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미래에셋증권 2분기 영업이익 5000억 넘어…전년 대비 83.1%↑

미래에셋증권이 올해 2분기에도 깜짝 실적을 기록하며 호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해 영업이익 1조원을 회복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8000억원이 넘는 이익을 올리며 실적 모멘텀을 입증했다. 7일 미래에셋증권은 연결 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5004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733억원)보다 83.1%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4059억원으로 103.2% 급증했으며, 매출액은 7조69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9% 늘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8466억원, 순이익 6641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55.7%, 80.3% 증가한 수준이다. 상반기 누적 매출액은 13조7475억원에 달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연출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번 분기 컨센서스는 영업이익 3772억원, 순이익 2671억원 수준이었다. 실제 실적은 이를 각각 33%, 51% 초과했다. 구체적으로는 해외법인의 세전이익은 1061억원으로 2분기 연속 1000억원대 기록을 세웠다. 상반기 누계는 2242억원이다. 미래에셋증권의 상반기 전체 세전이익 중 26%가 해외에서 창출된 것이다. 미래에셋증권 측은 "미국, 홍콩,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 상장지수펀드(ETF) 중심의 비즈니스가 주요 실적을 견인했으며, 인도 미래에셋쉐어칸은 브로커리지 중심 비즈니스에서 자산관리(WM)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하며 현지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고 밝혔다. WM 부문에서는 고객자산 약 533조원(국내 453조4000억원, 해외 79조4000억원), 연금자산 47조3000억원으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특히 퇴직연금 잔고는 32조1000억원으로, 상반기 약 3조원 증가해 총 42개 퇴직연금 사업자 중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 투자목적자산은 혁신기업 투자 포지션 평가이익이 반영되며 약 1300억 원의 순손익을 기록했다. 미국과 중국의 혁신기업에 투자한 자산의 공정가치 상승분이 크게 반영됐다. 기업금융(IB) 부문에서는 상반기 총 10건의 IPO 주관 실적을 통해 리그테이블 1위에 올랐다. 한편, 미래에셋증권은 어닝스콜(실적 설명회)에서 하반기 추진 계획도 발표했다. 전통자산과 디지털자산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올인원(All-in-one)' 서비스를 구현하고, 파격적인 스톡옵션 보상체계를 마련해 디지털자산, 인공지능(AI), IT 역량을 갖춘 우수 테크 인재 영입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또한, 데이터 기반 디지털 자산관리와 프라이빗뱅킹(PB) 서비스를 결합한 전담 조직 'WM Studio'를 출범시키고 현재 50명 수준인 디지털PB 인력을 대폭 늘릴 예정이다. 글로벌 부문에서도 미국, 홍콩, 싱가폴 등 자산관리 성장성이 높은 시장에서 WM 비즈니스를 적극 추진하고, 미국, 중국, 인도와 같은 고성장 시장의 기술혁신 기업 투자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2025-08-07 10:25:50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반도체' 덕에 경상수지 역대 최대… 7월도 흑자 가능성↑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142억달러를 넘어서면서 26개월 연속 흑자흐름을 이어갔다. 미국의 관세정책이 시행되기 전 반도체를 미리 사두려는 기업들이 증가하면서 수출 증가폭이 커진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2025년 6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142억7000만달러 증가했다. 흑자폭은 역대 최대로, 26개월 연속 흑자세다. 경상수지는 외국과의 상품, 서비스의 거래와 외국에 투자한 대가로 벌어들이는 배당금, 이자 등의 소득 거래 등을 합산한 통계다.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등 4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무역수지와 연동된다. 6월 경상수지는 상품수지와 본원소득수지가 증가하며 흑자세를 이끌었다. 상품수지는 한달 전(569억3000만달러)보다 증가한 131억6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수출은 603억7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2.3%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1년 전과 비교해 컴퓨터 주변기기는 13.6%, 반도체는 11.3%, 의약품은 51.8% 늘었다. 신승철 경제통계1국장은 "반도체, 컴퓨터 주변기기 등 IT품목의 호조가 지속됐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선수요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수입은 471억달러로 1년 전과 비교해 0.7% 늘었다. 통관 수입을 보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석유·석탄 등 원자재는 6.4% 감소했고, 반도체제조장비등 자본재가 14.8% 증가했다. 본원소득수지는 한달전과 비교해 20억1000만달러 증가한 41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배당소득수지는 배당수입이 늘어났지만 배당 지급이 줄며 34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이자소득수지는 9억4000만달러 늘었다. 반면 서비스수지는 25억3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서비스수지는 가공서비스, 운송, 여행, 건설, 지식재산권 사용료 등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선박이나 항공기가 상품을 나르고 외국으로 받은 운임, 외국관광객이 쓰고 간 외화는 수입으로 기록되지만, 우리나라가 외국에 지급한 항공기의 운항경비, 해외여행경비는 서비스 지급으로 나타난다. 서비스 수지 중 여행수지는 6월 연휴효과가 소멸되면서 한국에 온 외국인이 줄며 10억1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도 2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172억9000만달러 증가했다. 전월(67억1000만달러)과 비교해 증가 폭이 2배 넘게 커졌다. 직접투자는 31억8000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에서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39억2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7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44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98억4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54억1000만달러 늘었다. 이날 신 국장은 7월의 경상수지는 6월보다 감소할 순 있지만 큰 흑자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관세정책의 영향을 받으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7월 수출호조가 이어지고 배당수익이 들어올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는 "한미 관세정책에서 다른 나라와 비교해 불리한 조건이나 경쟁력이 떨어지는 부분은 없었다"며 "반도체는 예전 반도체 호황기때보다 관련제품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반도체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호조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2025-08-07 10:23:46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특징주] 하이브, '부당거래' 의혹에도 강세...2분기 역대 최대 매출

