치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무총리의 국회 추천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이 총리의 권한을 존중하도록 해 국무총리로서 맡은 바 직무를 더 든든히 수행하게 하자"고 했다. 아울러 감사원은 국회 소속으로 이관해 독립성을 부여하고, 대통령의 권력기관 사유화를 막기 위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검찰청·경찰청과 방송통신위원회·국가인권위원회 등 기관장을 임명할 때 반드시 국회 동의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검찰 개혁에 대해서는 "수사기관끼리 견제가 가능해야 한다"며 영장 청구권 독점 규정 페지를 제안했고, 비상명령 및 계엄 선포에 대해서는 국회 통제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며 사전 통보 및 승인 등을 거론했다. 이외에도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정신 헌법 전문 수록과 부마항쟁과 6·10항쟁, 촛불혁명과 빛의혁명 등도 헌법에 수록될 수 있도록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자고 했다.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 시기로는 이르면 2026년 지방선거, 늦어도 2028년 총선을 언급했다. 이 후보는 "국민투표법을 개정해 개헌의 발판을 마련하고, 국회 개헌특위를 만들어 말씀드린 사항을 하나씩 합의하며 순차적으로 새로운 개헌을 완성하자"며 "논의가 빠르게 진행된다면 2026년 지방선거에서, 늦어진다 해도 2028년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국민 뜻을 물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집권 후 4년 연임제 개헌을 할 경우 현직 대통령에게도 적용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재임 당시 대통령에게는 개헌이 적용되지 않는다"며 "우리 헌법상 개헌은 당시 대통령에게는 적용이 없다는 게 현 헌법 부칙에 명시돼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또 임기 단축과 관련해서는 "왜 자꾸 임기단축 얘기를 하는 건지, 개헌을 하기 위해 대선을 치른다는 얘기인데 굳이 지금 그걸 더 당겨서 하겠다는 것은 대통령의 지위를 개인적인 영예나 사익을 위한 권력쯤으로 생각하는 사람의 발상"이라며 "국민 중심으로 본다면 다음 지방선거에 맞춰서 (개헌)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올해 당선되는 대통령의 5년 임기가 끝나는 시점과 다다음 지방선거가 치러지는 시점이 2030년으로 같은데, 차기 대통령부터 임기를 4년으로 단축할 경우 '2030년 대선·지선 동시 시행'이 불가능해진다는 의미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5-18 15:06:35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K제약, '신약강국' 향한 전략은…R&D부터 투자까지 전방위 승부수 필요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국산 신약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약개발 활성화를 촉구하고 있다. 19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창립 80주년을 맞아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 K제약의 극복과제'를 주제로 한 제28호 정책보고서를 공유했다. 해당 보고서는 우선 국내 제약 기업들이 발매한 국산 신약의 글로벌 경쟁력을 집중 조명했다. 지난 2003년 LG화학의 항생제 '팩티브'를 시작으로 2024년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에 이르기까지 총 9개의 국산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품목허가를 받았다. 특히 2019년 이후 승인받은 약물의 경우, 현재 미국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어 국산 블록버스터 탄생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대표적으로 SK바이오팜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의 올해 연간 매출 목표치는 6100억원 수준이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4387억원으로 전년 대비 62%의 커졌다. 한미약품의 호중구감소증 치료제인 바이오 신약 롤베돈은 2023년 5560만달러(약 750억원), 2024년 6000만달러(약 870억원)를 등의 매출을 올리며 증가세를 기록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오세웅 유한양행 부사장은 "매출액의 차이는 있지만 2019년 이후 약물 모두에서 의미 있는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2019년 이전에 승인받은 약물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본격적인 상업화를 이뤄내지 못한 부분을 짚은 것이다. 오 부사장은 제약 기업의 신약개발 역량과 함께 바이오텍의 플랫폼 기술도 신약개발 생태계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릭스, 알테오젠, 에이비엘바이오 등은 독자 개발한 플랫폼을 보유해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해 왔다. 특히 올해 들어, 알테오젠과 에이비엘바이오가 수조원대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K플랫폼' 몸집이 커졌다. 알테오제은 지난 3월 아스트라제네카의 미국 자회사 메드이뮨 LLC 및 영국 자회사 메드이뮨 Ltd와 1조9640억원 수준의 계약을 맺어 정맥주사 제형을 피하주사 제형으로 전환하는 원천 기술을 공급하게 됐다. 이후 4월 에이비엘바이오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4조1104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으로 뇌혈관장벽 투과 기술 '그랩바디-비' 상업화에 나섰다. 