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트럼프, 하마스에 경고 "15일까지 인질 모두 석방 안 하면 휴전 취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하마스를 상대로 15일까지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인질을 모두 석방하지 않으면 휴전을 취소하겠다고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취재진에 "이스라엘 결정이지만, 인질들이 토요일(15일) 정오까지 모두 돌아오지 않으면 (휴전을) 취소할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두세 명씩 야금야금 돌아오는 게 아닌 전원 석방되지 않는다면 지옥이 열릴 것"이라며 "난 그들(하마스)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하마스는 이날 이스라엘이 휴전 협정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며 15일 예정된 6차 인질 석방을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하마스는 이스라엘 군대가 인도적 지원을 방해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피란민에게 발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배상도 요구했다. 이스라엘은 긴급 안보 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가자지구를 점령해 개발한 후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거주할 권리를 주지 않겠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그는 "팔레스타인인들은 갈 수 있는 곳을 찾을 수만 있다면 가자지구를 떠나고 싶어 한다"며 "이전까진 대안이 없었지만 이제 대안이 생겼다"고 말했다.

2025-02-11 10:28:41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JW중외제약, '세계 빈혈 인식의 날' 캠페인 열어..."빈혈치료 중요성 알려"

JW중외제약은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JW사옥에서 '세계 빈혈 인식의 날' 기념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매년 2월 13일은 '세계 빈혈 인식의 날'로, 지난 2022년 환자혈액관리학회(SABM)와 비영리단체 휴먼터치미디어재단이 공동 제정했다. 올해에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빈혈과 철결핍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 조치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JW중외제약은 임직원들에게 '세계 빈혈 인식의 날'의 의미와 빈혈 치료의 중요성을 알렸다. 빈혈은 전 세계적으로 20억 명 이상이 겪고 있는 질병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만 10세 이상 인구의 빈혈 유병률은 11.6%에 달한다. 특히 전체의 80% 이상이 철결핍성 빈혈로 분류된다. 체내 항상성 조절 물질인 사이토카인의 기능 저하로 철분을 비롯한 조혈 영양소의 흡수와 운반이 원활하지 않아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노인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염증성 질환 등 만성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빈혈은 방치하면 심장 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빈혈은 조기 발견과 정기적인 검사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철결핍성 빈혈은 경구용 철분제나 정맥 철분주사제로 치료할 수 있다. JW중외제약의 경우 고용량 철분주사제로 '페린젝트(성분명 페릭 카르복시말토즈)'를 공급하고 있다. 페린젝트는 하루 최대 1000㎎의 철분을 최소 15분 만에 보충할 수 있어 철결핍 또는 철결핍성 빈혈 위험이 높은 여성, 만성 출혈 환자, 출혈이 발생하는 다양한 수술 및 항암요법 등에서 쓰인다. JW중외제약은 앞으로도 철결핍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 삶의 질 개선에 힘쓰겠다는 방침이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2-11 10:16:07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건국대 연구진, 식물이 가뭄 이겨내는 비밀 밝혔다

건국대학교는 윤대진 글로벌식물스트레스연구센터 교수 연구팀이 식물이 가뭄을 견디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사조절인자(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화 메커니즘을 새롭게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식물 과학 및 농업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New Phytologist (IF=8.3)에 1월 31일 온라인 게재됐다. 윤대진 교수(교신저자, 건국대 의생명공학과), 샤자린 박사(제1저자, 건국대 글로벌식물스트레스연구센터), 알리 악타 박사(공동 제1저자, 건국대 글로벌식물스트레스연구센터)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에서는 식물이 건조한 환경에 놓였을 때 가뭄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분석했다. 식물은 스스로 이동할 수 없지만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면 식물은 ABA(압시스산)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을 생성하는데, 이 호르몬이 신호를 전달해 기공을 닫고 수분 증발을 막는 방식으로 생존을 돕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생체 방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조절인자다. 그동안 전사조절인자가 언제, 어떻게 생성되고 분해되는지에 대한 분자적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윤 교수팀은 이 연구를 통해 식물이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전사조절인자의 생성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으며, 이를 통해 가뭄 저항성 식물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전 세계 육지의 40% 이상이 사막화되고 있으며, 이는 식량 생산 감소와 환경 문제로 이어져 인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작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단순한 학문적 성과를 넘어,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가뭄에 강한 작물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기후변화 시대에 식량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건국대 글로벌식물스트레스연구센터는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선도연구센터사업에 선정돼돼 7년간 총 112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연구센터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신호 전달 및 생체 방어 기작을 집중 연구하며, 이를 통해 미래 식량 및 환경 문제 해결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11 09:52:20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SLL, 아시아-캐나다 크리에이터 협업 프로젝트 시작

