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LG U+, MWC25서 국내 기업 AX 혁신 사례 소개

LG유플러스가 다음달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25에 자체 개발한 AI·RTK(초정밀위치측위) 등 기술을 활용한 국내 파트너사의 디지털 전환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우선 LG유플러스는 'NC AI'와 협업해 AI 기술을 고객 서비스로 구현할 수 있도록 협업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NC AI가 핵심 사업과 신규 AI 서비스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AI 인프라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대규모 트래픽이 몰리더라도 안정적이고 끊김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향후 양사는 AI 기술 발전에 발맞춰 AIDC 기반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AIDC는 대규모 AI 모델 훈련과 데이터 분석을 위한 최적화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에너지 효율성을 강화한 AIDC 설비와 고도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NC의 AI 기반 차세대 게임 개발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도로 데이터 유통 기업인 '휴데이터스'와 협업해 초정밀측위(RTK) 솔루션 기반의 최신 도로 데이터 서비스 혁신사례도 소개한다. LG유플러스의 RTK는 이동하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센티미터(cm)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휴데이터스는 LG유플러스의 솔루션을 활용해 기존 사업 영역인 도로 데이터 유통 서비스를 효율화할 방침이다. 향후 휴데이터스는 LG유플러스의 RTK 기기를 부착한 ㈜한진의 물류 차량을 기반으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도로변화정보 데이터를 휴데이터스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도메인에 제공하는 등 신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MWC25를 통해 자사가 확보한 AIㆍ초정밀측위 등 첨단 기술 경쟁력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파트너사의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국내외 사업자들과의 협업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26 09:13:10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최후변론 직접 나선 尹, 여전히 계엄의 정당성 주장… 임기단축 개헌·책임총리제 도입 언급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최후변론에 직접 나섰다. 윤 대통령은 북한을 비롯한 외부 세력이 반국가세력과 연계해 국가를 위협하고 있었다며, 여전히 계엄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또 임기단축 개헌과 책임총리제 도입도 언급했다. 이날 탄핵심판은 오후 2시 증거조사로 시작해 국회 탄핵소추 대리인단과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의 종합 변론만 5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에서 출발한 윤 대통령은 국회 측 종합변론이 진행 중이던 오후 4시30분쯤 헌재에 도착했다. 소추위원단장인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의 최후 변론이 끝날 때까지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윤 대통령은 본인의 최후 변론 직전인 오후 9시3분에야 헌재 대심판정에 들어섰다. A4 용지 총 77쪽 분량의 문서를 꺼내 들고 재판관 앞에 선 윤 대통령은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후 84일이 지났다. 제 삶에서 가장 힘든 날들이었지만 감사와 성찰의 시간이기도 했다"는 말로 최후변론을 시작했다. 윤 대통령은 67분에 달하는 최후변론을 통해 12·3 비상계엄 선포는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라고 강조했다. 국헌 문란·헌정질서 파괴는 야당이 했다면서 "북한을 비롯한 외부 주권 침탈 세력과 우리 사회 내부 반국가세력이 연계해 국가안보와 계속성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계엄 사태에 대한 제대로 된 사과가 없었고, '간첩'이라는 단어만 25차례 등장했다. 헌재 결정을 존중하고 수용하겠다는 언급도 없었고, 극우 지지자들에게도 '불복하지 말아달라'는 직접적인 당부도 없었다. 우선 윤 대통령은 "저는 이미 권력의 정점인 대통령의 자리에 있었다. 가장 편한 길은 사회 여러 세력과 적당히 타협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듣기 좋은 말을 하면서 임기 5년을 안온하게 보내는 것"이라며 "대통령의 자리에서 국정을 살피다 보면 남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것들이 보인다. 서서히 끓는 솥 안의 개구리처럼 눈앞의 현실을 깨닫지 못한 채, 벼랑 끝으로 가고 있는 이 나라의 현실이 보였다"고 말했다. 또 거대 야당의 횡포에 홀로 맞섰다는 주장도 여전히 이어갔다. 윤 대통령은 "간첩들이 가짜뉴스, 여론조작, 선전선동으로 우리 사회를 갈등과 혼란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이들이 북한의 지시에 따라 선거에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또 한번 부정선거 주장을 반복했다.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태에 가담한 이들에 대해서도 "저의 구속 과정에서 벌어진 일들도 어려운 상황에 처한 청년들도 있다. 옳고 그름에 앞서서 너무나 마음이 아프고 미안하다"고 두둔하기까지 했다. 탄핵 반대 집회에 나오는 이들에 대해서도 "저의 진심을 이해해주시는 국민, 청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가짜 투표용지' 등을 언급하는 부정선거론에 대한 주장도 있었으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군을 투입한 것은 '전산시스템 스크린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떤 부분이 내란이고 범죄라는 것인지 도대체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회에 군을 투입한 것에 대해서는 "정말 계엄을 하려 했다면 고작 280명의, 실무장도 하지 않은 병력만 투입했겠느냐"며 "계엄 해제 요구 결의 이전에 국회에 들어간 병력은 106명에 불과하고, 본관까지 들어간 병력은 겨우 15명이었다"고 했다. 계엄군이 국회 본관 유리창을 깨고 들어간 데 대해서는 "자신들의 근무 위치가 본관인데 입구를 시민들이 막고 있어서 충돌을 피하기 위해 불 꺼진 창문을 찾아 들어간 것"이라고 사실과 다른 주장을 했다. 정치인 등 체포 지시에 대해서는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며 "영화나 소설에 나오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아울러 개헌과 정치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하겠다면서 직무 복귀 시 사실상 자신의 임기를 단축하는 개헌 계획을 밝혔다. 탄핵소추안 기각을 가정한 셈이다. 또 대통령은 외교, 내치는 총리에게 넘기겠다는 '책임총리제' 또는 '이원집정부제' 도입을 제안했다. 앞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도 '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져 비판을 받을 때, 개헌을 언급해 거센 비판을 받은 바 있다.