상장 과정에서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받고 있는 하이브가 2분기 호실적에 강세를 보이고 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0분 기준 하이브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7.34% 상승한 27만8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하이브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7056억원, 영업이익은 659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0.2%, 20.5%씩 증가한 수치다. 특히 공연 부문 매출이 31% 급증하면서 실적을 견인했고, 기획상품(MD)·라이선싱 부문도 40% 성장하며 동반 상승했다. 하반기 전망도 긍정적이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동사 3분기 공연 모객수는 전년 동기보다 123% 급증한 150만명 수준이 확실시되고, 이에 따라 3분기 영업이익도 819억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24% 증가할 것"이라며 "서구권 모객 급증, 현지화 그룹 수익화, 한한령(한류 금지령) 해제시 수혜 가능성을 모두 갖춘 유일한 엔터사"라고 평가했다. 한편, 방시혁 하이브 의장은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하이브 본사 역시 서울지방국세청 세무조사를 받았으며,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8-07 09:56:38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KCC글라스, 경기 수원에 '홈씨씨교실' 8호점 門…사회공헌

창성사 지역아동센터내 아동 교육시설 새롭게 리모델링 KCC글라스가 아동 교육시설 환경 개선 사업인 '홈씨씨교실' 8호점을 경기 수원 장안구에 있는 창성사 지역아동센터에 열었다. 7일 KCC글라스에 따르면 홈씨씨교실은 회사의 대표적인 '업(業) 연계형' 사회공헌 사업 중 하나다. 인테리어 전문 브랜드인 '홈씨씨'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낡은 아동 교육시설을 새로운 공간으로 리모델링한다. 특히 단순한 시설 개선에만 그치지 않고 시설 이용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사회적 가치 창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KCC글라스는 2022년부터 해당 사업을 통해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등 전국 주요 지역의 아동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환경 개선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홈씨씨 수원점'을 중심으로 수원 지역 내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수원시에 6·7호점을 연데 이어 올해까지 수원에만 세 번째이자 홈씨씨교실 8호점을 오픈했다. 이번 리모델링은 고단열 창호인 '홈씨씨 윈도우 ONE'과 방염 기능을 갖춘 인테리어용 필름인 '비센티 인테리어필름' 등 에너지 효율과 안전을 고려한 KCC글라스 홈씨씨의 최신 자재가 다양하게 활용해 아동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안전성과 쾌적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KCC글라스 관계자는 "KCC글라스는 아동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홈씨씨교실을 통해 교육시설에 대한 환경 개선 지원을 지속해 오고 있다"며 "보다 많은 아동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 활동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8-07 09:44:0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제기동역 아이파크 1순위 평균 92대 1…소형 통했다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에 들어서는 '제기동역 아이파크'가 특별공급에 이어 1순위 청약에서도 흥행에 성공했다. 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6일 진행된 제기동역 아이파크 1순위 청약에는 총 38가구 모집에 3503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92.18대 1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전용 59㎡A와 59㎡B 타입에서 나타났다. 59㎡A는 12가구 모집에 1197명이 접수돼 99.75대 1, 59㎡B는 4가구 모집에 399명이 몰려 동일한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51㎡(10가구) 64.6대 1 ▲44㎡A(8가구) 60.25대 1 ▲44㎡B(4가구) 56대 1 등 전 주택형에서 두 자릿수 경쟁률을 나타냈다. 앞서 지난 5일 진행된 특별공급에서도 총 44가구 모집에 2347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53.3대 1을 기록한 바 있다. 특히 생애최초(1550건)와 신혼부부(674건) 유형에 청약이 집중되며 실수요자의 관심이 이어졌다. 제기동역 아이파크는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하며, 지하 3층~지상 32층, 2개 동, 총 351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82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며 전 가구가 전용 59㎡ 이하 소형 면적으로 구성됐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제기동역 2번 출구와 바로 맞닿은 초역세권 입지에 들어선다는 점도 흥행 요소로 작용했다. 현장을 찾은 방문객들은 "입지는 확실히 좋다"면서도 "거실은 넓지만 팬트리 부재 등 실내 수납이 부족해 보인다"는 아쉬움도 드러냈다. 분양가는 ▲44㎡A 7억3850만~7억7700만원 ▲44㎡B 6억9980만~7억4980만원 ▲51㎡ 8억4000만~9억660만원 ▲59㎡A 10억2750만~11억460만원 ▲59㎡B 10억6810만~10억8370만원 수준이다. 분양 관계자는 "현재 분양가는 시세 대비 안전마진을 확보한 수준"이라며 "앞으로 서울 내 입주 물량도 줄고 신규 착공도 많지 않기 때문에 향후 가치는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기동역 아이파크의 당첨자 발표는 13일, 정당 계약은 8월 25일부터 27일까지다. 입주는 2028년 9월 예정이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8-07 09:19:55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에이스침대, 모던 클래식 침대 '플로라' 출시