글로벌 IP 파워하우스 SLL이 캐나다의 비영리 단체 'RESO(Racial Equity Screen Office)'와 협력해 아시아와 캐나다 콘텐츠 시장을 연결하는 크리에이터 협업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이는 SLL이 캐나다와 협력하는 첫 번째 사례로 아시아와 캐나다 간 공동 기획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새로운 협력 구조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RESO는 캐나다 내 다인종 크리에이터들이 공정한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신인과 기성 크리에이터 간의 네트워킹과 기획 개발을 돕는 비영리 단체다. '캐나다 작가 프로그램(CAPCA)'은 SLL이 캐나다 미디어 펀드(CMF)의 지원을 받아 RESO와 협업해 캐나다 현지 크리에이터들을 대상으로 3월부터 10월까지 4편의 작품을 공동 기획·개발하며, 해당 작품들을 7월에 열리는 EXNW 2025(East by NorthWest 2025) 쇼케이스에서 선보이고 배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캐나다 작가 프로그램에서는 12주 동안 SLL이 제작·방영한 기존 IP 2편과 참가자들이 제안하는 자체 IP 2편을 공동 기획한다. 한국과 캐나다 제작진 간 협업을 기반으로 현지 및 글로벌 시장의 수요를 반영한 작품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SLL을 포함해 다양한 국가의 크리에이터와 협업하며 폭넓은 프로젝트를 개발해온 글로벌 제작사 써드컬처컨텐츠주식회사의 대표 션 리차드(Sean Richard Dulake)와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의 프로듀서 제니스 추아(Janice Chua)가 프로듀싱 컨설턴트로 참여한다. 이외에도 이번 프로그램에 선정된 크리에이터들에게는 한국 방문 워크숍 기회가 제공되어 한국 콘텐츠 시장의 성공 요인과 제작 과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나 조(Hanna Cho) RESO 대표는 "캐나다 작가 프로그램은 캐나다 콘텐츠의 저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아시아 콘텐츠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캐나다 크리에이터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서 SLL 제작부문대표는 "SLL과 RESO의 국경을 넘어선 협업은 SLL이 아시아와 캐나다 크리에이터들을 연결하며 새로운 협력 모델을 제시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창의적인 시도를 이어가며 콘텐츠 시장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5-02-11 09:44:45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인하대, 2024 우수교육상 교수자 8인 선정…“대학 교육 내실화”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대학 교육 발전에 기여한 교원을 발굴하고, 교육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우수교육상 수상자'를 선정하고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인하대는 지난 2개 학기를 수강한 학생들이 작성한 강의 평가와 교수 역량을 바탕으로 우수교육상 수상자를 선정했다. 함명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전자재료물성' 강의에서 이론과 프로젝트 수행을 균형 있게 구성해 협업 능력과 창의적 사고를 증진시키고자 한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진형준 고분자공학과 교수는 '유기화학 1' 수업에서 다양한 시각적 자료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했다. '구조역학' 강의로 수상한 이창열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어려운 전공 개념을 실생활에서의 사례와 접목하고, 참여형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집중도를 높였다. 장경호 사회교육과 교수는 '국가경제의 탐구와 연습' 수업에서 미래 교사가 될 학생들이 경제 이론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했다. '화법교육론' 강의로 수상한 장성민 국어교육과 교수는 수업에 플립드러닝과 PBL(문제기반학습) 방식을 적용하고, '생각쪽지'를 도입해 학생들이 성찰과정을 경험하도록 했다. 홍예지 아동심리학과 교수는 '언어지도' 수업에서 복습과 경험 위주의 학습을 강조해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을 독려했다. '프로그램 언어' 과목으로 수상한 이경자 프런티어학부대학 교수는 정교하게 구성된 팀 프로젝트와 실습으로 학생의 소프트웨어 리터러시와 융합적 사고능력 함양을 도모했다. 조경철 화학과 교수는 '화학 1' 수업에서 인문학과의 결합, 실생활과의 접목을 시도해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면서 강의 이해도를 높였다. 인하대 교수학습개발센터는 2024학년도 우수교육상 수상자의 사례를 담은 '우수교육 사례집'을 발간해 우수한 교수법 사례를 공유할 계획이다. 조명우 인하대 총장은 "인하대의 발전과 후학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교수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며 "우수한 교수자의 노하우를 발굴하고 공유하는 일은 우리 학교 발전에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11 09:44:1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이어 반도체·자동차도 관세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 담긴 포고문에 서명한 뒤 이 같이 밝혔다. 그는 관세 부과 조치에 "예외나 면제가 없다"며 반도체, 자동차 등으로 관세 부과 품목을 늘려나갈 계획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지난 4일부터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한 데 이어 국가를 가리지 않는 보편 관세 성격의 관세를 일부 품목에 도입하면서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조처는 주요 대미 철강 수출국 중 하나인 한국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당시 우리나라는 미국과 협상을 통해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수용했다.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t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지만 앞으로 25%의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반도체 등의 관세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에도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2025-02-11 09:42:10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아산 프로티어 아카데미, 14기 모집..."차세대 사회혁신 리더 양성"

