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서울사이버대 특수심리치료학과, 내달 8일 임파워먼트 특강 개최

서울사이버대 특수심리치료학과는 오는 2월 8일 오후 2시 임파워먼트 특강 일환으로 최연우 멘탈헬스코리아 대표를 초청해 '정신건강 생태계 혁신을 위해 필요한 변화'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온·오프라인 동시에 진행된다. 온라인은 줌(Zoom) 화상회의로, 오프라인은 서울사이버대 A동 501호에서 열린다. 특강을 맡은 최연우 대표는 지난 2018년, 대한민국 정신건강 생태계에 혁신적인 변화를 만들기 위해 카이스트 대학원 출신 멤버들과 뜻을 모아 멘탈헬스코리아를 설립했다. 멘탈헬스코리아는 정신건강 생태계의 컨슈머 무브먼트를 펼치 비영리 기관이다.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도움을 제때 제대로 받고 있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신건강 피어스페셜리스트를 육성하고, 이들이 개인의 정신건강 및 사회 혁신과 변화에 직접 참여하고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활동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강은 서울사이버대 심리·상담대학, 대학원 재학생, 졸업생, 입시지원자 등 관심있는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은 사전에 신청해야 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서울사이버대 특수심리치료학과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1-23 09:25:1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푸틴에 경고 "우크라 종전 거부시 추가 제재·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상대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거부시 추가 제재와 관세 부과를 경고했다. 22일(현지시간)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푸틴 대통령의 이름을 직접 거명하며 "우리가 '곧', '협상(deal)'을 하지 않는다면 러시아가 미국 및 기타 참여국에 판매하는 모든 것에 높은 수준의 세금과 관세, 제재를 가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는 쉬운 방법으로 할 수도 있고 어려운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쉬운 방법이 항상 더 낫다"며 "내가 대통령이었다면 결코 시작하지 않았을 이 전쟁을 끝내자. 이제는 협상을 할 시간이다. 더 이상 생명을 잃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러시아와 우호적 관계란 점도 역설했다. 그는 "경제가 실패하고 있는 러시아와 푸틴 대통령에게 매우 큰 호의(FAVOR)를 베풀 것"이라며 "지금 당장 합의하고 이 터무니 없는 전쟁을 멈춰라. (아니면) 더욱 나빠질 뿐"이라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키스 켈로그 러시아·우크라이나 특사에게 100일 내에 전쟁을 끝낼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화 협상은 본인이 직접 주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5-01-23 09:18:41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인하대-오사카대학 D3 연구센터, AI·데이터과학 공동연구 및 학술교류 협약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일본 오사카대학 D3 연구센터와 국제 연구협력·인력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3일 밝혔다. 인하대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는 오사카대학 D3 연구센터와 인공지능·데이터과학 분야에 대한 공동 연구, 학술 교류, 연구자 교환 방문, 세미나·심포지엄 개최 등 다각적인 협력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두 기관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이를 활용한 산업문제 해결을 목표로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연구성과 도출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방침이다. 인하대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2020년 5월 설립됐다. 수년간 융합대학원을 운영하면서 인공지능 분야 석박사 인력 양성과 인천지역 거점 산학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해 왔다. 현재 26명의 교수와 100여명의 학생이 다양한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인하대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는 올해 설립 5주년을 맞아 국제화를 통한 연구와 교육 향상을 목표로,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의 연구 협력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오사카대학 D3 연구센터는 '인공지능·데이터 구동형 대학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디지털 디자인(Digital design), 데이터빌리티(Datability), 결정 지능(Decision intelligence) 등 D3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설립된 선도연구센터다. 15개의 연구 부문에 약 70명의 교수가 참여하여 양적, 질적으로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자랑하고 있다. 박인규 인하대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센터장(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은 "이번 오사카대학 D3 센터와의 협약을 계기로 인하대 인공지능 분야의 교육과 연구가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융합형 인재 양성 기능을 갖춘 산업혁신형 글로컬 연구센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1-23 09:07:0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김태규 방통위원장 대행 "방송·OTT 아우르는 미디어 법제 마련"

김태규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위원장 직무대행이 방송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아우르는 미디어 통합 법제 마련과 디지털 플랫폼의 불공정 행위 관련 제도 정비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 미디어 산업의 활력을 회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김태규 직무대행은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5년 방송통신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김 직무대행은 "방송통신 산업이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며 "디지털 플랫폼이 여가, 소비, 소통 등 일상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어 이제 우리 삶의 중심 공간이자 공론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고 진단했다. 이어 김 직무대행은 "콘텐츠 시장의 중심축이 OTT와 디지털 플랫폼으로 이동하면서 국내 방송산업이 10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고, 미디어 산업의 활력도 약화되고 있다"며 우려했다. 방통위는 국내 미디어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방통위는 이를 위해 방송 광고, 소유·겸영, 편성 등 기존 규제를 혁신하고, 방송과 OTT를 포괄하는 미디어 법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김 직무대행은 "콘텐츠 사용료의 합리적 산정과 불법정보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직무대행은 올해 주요 추진 정책에 대해 "인공지능(AI) 등 신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며 그 역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용자 보호 체계를 마련할 것"이라며 "최근 단말기 유통법이 폐지됨에 따라 그 취지에 맞게 국민 누구나 단말기 구입 부담 경감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통신 3사 중 유일하게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유 대표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장인 김영섭 KT 대표는 경영 일정으로 불참했으며,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한국전파진흥협회장 취임을 앞두고 있어 참석하지 않았다. /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