2025-02-25 23:59:0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대통령, 헌법적 권한 행사로 기소될 수 없어"…尹 탄핵심판 최종변론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이 25일 열렸다. 국회 측과 윤 대통령 측은 마지막 변론에서도 팽팽하게 맞섰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오후 2시부터 탄핵심판 11차 변론기일을 가졌다. 사실상 마지막 변론인 이날 변론기일은 증거 조사, 양측 최종 변론,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윤 대통령의 최종 변론 등의 절차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6면> 이날 헌재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에서 윤 대통령 측 대리인은 "(대통령은) 북한 공산세력으로부터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며 북한이 '민주노총 간첩단 사건' 등을 통해 대한민국 체제 전복을 시도했다고 주장했다. 또 "헌법 기초자들이 설계한 권력 분립 체계는 항상 활기차고 독립적인 행정부를 유지해야 한다"며 "대통령은 헌법적 권한을 행사한 것으로 인해 기소될 수 없으며, 모든 공식행위에 대해서는 사법심사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비상계엄 직후부터 윤 대통령 측의 입장을 견지한 것이다. 반면 국회 측 소추인단은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 헌법파괴행위이자, 민주공화국 전복 행위이며, 윤 대통령을 신속히 파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정선거론은 망상이라고 꼬집었다. 국회 대리인단 종합변론 첫 발언자로 나선 이광범 변호사는 "피청구인(윤 대통령)은 우리 국민이 피와 목숨을 바쳐 지켜온 민주 헌정질서를 무참하게 짓밟았다"고 밝혔다. 또 이 변호사는 "피청구인이 파면을 면한다고 해서 처벌을 면할 수 있겠느냐, 다시 국정을 맡길 수 있겠느냐"라며 "피청구인이 복귀한다면 제2, 제3의 비상계엄을 선포하지 않을 것이라고 누가 보장할 수 있나"라고 주장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2-25 17:15:1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Hyundai Motor Aims to Regain Its Former Status in China... Will It Overcome Trump’s Retaliatory Tariffs?

