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올 정비사업 분양예정 물량 역대 최다

올해 분양계획 아파트 물량이 크게 줄었음에도 재개발·재건축 예정물량은 지난 2000년 이후 최대 수준으로 조사됐다. 1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분양예정인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는 전국 12만855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전체 분양계획 물량(임대 제외 총가구수) 27만390가구 중 47.5%로, 계획 물량이 모두 실적으로 이어질 경우 지난 2000년 이후 최다 물량이 정비사업으로 공급될 전망이다. 재개발·재건축 물량은 수도권이 7만5114가구(56.0%)로, 지방 5만3439가구(39.2%)에 비해 더 많다. 경기에서는 광명, 성남시의 대규모 재개발 단지들이 분양에 나서면서 4만1332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서울의 경우 2만9480가구가 연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지방은 부산의 정비사업 아파트 분양이 활발할 전망이다. 부산에서는 총 1만4489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이어 ▲광주 7000가구 ▲대구 6210가구 ▲충북 5788가구 ▲대전 5544가구 순으로 물량이 많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올해 무주택 청약 요건, 분양가상한제 주택의 실거주 의무 폐지, 전매제한 기간 단축 등 규제 완화 방안이 시행될 예정이어서 주요 정비사업 아파트에 대한 청약 수요의 관심이 기대된다"면서 "고금리로 대출이자 부담이 커진 만큼 분양가 수준이 청약 성적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2-15 11:11:20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월세 100만원 이상 소형 빌라, 지난해 거래량 역대 최다

월세 100만원이 넘는 서울 소형빌라 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소형빌라(전용면적 60㎡이하) 월세 거래량(4만 3917건) 가운데 월세 100만원이 넘는 거래는 3018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것이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월세 100만원이 넘는 소형빌라 거래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강남구로 지난해 791건 거래됐다. 이어 ▲송파구 458건 ▲서초구 390건 ▲마포구 166건 ▲광진구 156건 ▲중랑구 135건 ▲강동구 97건 ▲용산구 92건 ▲동작구 88건 ▲강서구 87건 등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월세 가격이 가장 높은 소형빌라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우리엘'로 전용면적 27.95㎡가 지난해 4월 보증금 800만원, 월세 450만원에 계약이 이뤄졌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전세사기로 인해 목돈이 있어도 월세에 거주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인식이 생겨가고 있는 데다 전세자금 대출 이자가 높아져 고액 월세 소형빌라가 늘어나고 있는 분위기다"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2-15 10:57:45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SK에코플랜트, 음식물폐기물 가스전환 사업 추진

SK에코플랜트가 음식물폐기물에서 나오는 가스를 연료로 전환해 공급하는 사업 개발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본사에서 ㈜홍보에너지와 '바이오가스 고질화 기술 실증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홍보에너지는 전북 군산에 위치한 자원재순환 기업으로, 민간 시설로는 국내 최대 규모 수준의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대상그룹이 지난해 친환경 경영을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인수했다. '바이오가스 고질화'는 음식물쓰레기, 하수찌꺼기, 가축분뇨 등 유기성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연료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제하는 기술이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보와 온실가스 감축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에너지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바이오가스 고질화 기술을 ㈜홍보에너지가 보유한 사업장에서 실증하고 재생천연가스 생산 및 판매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는 "글로벌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대표 환경 기업으로서 기술 고도화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2-15 10:18:46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깡통주택' 우려 속 부동산 임의경매 급증