'투 매트리스' 시스템 적용…오염 방지등 탁월 에이스침대가 우아하고 따뜻한 감성의 모던 클래식 침대 '플로라(FLORA)'(사진)를 출시했다. 7일 에이스침대에 따르면 신제품 플로라는 클래식한 곡선 라인과 풍성한 볼륨감이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높이 1288mm의 대형 헤드보드는 넓은 면적으로 공간의 중심을 잡아주고, 부드러운 라운드 마감과 전면의 볼륨감 있는 쿠션으로 편안한 휴식을 돕는다. 플로라는 에이스침대의 독보적인 기술력이 반영된 '투 매트리스(Two Mattress)' 시스템을 적용했다. 파운데이션이 상단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 흔들림을 줄이고 체압을 넓게 분산해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 하중을 고르게 분산해 매트리스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오랜 시간 처음과 같은 편안함을 지속하며, 프레임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해 매트리스 오염 방지 및 위생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에이스침대 관계자는 "플로라는 신혼부부와 개비 고객층 모두에게 선호도가 높은 세미 클래식 디자인으로, 침대 하나로 침실의 전체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매력이 있다"며 "혼수 및 이사철을 맞아 새 보금자리에 어울리는 침대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07 09:18:53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메리츠증권-스톡트윗츠, 서학개미 위한 'AI투자 플랫폼' 구축

메리츠증권이 미국 소셜 투자 플랫폼 업체와 글로벌 금융 인공지능(AI)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메리츠증권은 글로벌 투자 커뮤니티에 기반한차세대 플랫폼 구축을 위해 스톡트윗츠(Stocktwits)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협약식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 위치한 스톡트윗츠 본사에서 열렸다. 메리츠증권에서는 이노비즈 센터장인 이장욱 전무가, 스톡트윗츠에서는 안네 마리 지아누초스(Anne Marie Gianutsos) 최고상업책임자(CCO)가 참석했다. 스톡트윗츠는 글로벌 투자자 1000만명 이상이 실시간으로 주식 의견을 공유하고, 1일 평균 20만건 가량의 커뮤니티 글이 올라오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소셜 투자 플랫폼이다. 인공지능(AI)으로 분석된 시장 데이터와 사용자참여도 기반 트렌드 분석을 통해 핵심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메리츠증권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해외투자자와의직접적 정보 교류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메리츠증권이 개발중인 차세대주식투자 플랫폼에 스톡트윗츠의 커뮤니티 및 AI기반 트렌드 분석 정보를 탑재할 예정이다. 메리츠증권 고객은 향후 공개될 차세대리테일 플랫폼을 통해 스톡트윗츠의 글로벌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양방향 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방대한 AI 기반 트렌드 분석 정보를 제공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시장 접근성도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이장욱 메리츠증권 이노비즈 센터장은 "이번 협약으로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이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에 접근할 수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양사의 강점을적극 활용하여 글로벌 선진 기술이 집약된 AI 기반의 혁신적인 트레이딩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8-07 09:11:48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국토부, 벤츠·현대·만트럭·르노 2만4000여대 리콜

국토교통부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현대자동차, 만트럭버스코리아, 르노코리아에서 제작·수입·판매한 21개 차종 2만4555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를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E 350 4MATIC' 차종 1만6957대는 엔진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EQE 350 4MATIC' 등 5개 차종 523대는 고전압배터리 관리시스템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차종들은 7월 25일부터 시정조치가 진행 중이다. 현대자동차의 '쏠라티' 등 2개 차종 5974대는 휠 고정용 너트 체결 불량으로 인해 주행 중 너트 풀림 및 휠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7월 31일부터 리콜이 진행되고 있다. 만트럭버스코리아의 'TGM 카고' 등 11개 차종 643대는 방향지시등 작동 후 주간주행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발견됐다. 르노코리아의 'SM6' 등 2개 차종 458대는 진공펌프 제조 불량으로 인해 제동거리가 길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만트럭과 르노코리아의 경우 오는 11일부터 시정조치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8-07 08:42:08 전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