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학교 원격수업에도 ‘무상급식 바우처’ 제공...사용처는 ‘편의점’ 한정
편의점 제로페이 10만원 지급…7월16일까지 사용 초1~2·고3·소규모학교·특수학교 등 '매일 등교' 학생 제외 서울시교육청이 원격수업을 듣는 초·중·고등학생들의 결식을 막기 위해 편의점 도시락과 신선식품을 살 수 있는 제로페이 포인트 10만원을 이달 중 지급한다. 단, 매일 등교 중인 초등 1~2학년, 고교 3학년, 특수학교 학생은 제외다. 포인트는 여름방학에 들어가는 오는 7월 중순까지 쓸 수 있다. 이번 사업은 원격수업을 듣는 도중에도 끼니를 거르는 학생이 생겨서는 안 된다는 취지에서 교육 당국이 '탄력적 급식'을 도입했지만, 이를 신청한 서울 지역 초·중·고교가 전체 약 35% 수준에 그치자 내놓은 보완책이다. ◆6개 편의점에서 저염식 도시락 및 우유·샐러드 등…한 끼 4천원 기준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20일부터 7월16일까지 서울시, 25개 자치구, 한국편의점산업협회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희망급식 바우처'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교육청은 '희망급식 바우처'를 통해 GS25,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씨스페이스, 이마트24 등 편의점 6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울 제로페이 모바일 포인트 10만원을 지급한다. 바우처 단가는 10만원이다. 서울 초·중·고 급식비 중 인건비를 제외한 식품관리비 평균인 4000원을 기준으로 정해졌다. 여기에 밀집도 3분의 1을 기준으로 오는 7월 여름방학 전까지 남은 평균 수업일수 25일을 곱해 계산됐다. 바우처를 쓸 수 있는 품목은 10개 군으로 제한된다. ▲나트륨 평균 1076mg 이하 저염 도시락 ▲제철 과일 ▲흰우유 ▲두유 ▲야채 샌드위치 ▲과채주스 ▲샐러드 ▲떠먹는 요구르트 ▲훈제계란 ▲김밥류다. 교육청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식품안전정보원 관계자와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고른 목록이다. 단, 컵라면 등 인스턴트나 카페인이 있는 (탄산)음료, 삼각김밥에는 바우처를 사용할 수 없다. 바우처는 오는 20일부터 7월16일까지 사용할 수 있다. 기간이 지나면 바우처 포인트는 자동 소멸, 회수된다. 교육청 관계자는 사용처를 편의점으로 정한 데 대해 "편의점 음식은 건강하지 않다는 불안감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단을 통해 살 수 있는 품목을 선별했고, 학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초·중·고교생 약 65% 지급 대상…매일등교·긴급돌봄 학생 제외 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는 서울 초·중·고교생은 원격수업으로 등교하지 않고, 급식을 먹지 않는 경우에 한한다. 이에 따라 매일 등교 중인 초등 1·2학년과, 고교 3학년, 특수학교 학생은 바우처를 신청할 수 없다. 또한, 등교 중인 긴급돌봄 참여 학생, 전교생 300명 이하 및 300명~400명 이하면서 학급당 학생 수 25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 학생도 급식을 먹고 있어서 사업 대상이 아니다. 서울시의 저소득층 꿈나무카드 사업 지원 학생도 바우처를 받을 수 없다. 교육청의 '탄력적 희망급식' 사업을 통해 원격수업을 듣는 도중 학교에서 급식을 먹고 있는 학생도 마찬가지다. 바우처 신청 가능 학생은 최대 55만6982명으로, 이는 서울 전체 초·중·고교생의 약 65% 규모다. ◆제로페이 결제앱 19개 통해 지급…"향후 편의점 외 타 업종까지 확대" 바우처는 학교 온라인 가정통신문 플랫폼인 아이엠스쿨 애플리케이션(앱)이나 학교 e-알리미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바우처 포인트는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등 시중 제로페이 결제앱 19개를 통해 지급된다. 사업 예산 최대 560억원 규모다. 무상급식과 마찬가지로, 교육청이 50%, 서울시가 30%, 자치구가 20%를 각각 분담한다. 전체 금액 0.66%로 책정된 포인트 발행 수수료 3억7000만원은 교육청이 모두 부담한다. 한편, 교육청은 바우처 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10일 한국편의점산업협회와 업무협약을 맺는다. 바우처 사용액에 10% 할인을 제공해 학생들이 편의점에서 실질적으로 최대 11만원을 쓸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통신사 멤버십 등 할인 혜택도 중복해서 받을 수 있다. 바우처 사용 만족도 관리를 위해서는 식약처와 대학 등 전문기관과 함께 '희망급식 바우처 모니터링단'을 꾸려 사용 패턴과 만족도를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에서 중식을 지원하기 위해 수업시간을 조정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그래서는 안 되니 그 보완책으로 바우처를 마련했다"며 "향후 서울시, 지자체와 협의해 편의점 외 업종에서도 바우처를 쓸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