이에 대해 이동기 올릭스 대표이사는 "플랫폼 기술은 신약개발 전반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어, 단기간에 다수의 신약 후보를 도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능하게 한다"며 "이는 기술 기반 바이오텍들이 단일 파이프라인을 넘어, 지속적인 신약 창출 역량을 보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연구개발 성과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민관의 전략적 투자와 제도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신약개발 기업의 대다수는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통해 자본시장에 진입한다. 이 제도는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이 재무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코스닥 상장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문여정 IMM인베스트먼트 전무는 "신약개발 기업은 임상을 마무리하기 전까지 실질적인 매출을 내기 어렵다. 기술특례상장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매출을 기록해야 한다면 기업은 신약 후보물질을 조기에 기술이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문 전무는 "기술이전은 기업의 기술력을 외부에서 인정받는 수단이기도 하지만, 산업 전체가 '완성된 치료제의 상용화'보다 '기술이전 타이밍'에 집중하게 되면 신약개발 생태계가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그러면서도 "신약개발을 위해 특혜와 특례만을 요구할 수는 없는 만큼, 제약·바이오 특수성을 반영한 정교한 시장 규제와 제도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창립 80주년을 기점으로 세부 목표도 제시했다. 오는 2030년 신약 R&D 투자 매출액 대비 15% 이상 달성,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 5종 창출 등을 통해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2025-05-18 14:54:2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대학가 오늘] 성신여대 미술대학 60주년…동문전 ‘SAAF’ 개최 外

성신여자대학교(총장 이성근)는 지난 14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간,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마루아트센터에서 성신여대 미술대학을 졸업한 약 400여명의 동문작가가 참여하는 대규모 동문전 'SAAF(Sungshin Artist Alumni Festa)'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성신여대 미술대학 60주년을 맞아 미술대학 총동문회(회장 배달래)가 주관한 이번 전시회는 서양화, 동양화, 조소, 판화, 공예, 산업미술 등 6개 전공의 동문작가가 출품한 다양한 장르의 미술작품 400여 점을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기획전 형식이 아닌 아트페어의 '페스타(Festa)'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대중과의 소통 확대에 역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성신여대 미술대학 총동문회는 지난 2010년 35주년 기념 동문전을 시작으로 5년 주기로 졸업 동문작가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동문전을 개최해 오고 있으며 2020년 55주년의 경우 코로나19로 개최되지 못해 올해 10년만에 전 동문이 참여하는 전시로 재개됐다. 이번 전시를 총괄한 성신여대 미술대학 배달래 동문회장은 "올해부터 동문전을 '페스타' 형식으로 전환해 대중과의 소통을 확대하고 미술시장 활성화와 대중화를 함께 모색하고자 했다"며 "작가와 관람객 간의 교류는 물론, 동문 간 협업과 네트워킹의 기회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성신여대 미술대학은 1936년 설립된 성신여학교를 모태로 하고 있는 성신여자대학교가 1965년에 개설한 미술교육과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60년간 창의적 여성 미술인 양성에 기여해왔다. 동국대학교(총장 윤재웅)는 지난 15일 총장 접견실에서 부산동창회 원로회 발전기금 전달식을 개최했다. 이번 전달식에는 법학과 53학번 김용길 동문을 비롯해, 박진호(경영 65학번), 손본수(상학 67학번) 동문이 참석해 2,332만 원의 발전기금을 학교에 전달했다. 김용길 동문은 "오랜만에 모교에 와서 발전한 모습을 보니 감회가 새롭다"며 "120주년을 앞둔 시점에 로터스관 착공을 비롯해 여러 사업을 차근차근 잘 준비하는데 작게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학교 측에서는 윤재웅 총장을 비롯해 김용현 교무부총장, 이경철 대외협력처장이 참석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윤재웅 총장은 "학교에 방문하셔서 기부금을 전달해주신 부산동창회 원로회분들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전달해주신 기부금은 동문 선배님들께서 말씀 주신 것처럼 120주년을 맞이하는 학교를 위해 잘 활용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이번 기부는 동국대학교가 추진 중인 로터스관 건립사업 기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정운)는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디지털새싹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디지털새싹 사업은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SW/AI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특히 정보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외대는 이번 사업을 위해 경희대학교, ㈜자란다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SW/AI 디지털 인재양성 사업단'을 출범했다. 