최근 집값이 전세보증금보다 낮아지는 '깡통주택'이 늘면서 전국적으로 부동산 임의경매 신청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에서 신청된 부동산 임의경매개시결정등기는 6622건으로, 전달(5897건) 대비 12.3%(725건) 증가했다. 지난해 1월(4706건)보다 40.7%(1916건) 늘었다. 지역별로는 충청남도에서 지난달 신청된 부동산 임의경매개시결정등기는 659건으로 전월(464건)보다 42.0%(195건) 급증하면서 가장 많이 늘어났다. 같은 기간 서울의 경우 339건에서 352건으로 3.8%(13건) 증가했다. 임의경매는 저당권, 근저당권, 전세권 등 담보물권을 가진 채권자가 채무자로부터 채무금액을 변제기일까지 변제받지 못하는 경우 담보권을 실행해 자신의 채권을 회수하는 법적 절차를 말한다. 통상 임의경매 집행은 원리금을 3개월 이상 갚지 못하면 진행된다. 강제경매와 다르게 재판 없이 법원에서 바로 신청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금리 인상 여파와 거래절벽 현상 등으로 빚을 못 갚는 집주인들이 늘면서 임의경매 등기 신청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집값 하락에 따른 '깡통전세'가 증가하면서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온전히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 금액은 약 1830억원으로 지난 10월(1526억원) 대비 19.9%(304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사고 건수는 704건에서 820건으로 16.5%(116건) 증가했고, 사고율은 4.9%에서 5.2%로 상승했다. 정부의 규제 완화에도 부동산시장의 활성화 수준을 보여주는 '부동산 거래회전율'이 역대 최저 수준 기록을 갱신하면서 부동산시장 침체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월 전체 부동산의 거래회전율은 0.15%로 집계됐다. 이는 부동산 1만건 가운데 15건이 거래된 것을 의미한다. 지난 2010년부터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제일 낮다. 거래회전율은 소유권이전 매매 신청 부동산 수를 등기가 유효한 부동산 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회전율이 낮을수록 거래된 부동산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경기 침체와 고금리, 집값 추가 하락 우려 등으로 부동산 거래절벽 현상이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2-14 13:30:49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강변역 역세권 청년주택 '센텀힐스한강' 청약 시작... 장점은 위치, 단점은?

서울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대중교통인 지하철 2호선 강변역에 역세권 청년주택이 청약신청 접수를 받는다. 강변역 '센텀힐스한강'은 강변역 4번 출구에서 5분 정도의 거리에 건설하고 있어 위치가 매우 훌륭하다. 특히 강변역은 서울지하철 2호선 노선으로 잠실역 4분, 강남역 16분, 을지로입구역 22분, 2호선 노선 반대편인 홍대입구역까지도 불과 34분 밖에 걸리지않는다. 대한민국 직장인이 출퇴근에 평균 2시간 가까이 할애하는 것을 감안하면 강변역 '센텀힐스한강'은 위치가 특장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강변역 4번 출구에서 나와 '센텀힐스한강'으로 이동할 때도 큰 규모의 버스정류장이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서울시민에게 사실상 이보다 좋은 곳은 찾기 힘들다. 강변역 '센텀힐스한강'은 13일부터 15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24시간 청약신청을 접수할 수 있고 오프라인은 따로 받지 않는다. 서류심상 대상자 발표는 20일 오후 3시 이후이며, 서류제출과 입주자 사전점검을 마치고 4월 24일부터 입주할 수 있다. 상반기에 모집한 역세권 청년주택들에 비해 입주기간이 매우 빠르다는 것도 이점이다. 공급신청 자격은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인 무주택자, 자동차 미소유, 본인 총 자산 가액 합산 기준 청년 2억2천8백만원, 신혼부부 3억2천5백만원 이하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단, 특별공급은 신청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에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120% 이하(1인 120% 3,854,535, 2인 120% 5,813,244)이어야 한다. 청년 특별/일반공급, 신혼부부 계층 각각 신청할 수 있는 주거 타입이 다르며 이에 따라 보증금과 임대료도 상이하다. 보증금은 4천4백만원~8천9백만원, 월 임대료는 34만원~71만원이다. 보증금은 최대 50%까지 전환해 조절할 수 있다. 특별공급의 경우, 일반 공급보다 월 임대료가 평균 10만원 정도 저렴하다. 타 역세권 청년주택에 비해 보증금과 월 임대료가 높지 않아 눈에 띄지만, 강변역 '센텀힐스한강'의 단점은 매우 협소한 면적이다. 1인 가구를 가장 많이 모집하는 A16타입의 경우, 5평 정도의 공간인데 지금까지 건설한 역세권 청년주택에서 뽑아낼 수 있는 최소 면적이라고 볼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신혼부부 면적도 작다. 33, 36형은 '포레나 당산', '불광 호반베르디움'을 통해 보았으나 강변역 '센텀힐스한강'의 신혼부부 타입은 그보다도 작은 30형~32형밖에 없다. 위치는 좋으나 면적을 정말 최소로 맞춘 것으로 보여진다. 보증금의 경우, SH에서 주거비 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차보증금 대출을 지원해주는 '역세권청년주택 보증금지원사업' 자가진단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보증금의 최대 50%를 무이자로 지원하는 '역세권청년주택 보증금지원사업'은 청년 △소득기준 100% 이하(3,212,113원) △재산 2억8천8백만원 이하, 신혼부부 △소득기준 120% 이하(2인가구 5,813,244원/3인가구 7,702,279원) △재산 3억2천5백만원 이하로 소득 및 자산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서울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2호선 역세권이기에 면적이 작음에도 많은 청년들이 신청해 높은 경쟁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02-13 17:08:54 강성진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현장르포] 서울 마포구 "호가 내려도 문의 없어"

