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서울 집값 25주 연속↑...매수심리 소폭 상승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25주 연속 올랐다. 매매수급지수도 소폭 상승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9월 둘째 주(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3% 상승했다. 지난해 11월 27일 17주 만에 상승 전환한 이후 25주 연속 올랐다. 권역별로는 강북권에서 성동구(0.43%→0.41%)가 금호·하왕십리동 선호단지, 광진구(0.32%→0.34%)는 광장·자양동 주요단지, 마포구(0.30%→0.29%)는 아현·염리동, 동대문구(0.18%→0.22%)는 용두·이문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에서 송파구(0.31%→0.35%)는 신천·잠실동 대단지, 서초구(0.41%→0.44%)가 반포·서초동 준신축, 강남구(0.30%→0.31%)는 개포·대치동 주요단지, 영등포구(0.20%→0.25%)는 신길·당산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성동구 하왕십리동에 위치한 '센트라스'는 8월 전용면적 84㎡가 18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7월 매매가격(17억원) 대비 1억5000만원 상승했다. 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한 '파크리오'의 경우 지난달 전용면적 59㎡가 20억3000만원에 거래되면서, 2개월 만에 2억5000만원 올랐다.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상승했다. 9월 둘째 주(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3.5로 전주(103.2)보다 0.3포인트 올랐다. 3주 연속 하락세였으나 이번주부터 다시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최근 대출환경의 변화와 가격 급등 피로감으로 인해 매물 소진속도 둔화되고 있다"며 "다만 일부 재건축 단지와 지역내 신축 선호단지 중심으로 신고가 계약 체결되며 전체 상승폭은 소폭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9-12 14:18:32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아파트의 미학(美學)] 봉담자이프라이드시티 “리조트가 떠오르는 아파트”

최근 찾아간 경기 화성시 봉담읍 '봉담자이프라이드시티'. 은색 '자이' 로고가 부각된 아파트의 정문은 넓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고급스런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달 본격적인 입주를 시작했다. 교통편으로는 수인분당선 어천역에서 버스로 약 18분 거리다. 오는 2026년에는 KTX 노선 개통이 예정돼 있다. 단지가 위치한 내리지구는 민간도시개발 사업이 이뤄지는 곳으로 프라자상가인 '프라이드스퀘어'가 들어선다. 바로 앞에는 지난 1일 개교한 내리숲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이외에도 봉담중고교, 수현중학교 등이 있으며 인근에 이마트, CGV, 봉담호수공원 등이 있다. 봉담자이프라이드시티는 지하 4층~지상 최고 35층, 11개동, 총 1701세대 규모다. 가구 타입은 전용면적 ▲59㎡A·A1·B·C·C1·D ▲72㎡A·B·C·C1·C2·D▲84㎡A·B·C ▲105㎡로 중소형 평수 위주의 실속 단지로 구성됐다. 단지는 동남향, 남서향으로 배치돼 있다. 중소형 평면에도 선호도가 높은 4베이(BAY·전면을 향한 방이나 거실의 수) 판상형 구조를 도입했고 주방에 팬트리와 알파룸을 제공해 수납 공간을 넓혔다. 주차 공간은 입주민들의 편의성을 고려해 100% 지하주차 설계로 총 2232대(가구당 1.30대)의 넉넉한 주차 공간을 확보했다. 단지 곳곳에 '봉담자이프라이드시티'만의 조경이 눈에 띄었다. 단지 중앙에 위치한 '릿지 밸리'는 층층이 물결치는 모습을 한 계단식 휴게공간과 자연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위쪽에는 사람들이 다함께 하늘을 날며 자연 속에서 꿈을 꾸는 세상을 표현한 조각상 '꿈을 찾아서'를 볼 수 있다. 초록색 나무의 시원한 리듬감과 율동감으로 경쾌함을 더해 일상의 공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상상하며 여행하는 즐거움을 나타냈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생태공간 육생비오톱(생태연못)과 수생비오톱도 볼 수 있다. 다양한 식물과 소생태계가 어우러진 풍경을 바라보며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수생비오톱을 바라보고 마음의 안정을 찾는 공간 '캄 밸리'에서는 따뜻한 마음으로 이웃들과 소소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커다란 나무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숲을 조성한 '엘리시안가든' 역시 청량한 물소리를 들으며 마음의 대화를 나누는 곳이다. 단지 내 조성된 풀밭에는 다양한 의미의 조각상도 다양하다. '생성공간 0003'은 청정자연을 모티브로 자연에 내재된 기운생동을 공간 분할 조형을 통해 시간과 동적 울림을 표현했다. 대지에서 피어오르고 시간이 흐르며 진행하는 생성공간의 울림을 다양한 색과 면으로 결집하고 표현해 조화롭게 우리 삶의 공간으로 확산하는 조형의 음률이 담긴 작품이다. '리사일런스-트리(Resilience-Tree, 회복의 나무)'는 자연의 생명력과 잠재성, 회복력을 주제로 표현해 단지 내에서 긍정의 메세지와 경쾌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지표면에서 점점 높아지고 확장 돼가는 원기둥의 형태가 우리 삶의 꿈과 이상을 표출하고자 한다.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로는 수영장, 사우나, 골프연습장, 피트니스센터, 게스트하우스 등이 있어 다양한 여가·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다. 테마 놀이터도 다채롭다. 아이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인지발달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숲 속 과학 놀이터', 호기심 많은 아이들이 뛰어놀며 정글 속을 자유롭게 탐험할 수 있는 '움트는 정글 놀이터' 등이 있다./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9-12 10:46:13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16일 오전 가장 막힌다…서울~부산 최대 7시간40분

