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대교협 29대 회장에 양오봉 전북대 총장…“대학 발전 위해 정부·국회 협력 이끌어 낼 것”

양오봉 전북대학교 총장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신임 회장으로 선출됐다. 양 회장 임기는 오는 3월 1일부터 2026년 2월 28일까지다. 대교협은 22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2025년 정기 총회'를 개최하고 양오봉 총장을 29대 회장으로 선임했다. 양 총장과 함께 대교협을 이끌 부회장으로는 이기정 한양대 총장과 임경호 국립공주대 총장이 이름을 올렸다. 대교협은 신임 회장단 선출에 따라 교육부 장관 승인 및 법인 등기 등의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양 회장은 "2025년은 대학들에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지난 2023년 신설돼 대학 재정에 큰 역할을 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가 올해 말 일몰을 앞두고 있는데, 이를 연장시키는 게 (대교협 총장으로서)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고등교육재정교부금도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협력을 이끌어 내겠다"라고 말했다. 1962년생인 양 총장은 전주고등학교, 고려대 화학공학과 학사를 마친 뒤 카이스트에서 공학 석사와 박사과정을 마쳤다. 포항산업과학연구원 (RIST) 방문연구원을 거쳐 1995년 전북대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교수로 교단에 섰다. 전북대에서 에너지-AI융합대학원 인력양성사업 단장, 에너지신산업 혁신공유대학사업 단장을 지냈고, 대외적으로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전북 지역혁신협의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전문위원, 새만금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지난해 3월부터 글로벌대학협의회장을, 10월부터는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을 맡고 있다. 2023년 2월부터 전북대 19대 총장으로서 대학을 이끌고 있다. 한편, 전국 197개 4년제 대학 중 136개 대학 총장이 참석한 이날 총회에서는 고등교육 예산 확보, RISE 체계 안착 등 지난해 성과를 평가하고, 대학 재정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1-22 15:24:4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공정한 재원 분배 목표"…케이블TV, 유료방송 '콘텐츠사용료 산정 기준' 제시

한국케이블TV협회가 공정하고 합리적인 콘텐츠 사용료 산정 기준이 미디어 산업 생태계의 정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케이블TV협회 종합유선방송(SO) 협의회는 국내 미디어 산업 생태계의 정상화와 공정한 재원 분배를 위한 '유료방송 콘텐츠사용료 산정 기준'을 마련했다고 22일 밝혔다. 협회는 이날 서울 서소문 성지 역사박물관에서 'SO 업계 공동 콘텐츠 대가 산정안 설명회'를 개최하고, 실시간 방송콘텐츠 담당자 및 유관 협단체 관계자들의 의견 수렴에 나섰다. SO 협의회에 따르면, 현재 SO의 수신료 매출 대비 총프로그램사용료 지급률은 90%에 달한다. SO가 방송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사용료 산정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협회 측 설명이다. 이날 설명회의 발제를 맡은 곽정호 호서대 교수는 "케이블 TV 방송 매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콘텐츠 사용료는 계속 증가해 적자로 전환된 SO 사업자가 많다"면서 "콘텐츠 사용료를 계속해서 인상하거나 인하하는 방식으로 지급할 경우, 결국 케이블TV 방송 사업은 불가능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곽 교수는 또한 "사업자 간 신뢰를 높이고, 상호 가치 증감에 따른 대가 산출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며 매출액과 수익성 등 시장 성과를 반영한 새로운 대가 산정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기준안은 콘텐츠 사용료 비율을 타 유료방송 플랫폼과 비교해 과도하게 높았던 비율을 정상화하고, SO의 방송 매출 증감에 따라 콘텐츠 사용료를 산정하는 구조로 계획됐다. 급격한 사용료 변동을 예방하기 위해 향후 3년 동안 전년도 사용료의 80~40%를 보장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또한 유사 채널끼리 4개의 군(종합채널군, 중소콘텐츠사군, 보도채널군, 일반콘텐츠사군)을 형성해 각 군 내에서 시청점유율과 평가 점수를 활용한 상대평가로 콘텐츠 사용료를 배분하고, 각 군별 시청점유율 증감에 따라 전체 사용료를 재배분하는 체계가 도입될 예정이다. SO 협의회는 "이번 기준안은 기존 거래 관행을 존중하면서도 유료방송 시장의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콘텐츠사의 광고 매출 감소와 제작비 증가 등 글로벌 콘텐츠사의 영향으로 인한 어려움도 고려해 점진적으로 기준을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SO 협의회는 향후 콘텐츠사와의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대가 기준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

