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여주기식 안돼”…포스코그룹, 안전관리 혁신적 개혁 필요
최근 포스코그룹에서 중대재해가 잇따르자 강도높은 안전관리체제 혁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사고와 관련 진상조사와 강력 제재를 지시한 만큼, 보여주기식 대책이 아닌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 강화 방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에서 중대재해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자 철저한 진상조사와 함께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초강수 제재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대형 건설사에 대한 정부의 최고 수준 제재 수위를 거론한 것으로, 단순 행정지도나 과태료를 넘어 기업 영업 기반을 직접적으로 제한하겠다는 의미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연속적인 인명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매뉴얼 준수 여부와 사고 예방 가능성을 철저히 확인하라고 지시했다"며 "예방이 가능한 사고였다면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강조했다. 포스코그룹은 올해 들어 포스코이앤씨에서만 4건,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1건 등 다수의 현장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일부 사고는 기본적인 안전조치 미흡, 현장 관리 감독 부실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며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까지 조사 대상에 올랐다. 이에 포스코그룹은 지난 1일 장인화 회장 직속의 '그룹 안전특별진단 TF팀'을 출범시켰다. 외부 전문가와 학계, 정부기관, 노조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해 그룹 전반의 안전관리 체계를 전수 진단하고 개선 과제를 마련한다. 하도급 구조 개선과 전 현장 전수조사, 위반 사례 거래 중단·계약 해지 등 강력한 조치를 병행하며, 제도와 문화 양측에서의 변화를 추구한다. 또한 안전 전문회사 설립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안전기술 개발, 안전진단·솔루션 제공, 공사안전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하고 중소기업·하청업체에도 안전기술을 지원해 산업 전반의 안전 수준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포스코의 대응이 실효성을 갖추려면 단기 캠페인식 대책을 넘어 지속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대재해는 현장 근로자 교육, 안전장비 확보, 공정관리 등 기초적인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며 "실제 현장에서 안전 규정이 관행에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산업재해로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과 유가족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실행하고 산업재해 예방을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