"호가를 내려도 매수 문의가 거의 없다. 그렇다 보니 실제 거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길어지고 있다." 지난 9일 찾아간 서울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단지 인근 A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과 집값 추가 하락 기대감으로 관망하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 이 말했다. 최근 정부의 잇단 규제완화가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금리가 부동산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셈이다. 지하철 5호선 애오개역 1번 출구에서 걸어서 5분 거리에 위치한 마포래미안푸르지오는 아현뉴타운 사업의 일환으로 아현3구역을 재개발한 단지다. 지난 2014년 9월 입주를 시작한 아파트는 지하 6층~최고 30층, 51개 동, 총 3885가구 규모의 대단지다. 전용면적은 ▲80㎡ ▲81㎡ ▲110㎡ ▲112㎡ ▲113㎡ ▲114㎡ ▲149㎡ ▲150㎡ ▲189㎡ 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됐다. 단지 인근 B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 발표 이후 일부 급매물만 소진되면서 실거래가는 하락하고 있다"면서 "수요자들이 집값이 더 내려가길 기다리는 상황이어서 매매가격과 전셋값 모두 하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마포구 지역은 매매가격 하락폭은 늘어나고 매물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을 보면 이달 첫째 주(6일 기준) 마포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7% 하락했다. 하락폭이 전주(-0.20%)보다 0.07%포인트 확대됐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마포구의 아파트 매물은 5283건으로 규제 해제지역이 발표된 지난달 3일(5734건) 대비 7.87%(451건) 감소했다. 한 달 전(5802건)에 비해선 8.96%(519건)이 줄어 들었다.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마포래미안푸르지오'는 지난해 12월 전용면적 84㎡가 16억2000만원에 거래되면서 3개월 만에 거래가격(17억1500만원)이 9500만원 떨어졌다. 같은 면적의 전셋값은 지난해 11월 9억원에서 지난달 7억5000만원으로 1억5000만원 하락한 가격에 계약이 이뤄졌다.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맞은편에 위치한 '공덕자이'는 이달 전용면적 59㎡가 5억5000만원에 전세로 거래됐다. 지난해 12월 전셋값(6억원) 대비 5000만원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84㎡의 전셋값은 7억5000만원에서 7억1000만원으로 4000만원 하락했다.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인근에 있는 '마포프레스티지자이'의 경우 지난달 전용면적 84㎡가 15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9월 거래가격(18억5000만원)보다 3억40000만원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59㎡의 전셋값은 8억3000만원에서 6억5000만원으로 1억8000만원 하락했다. 단지 인근 C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고금리로 인한 대출이자 부담으로 전세수요가 줄면서 전셋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월세 선호 현상이 확산하면서 역전세난은 더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3-02-13 17:03:35 김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