아산나눔재단이 오는 3월 17일까지 아산나눔재단 홈페이지에서 '아산 프론티어 아카데미' 14기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11일 밝혔다. 아산 프론티어 아카데미는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리더십과 경영 능력을 갖춘 사회혁신가를 양성하는 아산나눔재단의 전문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번 14기 교육은 올해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 과정으로 구성된다. 교육에서 수강생들은 맥킨지의 7단계 문제해결 방법론을 학습하고 사회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비영리 조직의 전략 수립과 실행, 다면적 통찰과 리더십, 소셜 임팩트 측정 및 관리 등 핵심 역량도 강화한다. 또 해외 선진 기관을 탐방하는 글로벌 스터디도 참가한다. 모든 강의는 영역별 국내 최고의 전문가가 담당하고 약 200여 시간의 교육 과정에 대한 비용 전액은 아산나눔재단에서 지원한다. 본 프로그램에는 소셜섹터 내 현직 종사자 외에도 비영리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창업가 혹은 예비 창업가, 사회혁신 활동에 의지가 있으며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CSR 담당자, 개발자, 마케터, 디자이너 등도 지원이 가능하다. 서류 및 면접 심사를 거쳐 4월 중 35명의 최종 합격자 명단을 발표한다. 아산나눔재단은 오는 14일 오후 7시 예비 지원자들을 위한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한다. 교육 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함께 서울대학교 이재열 사회학과 교수 특강, 아카데미 동문들의 참가 후기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2-11 09:39:03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Naver and Kakao Break Their Commitment to Proprietary AI and Shift to a 'Two-Track' System

Naver and Kakao have revised their business strategies to move from using only their ow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to incorporating third-party large language models (LLM). This shift is seen as an effort to accelerate the enhancement of their businesses or services by integrating externally advanced LLM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10th, both Naver and Kakao have decided to modify their previous strategy of relying solely on their own LLMs. Instead, they announced that they will adopt a two-track approach, utilizing multiple LLMs as needed. Until now, Naver had developed its own LLM, "HyperCLOVA X," while Kakao had developed "Kanana." However, among these changes, Naver announced its revised AI strategy during its 4th-quarter earnings conference call on the 7th, drawing attention to CEO Choi Soo-yeon’s participation in the "AI Action Summit." The summit, which gathers leaders from global AI companies, offers an opportunity for discussions on AI business matters with relevant stakeholders. In the recent conference call, CEO Choi Soo-yeon stated, "We have kept the possibility open for collaboration with various external LLMs, including those from global big tech companies." She added, "Although there have been no cases of using third-party LLMs in service offerings yet, we are relatively flexible and are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LLMs." She further added, "While competitors are expanding AI capabilities indefinitely, HyperCLOVA X aims to efficiently build model capabilities and speed optimized for Naver services." Based on CEO Choi’s statement, the IT industry suggests two possible directions. One is that HyperCLOVA X will be utilized for the integration of Naver services, while external LLMs will be used to enhance internal services. The other possibility is that Naver could separate the use of LLMs for areas that require a closed model, such as B2B business, and areas that need to adapt quickly to changes, such as B2C business. On the 4th, Kakao held a press conference with Sam Altman, CEO of OpenAI, and announced plans to integrate OpenAI’s ChatGPT into its own LLM, "Kanana." Kakao CEO Jeong Shin-a explained the partnership in a keynote presentation, stating, "By collaborating with OpenAI, a company with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e aim to provide innovative customer experiences and lead the popularization of AI services." Kakao has decided to utilize OpenAI’s latest AI technology APIs for its major services, including KakaoTalk and Kanana. Furthermore, in order to accelerate its transition to becoming an "AI native company," Kakao has also decided to introduce ChatGPT Enterprise. Kanana is an AI agent service that not only provides contextual responses in one-on-one conversations but also understands and engages in group chats, helping users build and strengthen relationships. Kakao plans to further enhance this with OpenAI's technology to offer users the highest level of AI experience. Kakao had already set up an "AI orchestration" strategy to use external LLMs and has been preparing for its implementation. In the second half of last year, Kakao formed a separate AI orchestration team to develop a strategy for leveraging global big tech LLMs. Kakao's AI orchestration strategy is seen as a way to complement its relatively lagging AI capabilities. Last year, Kakao decided to abandon its self-developed LLM "KoGPT," which had been delayed for release, and instead declared a complete restart of its AI efforts. CEO Jeong Shin-a also stated, "We are now in a game where the focus has shifted from the competition between language models to providing meaningful services that users can actually use. Kakao is currently considering AI solutions that can be integrated into our services." There are concerns from some quarters regarding Naver and Kakao’s two-track strategy of utilizing external LLMs. An industry insider noted, "The concept of 'sovereign AI,' which refers to AI sovereignty, is gaining attention." They added, "I hope that the two-track strategy of relying on external LLMs does not lead to neglecting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LLM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11 09:18:3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Samsung and LG Clash in the U.S. HVAC Market: Residential Outdoor Units vs. Industrial Chillers