Hyundai Motor Group is putting forward a strategy focused on 'localization' and 'eco-friendly vehicles' to target the world's largest automobile market, China. With heightened concerns over the U.S. market due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25% tariff, the group is ramping up efforts to target China, the world's second-largest car market. In particular, Hyundai is making large-scale investments to regain the reputation of the Chinese market, where it sold around 1.8 million units in 2016, and is expanding its brand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25th, Hyundai Motor is aiming for a turnaround in China by investing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nd launching electric vehicles. With the risks of U.S. tariffs resurfacing, the company is actively targeting the Chinese market, where 25 million new cars are sold annually. Hyundai Motor has decided to invest a total of $1.096 billion in a joint venture with Beijing Automotive Group (BAIC), Beijing Hyundai, in December last year. Both Hyundai and BAIC will equally share the investment. With this funding, Beijing Hyundai plans to release more products tailored to Chinese consumers and expand its export volume. Specifically, Beijing Hyundai plans to launch its first dedicated electric vehicle model this year, and from 2026, it aims to introduce five new energy vehicles (NEVs), including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Hyundai Motor Group is also strengthening its loc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apabilities. At the end of last year, the group established a new corporation in Shanghai, "Como China," which focus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usiness. The initial capital is 213 million yuan, approximately 42.2 billion KRW. Through Como China, Hyundai plans to enhance collaboration with the city of Shanghai on AI technology projects required for Software-Defined Vehicles (SDVs). Shanghai is actively building a smart transportation ecosystem through autonomous driving and SDVs, and has reportedly opened over 2,000 kilometers of roads for autonomous vehicles. Hyundai Motor has been expanding its presence in China to enhance its SDV competitiveness. In 2021, it established a digit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enter in Shanghai, and in October of last year, it opened the "Shanghai Advanced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Hyundai plans to launch an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generative AI from the Chinese autonomous driving software company "Haomo"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Hyundai Motor President José Muñoz stated, "The Chinese market presents a challenge for most automakers due to oversupply," and added, "We are conducting in-depth market analysis to identify opportunities for improving product mix, sales volume, and brand valu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25 17:00:2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셀트리온, 3조5000억원대 돌파..."올해 목표치 5조원"

셀트리온그룹이 통합 셀트리온 출범 첫 해인 지난 2024년 3조5000억원대 매출을 기록하며 고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 3조5573억원, 영업이익 4920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63.4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4%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4189억원이다. 셀트리온은 앞서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 2조4936억원을 달성하면서 이미 전년도 연간 매출 2조1764억원을 뛰어넘어 역대 최대 매출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 왔다. 실제로 셀트리온은 처음으로 단일 분기 매출 1조원을 돌파하는 실적을 냈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4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한 1조63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19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7.4% 급증했다. 지역별로 살펴봐도, 세계 주요 의약품 시장인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1조원대의 매출을 돌파해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셀트리온은 북미 지역에서 전년 대비 66% 증가한 1조450억원의 매출을 냈다. 유럽 시장에서는 1조5460억원의 매출을 거둬 전년 대비 57%에 달하는 성장세가 나타났다. 이러한 호실적에는 기존 주력 제품의 견조한 성장세와 신규 제품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이 주효했다. 셀트리온 핵심 제품인 램시마IV(정맥주사제형)을 비롯한 트룩시마, 허쥬마 등의 매출 확대가 바이오의약품 사업 전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신규 제품군인 램시마SC(피하주사제형, 미국 상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등은 모두 연간 최대 판매를 경신해 전년 대비 58% 성장한 3조1085억원의 연간 매출액을 기록했다. 단일 품목으로는 램시마IV(정맥주사제형)이 첫 연 매출 1조원 기록을 세워 국산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입지를 넓힌다. 셀트리온이 지난해 3월부터 미국 시장에서 신약으로 발매하기 시작한 짐펜트라도 출하 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셀트리온은 짐펜트라 연 매출 1조원을 달성해 미국 의약품 시장에서 '국산 블록버스터 제품'을 내놓겠다는 계획을 지속 밝혀 왔다. 짐펜트라가 정조준하고 있는 미국 염증성 장질환 시장은 12조8000억원 규모로, 셀트리온은 올해까지 해당 시장 점유율을 최소 10% 이상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와 3분기 짐펜트라 매출은 각각 22억원, 64억원이다. 같은 해 4분기에는 처방량 측면에서 3000개를 돌파해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집계됐다. 셀트리온은 올해 연간 매출 5조원대 진입으로 목표치를 높였다. 셀트리온은 가파른 매출 성장을 이어갈 신성장동력을 확보한 상황이다. 우선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있어서 2025년까지 11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국내와 유럽에서 조기 완료했다. 현재까지 판매 중이거나 품목허가를 받은 11개 제품군의 글로벌 시장 규모를 합산하면 약 150조원에 이른다. 이와 함께 오크레부스, 코센틱스, 키트루다, 다잘렉스 등 4개의 바이오시밀러와 7개의 미공개 파이프라인을 추가 개발해 오는 2030년까지 총 22개의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계획이다. 바이오시밀러뿐 아니라 신약 개발에도 본격 뛰어들었다. 향후 2028년까지 총 13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한다는 세부 계획을 세웠다. 그 첫 번째로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CT-P70'의 IND를 제출하며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연구개발에 집중함과 동시에 셀트리온은 고(高)원가 재고 소진과 3공장 생산 확대, 기존 제품 개발비 상각 종료 등에 따라 매출원가율도 빠르게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합병 직후인 2023년 4분기 기준, 63%에 육박하던 매출원가율은 한 해 만에 45% 수준까지 감소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4분기에는 매출원가율을 20%대까지 낮춘다. 낮은 제조원가를 갖춘 신규 제품의 비중을 키우는 방식이다. 셀트리온 측은 "지난해 셀트리온의 강점인 바이오의약품 사업이 글로벌에서 처방 확대를 통해 외형 성장을 실현했다"며 "올해는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원가 개선 및 비용 효율화까지 이뤄내 양적·질적인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설명했다.