사업단은 경기 지역을 거점으로 전국 단위 교육을 수행하며, 올해 총 6500명의 학생에게 SW/AI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의 목표 인재상은 '디지털 시대의 AI융합 창의적 인재'로, 디지털 소양, 문제해결 능력, 능동적 협력 등 세 가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단계별 교육과정을 구성했다. '디지털 탐험가', '디지털 창작자', '디지털 혁신가' 등 학생 역량에 따라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개인별 성장 단계에 적합한 체계적인 디지털 교육을 제공할 방침이다. 주요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기본과정인 '디지털 히어로즈', 'AI 탐정단', 'AI 창업 어드벤처' 외에도, 다문화·도서벽지 등 사회적 배려 계층을 위한 특화과정으로 '지구를 구하는 요리사', '미래 로봇 손 프로젝트', '파이썬 게임 메이커스' 등이 마련돼 있다. 두일철 한국외대 AI교육단 교수(사업책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전국의 학생들에게 양질의 SW/AI 교육을 제공하고, 특히 정보 소외계층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학교, 기관,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디지털 교육 생태계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숭실대학교(총장 이윤재)는 16일 숭실대 베어드홀에서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교육장 김영화)과 지역 교육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AI·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학생 중심 교육과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새로운 교육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식에서는 숭실대 산하 학교기업인 플렉스매스와 동작관악수학·과학융합교육센터(수학) 간의 별도 업무협약도 함께 진행됐다.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학생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운영 ▲AI·디지털 기반 교원 연수 및 연구 활동 공동 추진 ▲플렉스매스&#8211;수학·과학융합교육센터 간 교육 협력 체계 구축 ▲기타 지역 교육 발전을 위한 공동 협력 사업 발굴 및 운영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문용 숭실대 연구·산학부총장은 "AI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수학과 과학을 바탕으로 한 융합 교육이 중요한 토대가 된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동작교육지원청과 함께 지역 교육 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숭실대와 동작관악교육지원청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역 교육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긴밀한 파트너십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숭실대 문용 연구·산학부총장, 이종규 플렉스매스 대표, 정달영 명예교수, 정재현 연구·산학협력처장, 조성민 대외협력팀장, 동작관악교육지원청 김영화 교육장, 김갑철 교육지원국장, 이정재 수학·과학융합교육센터장, 류인철 초등교육지원과장, 김정은·박서희 장학사가 참석했다. 삼육대학교(총장 제해종) 자유전공학부는 'AA(Academic Advisor) 교수 상담제도'를 도입해 학생 맞춤형 전공·진로 상담을 강화하고 있다. 이 제도는 전공 선택과 진로 설계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해 전담 교수가 정기적으로 1대 1 상담을 제공하는 맞춤형 지원 체계다. 학생 개개인의 학업 성향, 적성, 흥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전공과 진로를 연계하고, 인턴십·PBL·교환학생 등 비교과 프로그램까지 연결해 주는 것이 핵심이다. 상담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심리·정서 지원까지 포함한 진로 준비 전반을 포괄한다. AA 교수는 학생 1인당 한 학기에 최소 2회 이상 대면 또는 비대면 방식으로 상담을 진행하며, 필요시 학과 및 교내 학생상담센터 등 전문 부서와의 연계도 이뤄진다. 김용선 자유전공학부장은 "다양한 전공 선택지를 가진 자유전공학부 학생일수록 오히려 방향 설정에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AA 상담제도는 학생의 강점과 목표를 종합적으로 파악해, 개인별 최적의 진로 로드맵을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장지호)는 10일 서울 경복궁 일대에서 '2025 외국인 유학생 한국문화체험'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사이버한국외대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의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한국 사회와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하고 구성원 간 자연스러운 교류를 나누며 소속감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이버한국외대 글로벌교육원의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참여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 베트남 유학생은 "한복을 입고 고궁을 함께 걸으며 한국의 전통을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낄 수 있어 매우 특별했던 오래 기억하고 싶은 하루였다"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출신의 또 다른 학생은 "문화적 배경이 다른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어 좋았고 궂은 날씨도 모두와 함께 웃으며 보낸 덕분에 오히려 기억에 남는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사이버한국외대는 오는 6월 1일부터 7월 17일까지 2025학년도 2학기 신·편입생을 모집한다.