2025-01-22 17:45:31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이주호 “정부 15여년 등록금 동결 기조 전환할 때…올해만 버텨달라”

지난 15여년간 교육 당국이 대학을 규제하며 이어간 '등록금 동결' 기조를 두고,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이제 전환할 때"라고 말했다. 내년부터는 관련 규제를 풀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최근까지도 대학 총장들과의 만남을 통해 동결을 독려해 온 이주호 부총리가 등록금 인상 관련 규제 완화 추진 시기를 공식석상에서 밝힐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주호 부총리는 22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개최된 '2025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서 "등록금 관련 정부 정책을 대학 자율을 기반으로 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다"라며 "대학 사정을 고려해 내년엔 (규제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교육부가 기반을 닦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15년 동결된 기조를 전환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노력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지난 장관 시절 반값등록금을 추진하면서 등록금 동결·인하 정책을 시작한만큼, 결자해지(結者解之) 차원에서 관련 정책을 마무리지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지난 2010부터 2013년까지 53대 전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 장관을 지내면서 등록금을 올리는 대학엔 국가장학금을 지원하지 않는 정책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 대학은 현재까지 15여년간 등록금을 동결하고 있다. 다만 올해는 동결해 달라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올해는 예상치 못하게 정부도 권한 대행체제로 바뀌면서 정부 정책을 바꾸는 게 어려운 상황"이라며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경제 상황도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대학이 한 해만 참아달라는 요구 말씀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등록금을 동결할 경우, 교육부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등 대학이 숨통을 트일 수 있도록 조치를 하고 있다"라며 "어려움을 잘 이겨나갈 수 있도록 다같이 허리띠를 졸라매자"고 독려했다. 앞서 교육부는 올해 대학·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 대학 중 등록금을 올리지 않은 대학은 대학별 사업비 총액 중 인건비 상한선을 기존 25%에서 30%로 상향해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가장학금 Ⅱ유형 규제도 풀었다. 교내장학금을 전년 대비 10%까지 줄여도 등록금을 동결하면 국고를 지원하기로 하는 방안이다. 이에 대해 박상규 대교협 회장(중앙대 총장)는 "그럼에도 올해 등록금을 인상하는 대학에 불이익이 없도록 교육부가 최대한 노력해 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21일 기준 전국 190개 대학(사립대 151곳, 국공립대 39곳) 중 27개 대학이 2025학년도 등록금 인상을 확정했다. 인상을 확정한 대학은 수도권 16곳, 비수도권 11곳으로, 이중 사립대학은 23곳, 국공립대학은 4곳이다. 아직 대다수 대학이 올해 등록금을 확정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면, 인상 대학은 이보다 훨씬 늘어날 전망이다. 123개 대학이 등록금 인상여부를 논의중이고, 대학 본부에서 인상을 결정한 뒤 등록금심의위원회(등심위)를 진행 중인 곳은 13곳이다. 27개 대학은 동결을 확정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5-01-22 17:18:5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권성동·이창용 면담, '추경안 편성' 논의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을 이끌고 한국은행을 방문해 이창용 한은 총재와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 등 경제 현안을 주제로 면담했다. 이번 면담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대 은행장과 간담회를 한 지 이틀 만에 열려 관심이 쏠렸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상황 점검 및 현안 보고' 사전 환담에서 "최근 이 총재께서 정부와 정치권에 여러 의견을 활발히 개진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 속사정이 무엇이고 왜 그런 발언이 나오게 됐는지 그 배경 등에 대해 진솔한 대화를 나누고 싶어 방문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창용 총재님께서 물가안정에 심혈을 기울인 결과 2%대라는 안정적인 물가를 보여서 참으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있다"면서 "그런데 최근에 정치권의 불안이라든가 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그리고 프랑스, 독일 등 그런 정정 불안, 유럽연합(EU)의 전쟁 불안 등으로 인해서 대내외 불확실성이 굉장히 증대되고 있어서 앞으로 통화 신용 정책을 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걱정도 된다"고 부연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대내외 사정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여러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에 잠시 환율이 내려가는 모습을 보여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있지만, 아직도 여러 불확실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민생·경기 활성화 사업 예산을 1분기 40%·상반기 70%를 집행하는 등 조기 집행에 중점을 두는 가운데, 추경안 편성은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반면, 이 총재는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올해 경제 성장률이 기존 1.9%에서 1.6~1.7%까지 낮아질 것으로 관측하면서 최근 정부의 15조~20조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이 필요하다며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당장 20조원 규모의 추경안 편성이 필요하단 입장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전날(21일) 국무회의에서 추경안 편성 논의를 국회와 논의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히면서 여·야·정이 추경 편성을 앞당길 수도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박수민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추경에 대해서 한은 총재가 이미 언급했기 때문에 그 배경에 대해서 자세히 들어봤다"라며 "그 결과 예산 조기 집행이 민생과 경제를 위해서 집중해야 하는 일이라는 입장은 달라지지 않았다. 당에선 연말까지 봤을 때 추경의 필요성이 있어서 언급하셨다는 식으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이 총재는 추경을 먼저 하자는 것보다도 추경에 대한 계획이 가시화돼야 대외신인도에 좋아서 가급적 빨리 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이해했다"고 부연했다. 비상계엄 선포라는 정치적 불확실성을 해소할 대책을 한은에 전했냐는 물음엔 "이 총재가 정치적 충격 때문에 불안해지고 경기도 침체되는 면에 대해서 걱정을 주셨고 당은 공감하면서 빨리 정국과 국정을 안정시킨다는 목표를 드렸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이번 만남에서 국민의힘과 한은이 나눌 수 있는 중요 주제는 '추경'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메트로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민주당과 6대 은행장과의 간담회는 민간 영역의 플레이어들을 부른 것이어서 부적절했는데, 중앙은행은 정치권이 만날 수 있다"라며 "만나도 독립적인 중앙은행에 금리를 낮추라고 이야기는 못 할 것이고 한은 총재에게 할 이야기는 추경 쪽"이라고 말했다. 이어 "추경안 편성을 하려는데, 돈이 없는 상황"이라며 "그러면 한은에서 빌리든지 외국환평형기금이나 주택기금 쪽을 손대야 해서 그런 부분 때문에 만났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5-01-22 16:38:01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Hyundai and Kia Expect Record High Performance Amid Popularity of Eco-friendly Cars and SUVs…Moving to Respond to U.S. and Chinese Markets This Year