2025-02-25 16:49:27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中, 휴머노이드 로봇…'1가구 1로봇 시대'로 성큼

중국의 로봇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 대여 붐이 일어나고 있다고 중국 관영 매체들이 전하고 있다. 관영 매체는 중국이 휴머노이드 로봇 대여 붐으로 '1가구 1로봇 시대'를 맞으면서 가까운 미래로 다가왔다고 전하고 있다. 특히 올 들어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생성형 AI 모델 딥시크를 출시해 세계적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국영 중앙(CC)TV는 설특집 종합 쇼 프로그램인 '춘완(春晩)'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군무를 반영하면서 로봇에 대한 관심이 커진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유니트리 로보틱스가 공개한 G1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큰 화제를 모은 제품이다. 지난 12일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둥닷컴에서 예약판매를 시작하자마자 매진됐고 그 고급 공업형 버전인 H1마저 품절됐다. 유니트리의 G1 로봇은 키 1.27m, 무게 35kg으로, 판매가는 약 9만9천위안(약 1950만 원)이다. 중국의 다른 로봇 회사들도 다양한 휴머노이드 로봇 대여 사업에 뛰어들고 있어 중국의 로봇 대중화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기존의 로봇들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도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를 생성하고 있다. 중국내에서 아직은 개인이 소유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기업체나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고 이벤트 행사와 교육용으로 활용하면서 후머노이드 로봇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로봇의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정밀하고 효율적인 동작을 구현하고 있다는 평이다. 주변 지형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해 장애물이나 예기치 못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해 내고 있다. 또한 학습을 통한 성능을 개선하면서 로봇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 똑똑해지는 강화학습 기반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유니트리 G1이 테슬라의 옵티머스와 비교했도 손색이 없다는 평이다. 왕싱싱 유니트리의 창업자는 "5년 이내 거의 모든 가구가 휴머노이드 로봇을 소유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2025-02-25 16:42:19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오동운, 내란국조특위 청문회에서 '영장쇼핑' 의혹에 "전혀 문제 없다"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장이 25일 일각에서 제기하는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영장 쇼핑' 의혹을 부인하며 "전혀 문제 없다"고 해명했다. 오 공수처장은 이날 오전부터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내란국조특위(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제일 관련성 많은 법원은 서울서부지방법원과 국회가 소재한 서울남부지방법원으로 평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여당은 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형사재판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지법이 아니라 서부법원에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한 것을 두고 '영장 쇼핑'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오 공수처장은 민 의원이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과 구속영장을 중앙지법이 아니라 서부지법에 한 이유를 묻자 "공수처법 31조에 관할을 규정하고 있다. 조항 전문이 규율하는 범위는 공수처가 공소를 제기하는 사건에 대해서 중앙법원이 관할하고 후문에는 공수처가 재량껏 검사가 할 수 있다고 돼 있다"며 "이 사건은 공수처가 공소 제기를 하는 사건이 아니라 수사권만 갖는 사건이다. 형사소송법 원칙에서 관할을 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오 공수처장은 "특히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할 때 범죄지, 피의자의 소재지 모두 서부지법 관할이었다"며 "중앙지법에 되려 청구했으면 관할권 존부를 두고 판사님이 많이 고민했을 듯"이라고 말했다. 여당 특위 위원들은 공수처의 수사가 부실하고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곽규택 국민의힘 의원은 "(공수처는 지난해) 12월 6일 윤 대통령을 피의자로 명시해 청구한 압수수색 영장과 대통령 및 국무위원 등에 대한 통신영장을 서울중앙지법에 청구했다가 모두 기각됐다"며 이후 서울서부지법에 윤 대통령 체포영장을 청구한 것이 '영장 쇼핑'이었다고 지적했다. 박준태 국민의힘 의원도 오 처장을 향해 "(수사 권한이 없는) 내란죄로 (윤 대통령을) 수사하고, 재직 중에 소추받지 않는 직권남용으로 현직 대통령을 수사했다"며 "이런 선례를 남겨 앞으로 모든 대통령이 수사받게 생겼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청문회에서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와 연루됐다는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소환조사 가능성에 대해 "처음부터 다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차장검사는 "(윤 대통령 부부를) 소환하겠다는 것은 아직 검토된 바는 없고, 소환을 안 하겠다고도 결정된 게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2025-02-25 16:00:27 박태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