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라면 거주지나 국적에 관계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입학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5-18 13:53:5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SKT 유심 유출 ‘귀책 사유’인가…위약금 면제 놓고 법 해석 충돌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에 위약금 면제 여부를 두고 법적인 해석이 첨예하게 나뉘고 있다. 피해 이용자들은 집단분쟁조정 신청을 통해 위약금 면제와 손해배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법조계 일각에서는 약관상 요건 미충족을 근거로 반론을 제기하고 있어 논란이 될 전망이다. 18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SK텔레콤 가입자들의 집단분쟁조정 신청이 이어지는 가운데 위약금 면제를 둘러싼 법적 해석이 크게 두 갈래로 갈리고 있다. 현재 핵심 쟁점은 ▲SK텔레콤의 '귀책 사유'가 위약금 면제 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 ▲손해배상 책임과 위약금 면제의 법적 성격 구분 등 두 가지다. 첫 번째 쟁점은 SK텔레콤의 '귀책 사유'가 위약금 면제 요건에 해당하는지를 둘러싼 해석 차이다. 이 논의는 가입자 측과 SK텔레콤 측이 '서비스'의 범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엇갈린다. 우선 피해 이용자들과 일부 법조인은 SK텔레콤의 정보보호 조치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유심 정보 유출이 '회사 귀책 사유'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SK텔레콤이 통신서비스 전반에 대한 책임 주체라는 점에서, 보안 실패 역시 통신서비스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논리다. 이철우 변호사는 "법조계에서는 이번 유출 사태가 통신서비스 급부의무와 직접 관련이 없는 귀책이므로 위약금 면제 대상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음을 안다"면서도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고려할 때, 위약금 면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다"고 주장했다. 여타 법조인들은 약관상 '귀책 사유'는 통신서비스의 실질적인 제공 의무, 즉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 등 통신 본기능에 차질이 있을 경우로 한정된다고 지적한다. 이번 사고로 인해 통신 품질이나 이용 가능성에는 문제가 없었던 만큼, 계약상 위약금 면제 조항은 적용되지 않는다는 해석이다. 이희정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위약금 면제와 사이버 침해에 따른 손해배상은 서로 다른 조항에 근거한 문제이므로 별개로 판단해야 한다"면서 "유심 해킹 사고가 통신 서비스 중단을 초래한 것은 아닌 만큼, 위약금 면제를 요구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 쟁점은 위약금 면제와 손해배상의 법적 성격을 구분해야 하는지에 관한 논의다. 이용자 측은 이번 유심 정보 유출 사태가 SK텔레콤의 관리 소홀에 따른 명백한 법적 책임 사안이라며, 위약금 면제와 별도로 손해배상도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정신적 피해와 향후 2차 피해 가능성까지 감안할 때, 기업의 귀책에 따른 배상 책임이 명확하다고 본다. 법무법인 이공은 "이번 사건은 계약 해지 여부를 넘어, 개인정보 보호법상 침해에 해당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신속하고 실질적인 권리 구제를 위해 조정 절차를 병행하고 있으며, 추후 조정안 수용 여부에 따라 민사소송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법조계 다수는 위약금 면제와 손해배상은 서로 다른 법적 조항에 근거하기 때문에 구분해서 접근해야 한다는 견해다. 위약금 면제는 약관상 통신서비스 제공의 적정성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반면, 손해배상은 개인정보 침해에 따른 민법상 불법행위나 정보보호법 위반 여부에 따라 별도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약금 면제 논의는 국회에서도 관심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입법조사처에 '이동통신사가 자발적으로 위약금을 면제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입법조사처는 "SK텔레콤 가입 약관에는 '회사의 귀책 사유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 위약금 납부 의무를 면제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며 "이번 해킹 사고가 회사 귀책에 해당한다면, 이를 근거로 위약금을 면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유영상 SK텔레콤 CEO에 따르면 유심 해킹 사고에 따른 대규모 위약금 면제가 현실화될 경우 예상되는 매출 손실은 약 7조 원에 이를 수 있다는 게 SK텔레콤 측 입장이다.