올해 추석 고속도로 귀성 소요시간은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서울~부산이 7시간40분 가량 될 것으로 예측됐다. 귀성은 추석 전날인 오는 16일 오전, 귀경은 추석 다음달인 18일 오후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3일부터 18일까지 6일간을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관계기관 합동으로 '추석 연휴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한다. 이번 특별대책기간 동안 총 3695만명, 하루 평균 616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88.4%는 승용차를 이용할 전망이다. 고속도로 하루 평균 통행량은 전년 대비 6.6% 늘어난 591만대로 추정됐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귀성에 걸리는 시간은 줄고, 귀경 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귀성기간이 4일로 여유있는 반면 귀경기간은 2일로 짧다. 고속도로 최대 귀성 소요시간은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서울~부산 7시간40분, 서울~목포 7시간10분, 서울~광주 6시간10분, 서울~강릉 4시간40분, 서울~대전 4시간10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귀경의 경우 부산~서울 10시간30분, 목포~서울 9시간50분, 광주~서울 9시간10분, 강릉~서울이 6시간20분, 대전~서울 5시간20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설문조사 결과, 귀성은 추석 전날인 16일 오전, 귀경은 추석 다음 날인 18일 오후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앞서 고속·일반국도 16개 구간(121.4㎞)을 개통했고, 고속도로 갓길차로 76개 구간(411.32㎞)을 운영한다. 고속·일반국도 217개 구간(1799.5㎞)은 교통혼잡 예상구간으로 선정해 집중 관리한다. 이용객 증가에 대비해 버스·철도 등의 운행횟수와 좌석을 평시 대비 각각 14.3%(1만7390회), 12.4%(약 114만 석) 늘린다. 올해 추석에도 15일부터 18일까지 4일간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한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는 3000원 이하인 알뜰간식을 판매하고, 무료 와이파이와 화장실 등 편의시설도 확충한다. KTX·SRT 역귀성 등은 요금을 30∼40% 할인해주고, 안내인력 충원과 혼잡정보 제공 등 휴게소·공항 등지의 혼잡관리도 강화한다. 심야에 도착하는 귀경객이 대중교통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17일과 18일에는 서울 지하철과 버스를 심야 연장 운영한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09-12 09:59:17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한신공영, 다음달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 분양

한신공영은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707-1번지 일대에 들어서는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를 오는 10월 분양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는 지하 4층~지상 29층, 전용면적 75·84㎡ 총 724가구로 조성된다. 타입별 일반분양 가구수는 ▲75㎡ 68가구 ▲84㎡A 462가구 ▲84㎡B 194가구다.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는 지하철 1호선 덕계역을 이용 가능하며, 덕정역에서 왕십리, 삼성역 등을 잇는 GTX-C(계획) 노선으로 환승 역시 편리하다. 단지 앞에 의정부와 서울 도봉구를 잇는 평화로가 위치하고, 3번 국도, 서울~양주 고속도로(계획),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을 통해 서울 접근성은 더욱 개선된다. 기존의 원도심 인프라는 물론 입주 시점에 인접한 회천지구 인프라도 이용 가능하다.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 북동쪽은 마트와 아울렛 등의 상권을 갖췄고, 회천지구도 입주한 아파트 단지 내 상가는 물론 상업시설이 추가로 조성 중이다. 이마트(양주점)도 평화로를 따라 연결되어 차로 약 10분이면 닿을 수 있다. 덕산초, 덕계중, 덕계고로 걸어서 통학할 수 있고, 시립 덕계도서관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단지 내 종로엠스쿨(예정)이 들어설 예정이다. 한신공영은 타입별로 4베이, 드레스룸 등 신축 아파트에 걸맞은 다양한 특화 설계를 선보이며, 피트니스, 독서실, 작은 도서관 등 입주민 전용 커뮤니티시설도 들어선다. 주차공간은 세대당 1.46대다. 분양 관계자는 "최근 서울 전세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탈 서울 내집마련 열기가 높고, 실제 양주시는 2023년 전국 인구 증가율 1위를 기록하는 등 거주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라며 "이번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 분양에도 고객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입주 예정은 2027년 12월이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09-11 14:43:22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2030년까지 전체 광역버스 25%를 수소버스로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수도권 광역버스 노선에 수소버스 도입을 확대하기 11일 수소버스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업무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광역버스 노선 업무 담당자와 해당 지역 내 광역버스 운수사 관계자 등이 대상이다. 설명회는 환경부의 수소버스 보급계획 및 지원 현황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대광위의 광역버스 대상 수소버스 전환 계획 ▲현대자동차와 하이엑시움모터스의 수소버스 제원 ▲에스케이 이앤에스(SK E&S)와 코하이젠의 수소상용차용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및 향후 계획 등이 소개된다. 수소버스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등에 따라 2030년까지 누적으로 2만1200대가 보급되어야 한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수소버스는 지금까지 1185대가 보급됐다. 현재 수도권 광역버스 노선에는 수소버스 40여 대가 운행 중이며,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021~2040)'에서 2030년까지 전체 광역버스의 25%를 수소버스로 보급하는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수소버스는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무공해차로 같은 무공해차인 전기버스에 비해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 시간이 짧다. 상대적으로 주행거리가 긴 광역버스 노선에 적합하다. 이정희 대광위 광역교통정책국장은 "올해 신설한 준공영제 광역버스의 10개 노선(77대) 중 3개 노선(23대)에서 수소버스 도입을 조건으로 운송 사업자를 모집 중"이라며 "버스 기점 지역 인근에 수소충전소가 확보된 경우 등 도입 여건을 검토하여 기존 대차 및 폐차 차량뿐만 아니라 신규 광역버스 노선에도 수소버스의 도입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09-11 10:42:22 안상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