Hyundai Motor and Kia are continuing their strong performance, fueled by the booming eco-friendly vehicle market. With each quarter setting new record-high results, industry attention is focused on whether Hyundai and Kia will achieve unprecedented performance in the previous year.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22nd, Hyundai Motor and Kia are set to announce their annual results for last year on the 23rd and 24th, respectively. According to financial information provider FN Guide, securities firms estimate Hyundai's annual results to be approximately 173 trillion KRW in revenue and 14.8 trillion KRW in operating profit. Kia is expected to report about 106.9 trillion KRW in revenue and 12.8 trillion KRW in operating profit. If these estimated figures materialize, Kia will set record-high results in both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For Hyundai, the company is expected to achieve its highest-ever revenue figures. In 2023, the combined revenue of the two companies reached 262.472 trillion KRW, with operating profit of 26.7348 trillion KRW, marking their best-ever performance. While the possibility of surpassing 30 trillion KRW in annual operating profit seemed likely through the first half of last year, it appears that, based on the estimates, only revenue records have been broken this year. The continued upward trend in Hyundai Motor and Kia's performance can be attributed to a favorable external environment, including the sustained high exchange rates, as well as a strategic focus on selling high-value vehicles such as eco-friendly cars and SUVs. In particular, strong export performance in North America played a key role in driving the companies' improved results. However, it remains uncertain whether this upward trend will continue into this year. This year, the launch of the Trump 2.0 administration has increased policy uncertainty, which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companies' performance. Despite increasing investments, such as expanding local production bases in the U.S., Hyundai failed to meet the origin requirements for batteries and key minerals used in eco-friendly vehicles. As a result, Hyundai's Ioniq 5, Ioniq 9, and Genesis GV70 electric models were excluded from the U.S. electric vehicle subsidy program. On his first day in office, U.S. President Donald Trump signed an executive order directing the repeal of electric vehicle subsidies, calling them "unfair." The only models from Hyundai and Kia that qualify for the subsidy in the U.S. are the Kia EV6 and EV9. In response, Hyundai Motor Group is focusing all its efforts on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U.S. electric vehicle subsidy eligibility. A Hyundai Motor Group official stated, "By the second quarter of this year, we will meet the parts origin requirements and be eligible for the subsidy again." Hyundai Motor and Kia are also focusing on targeting the Chinese market to expand their global sales. Hyundai Motor is preparing to launch a China-exclusive electric vehicle this year, aiming to expand sales in China, the world's largest electric vehicle market. Industry experts analyze that Hyundai's Chinese joint venture, Beijing Hyundai, will release a China-exclusive electric SUV model this year, with the price expected to be set around 20 million KRW. Kia has continued to see steady sales growth in China, leveraging its electric vehicle (EV) technology. From January to November last year, Kia's electric vehicle sales in China reached 5,526 units, a 26-fold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the previous year.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Euisun Chung emphasized at the company's New Year's meeting earlier this year, "Since things went well last year, we don't have the luxury of being optimistic about this year," adding, "Simply trying to endure won't be a good strategy."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sponding quickly and flexibly to changes in the global automotive marke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22 16:31:55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