South Korea's leading home appliance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are accelerating their efforts to target the North America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market. Samsung Electronics is aiming at the residential market with its outdoor unit for the unitary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while LG Electronics is focusing on the industrial sector through its "chillers." Samsung and LG will participate in the AHR Expo, the largest HVAC exhibition in North America, which will be held in Orlando, Florida, from February 10-12 (local time). The AHR Expo is an event host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 where over 1,800 global companies will showcase the latest products and technologies. Samsung Electronics will showcase its high-efficiency hybrid inverter outdoor unit, the "Hyrex R454B," at the event. This is a solution aimed at targeting the North American residential unitary market. Unitary systems are a North American-specific air conditioning method used in homes or small to medium-sized buildings, where cool air is distributed through ducts for cooling. With the Hyrex outdoor unit, Samsung Electronics presents a differentiated solution that is highly compatible with indoor units and easy to install. The Hyrex outdoor unit can use existing refrigerant piping and wiring during replacement, and it allows for connections with pipes of various sizes, increasing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reducing costs. Samsung Electronics has set up a 350㎡ (approximately 100-pyeong) booth. The company will showcase a range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HVAC solutions, including the following: ▲ high-efficiency hybrid inverter outdoor unit "Hyrex (Hylex) R454B," ▲ residential heat pump "EHS," and ▲ high-efficiency system air conditioner R32 "DVM" lineup. The residential heat pump EHS is a solution for underfloor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By using air heat and electricity to generate hot water, it is more efficient and produces less carbon compared to boilers that use fossil fuels. The commercial DVM large-capacity system air conditioner has been designed with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mind, utilizing R32 refrigerant, which has about 32% of the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of the conventional R410A refrigerant. Choi Hang-seok, Executive Director of Samsung Electronics' DA Business Division, stated, "We will actively target the global HVAC market, including the North American market." At this exhibition, LG Electronics is targeting the high-efficiency HVAC market with its "chiller" products. Recently, chillers have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due to the growing demand for heat management in large buildings, including AI data centers, driven by the investment in AI infrastructure by big tech companies. Chillers circulate cold water through heat exchangers to supply cool air. They are primarily installed in large buildings or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In its year-end personnel changes last year, LG Electronics established a new ES Business Division with the goal of becoming a global top-tier integrated HVAC company. The company has set up a 646㎡ (approximately 195-pyeong) space to offer customized HVAC solutions, from industrial to residential applications. This year, the space has been expanded by 73㎡ compared to last year, reaching a total of 646㎡. LG Electronics introduced a "no-oil inverter turbo chiller" that does not use lubricating oil on the motor shaft. By applying magnetic bearing technology, the motor shaft of the high-speed compressor is levitated and supported by electromagnetic force, reducing friction loss and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addition to the chiller, LG also presented its heating lineup. The "inverter heat pump" lineup is designed to cater to various climates across the U.S. Considering the prevalence of large single-family homes in North America, the system offers residential heating and cooling solutions in a unitary format that uses ducts, meeting the diverse needs of local customers. The "Residential Cold Climate Heat Pump," which won the "2025 AHR Innovation Award" in the Sustainability Solutions category, maintains stable heating performance even at -35°C. Lee Jae-sung, Head of LG Electronics' ES Business Division (Vice President), stated, "We will accelerate our B2B business with various space- and climate-customized heating and cooling solutions, including chillers, which are gaining attention as heat management solutions for AI data centers." He added, "We will expand our influence in the global HVAC marke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11 09:13:20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