2025-05-18 13:44:16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AI 에이전트 도입, 기대 반 우려 반..."정부·기업 협력이 열쇠"

AI 에이전트(인공지능 비서) 도입을 둘러싼 사회적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AI 에이전트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협력적인 연대 관계를 이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는 정부 서비스에 인공지능 비서가 도입되길 바라는 시민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고객관계관리(CRM) 플랫폼 기업 세일즈포스가 올 3월 발표한 미국인 1000명 대상의 AI 에이전트 관련 설문 조사에 의하면 응답자 10명 중 9명 가까이가 정부 서비스에 절차 간소화와 응답 시간 단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비서 활용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조사에 응한 미국인의 87%는 정부 서비스 절차 탐색에 24시간 연중무휴로 대응하고, 관련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이 같은 설문 결과는 정부 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지고, 각종 행정 절차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사 결과 미국인의 3분의 1 이상은 정부 서비스 발견과 접근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정부에 도움을 요청할 방법(46%), 필요한 공공 서비스 찾기(35%) 등에서 불편을 호소했다. 또 미국인들은 금융 지원 신청에 10시간, 복지 프로그램 등록에 9시간, 면허나 허가 신청에 8시간, 정부 수수료 납부에 3시간을 허비한 것으로 추정됐다. 세일즈포스는 AI 지원을 통해 공공 서비스에 투입되는 시간을 최대 63%까지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들은 정부 서비스에 AI 에이전트 도입을 희망하면서도, 공공 부문과의 상호작용에서 인간적 교류 단절, 정보의 부정확성, 데이터 보안 위험, 책임성과 투명성 결여 등에 대한 염려를 표했다. 이러한 우려를 입증하듯 최근 연구에서 AI 시스템이 인간의 지시와 다른 목표를 추구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숨기는 '스키밍'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스키밍은 AI가 겉으로는 사용자 명령을 따르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자체적인 목적 달성을 꾀하고, 이를 의도적으로 감추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 AI보안연구소는 인공지능 비서의 위험 완화를 위한 통제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이는 AI 에이전트의 스키밍 수준에 따라 차등화된 보호 장치를 설계해 적용하는 AI 통제 전략으로, 인공지능 비서의 추론 과정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인간의 승인 요구, 민감한 리소스 접근 제한, 의심스러운 동작 감지 시 배포 종료 등이 포함된다. AI 에이전트의 도입에 대한 환영과 경계의 시선이 엇갈리는 가운데, 인공지능 비서가 사회 전 영역에 걸쳐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민관의 상호 보완적 협력 체계 구축이 필수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대형 DS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SPRi의 'SW(소프트웨어) 중심사회 5월호'에 실린 'AI 에이전트의 도래, 기업과 정부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란 보고서에서 "AI 에이전트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핵심이다"면서 "기업은 기술을 실질적인 성과로 전환하는 실행력을 갖춰야 하며, 정부는 제도와 인프라 측면에서 뒷받침하는 조력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관이 각자의 장점을 살려 상호 보완적인 전략을 취할 때 AI 에이전트의 잠재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업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내재화 역량 강화, 전사적 운영 체계 정비, 인재와 조직 문화 재정립에 나서고, 정부는 산업 실증 지원, 공공 영역 도입 선도, 국제 표준 주도, 윤리·리터러시 제고를 통해 제도적·사회적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보고서는 조언했다.

2025-05-18 13:40:14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