2025-01-22 15:00:53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AI 인프라에 720조 투자…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합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라클·오픈AI·소프트뱅크와 합작으로 인공지능(AI) 시설에 5000억 달러(약 720조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오라클, 오픈AI, 소프트뱅크가 참여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AI 인프라에 50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차세대 AI 발전을 위한 물리적 및 가상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며 "여기엔 데이터센터와 거대한 구조물 건설이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국적으로 캠퍼스와 입지를 물색하고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는 매우 크고 특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를 통해 미국에 10만 개 넘는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도 자신했다. AI 산업에서 중국이 주요 경쟁자라며 "우리가 원하는 건 이 나라에 AI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첫 번째 데이터센터는 텍사스에 건설된다. 각 1만4000여평 규모 건물이 현재 10채 건설 중으로, 20개 동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기자회견에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래리 엘리슨 오라클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도 동석했다. 손 회장은 지난달 16일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트럼프 당시 당선인과 만나 1000억 달러 투자를 약속했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프로젝트는 이전 투자 약속과 별개라고 말했다. 오픈AI는 이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이번 프로젝트가 "미국의 재산업화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미국과 동맹국의 국가 안보를 보호할 전략적 역량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1-22 14:49:36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민주당, 한미동맹 강조 행보… 이재명, 美 대사대리 만나 "한미 관계 발전 함께 노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2일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를 만나 "새로운 미국 행정부 출범에 맞춰 새로운 대외정책이 시행될 텐데 대한민국도 발맞춰서 세계의 평화, 동북아의 안정, 한미 관계의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여권의 '친중·반미' 프레임을 탈피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윤 대사대리를 만나 "트럼프 제47대 미국 대통령의 취임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윤 대사대리가 국회, 민주당을 방문했기 때문에 앞으로 한미 관계가 더욱 더 돈독하게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최근 미국 로스엔젤레스(LA)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와 관련해선 위로를 전하며 "하루 빨리 피해를 회복하고, 미국인들과 우리 동포들 모두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특별히 지난 계엄 이후에 우리 한국의 정치적 혼란과 관련해서 우방 동맹국 미국이 보여준 민주주의에 대한 확신, 일관된 지지에 대해 우리 국민들을 대표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미국 행정부에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뿐만 아니라 자유민주진영의 민주주의 가치를 지켜내기 위한 노력을 해주신 점에 대해서도 각별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신속하게 회복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대표는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진영의 일원으로 한미 동맹 아래에서 지금까지 성장과 발전을 이뤄온 것처럼 앞으로 대한민국이 한미 동맹을 더욱 더 강화·발전시키고 자유민주진영의 일원으로서 그 책임을 더 확고하게 해 나가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이에 윤 대사대리는 "이 대표를 처음 뵙는 자리이나 워낙 TV와 신문에서 자주 뵙다보니 굉장히 친숙하게 잘 아는 분처럼 느껴진다"고 화답했다. 그는 "한미 동맹과 양국 관계는 외교관 생활을 하면서 맡은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라며 "어려운 시기를 포함해 여러 차례 한미 관계의 다양한 현안들을 다뤄왔다"고 했다. 특히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어려웠던 상황들에 대해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며 "선배이기도 한 스티븐 보스워스 대사를 도와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양자 간 여러 현안을 해결하는 데 제가 관여하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저의 작은 역할이나마 기여하고자 하고, 이런 위기를 한국이 극복하면서 더욱 더 강해질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한미 동맹을 더욱 더 굳건하게 만들기 위해 협력을 이어나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연일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민주당 의원 82명은 전날(21일) '한·미 동맹 지지 결의안'을 발의했다. 이 결의안에는 이재명 대표도 이름을 올렸다. 결의안에는 한미동맹이 대한민국 민주화와 경제성장의 기틀이 됐고, 한반도 평화의 기반이자 동북아시아 안보의 핵심축임을 국회가 재확인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대선 과정에서 공약한 우크라이나 전쟁의 조기 종전을 지지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 대표와 민주당이 최근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이유는 조기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여권에서 탄핵심판이 인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일제히 이 대표를 때리는 상황이다. 특히 보수층에서는 이 대표와 민주당이 '친중·반미'라는 공세를 가하고 있다. 이같은 프레임을 탈피하고, 유력 대권주자·수권정당으로서 대외정책을 책임질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한편 민주당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글로벌 통상위기 대응도 나섰다. 민주당은 이날 경제안보특별위원회를 발족했다. 국제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한국 경제·안보에 미치는 위협과 기회를 분석하고, 당 차원에서 대응하기 위한 기구다. 특위에서는 반도체와 2차전지,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1-22 14:36:43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양오봉 대교협 차기 회장 “의대생 3월엔 돌아와야…2026 증원 결정은 2월말이 마지노선”

양오봉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제29대 회장이 의과대학 증원을 반대하며 일년 째 휴학 중인 의대생들에게 오는 3월 학기엔 돌아와야 의대 교육 붕괴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변경은 2월 말까지는 확정돼야 대학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이날 정기총회에서 29대 회장으로 선임됐다. 대교협이 22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에서 개최한 '2025년 정기 총회'에서 양 신임 회장은 기자 공동 인터뷰를 진행하고 "(휴학 중인)의대생들이 전부 복귀할 경우 1학년 기준 (지난해 2배인) 7500여명의 의대생이 수업을 듣게 된다"라며 "만약 올해 복귀가 무산되면 내후년엔 1학년만 1만2000여명이 한꺼번에 수업을 듣게 돼 정상적인 수업이 불가능하니, 3월 초엔 학교로 돌아와야 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2026학년도 정원과 관련해서는 이주호 부총리가 의사단체와 제로베이스에서 논의하기로 한 상태"라며 "정원 문제는 의정간 협의에 결정하도록 하고 정상적인 수업을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기로 했지만, 의사 단체가 증원을 반대하고 있다. 양 회장은 2026학년도 정원 증원 여부는 정부와 의사단체가 2월말까지는 협의를 해야 대학 일정에 무리가 없다고 했다. 사전예고제에 따라 정원 조정 등 입학 전형에 변동이 생긴 경우 전년도 4월 말까지 각 대학이 대교협에 변경신청을 해야 한다. 대교협은 5월 말까지 심의를 거쳐 승인을 거쳐 입시 관련 시행 계획을 수정하게 된다. 양 회장은 "앞으로 1개월 내 의정이 협의를 마쳐야 이후 시행 계획 수정에 무리가 없다"라며 "그래야 정원조정위원회를 거치고 4월 전 교육부 제출을 마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기한 내 확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조정과 관련, 일각에서 이전 의대 정원(3048명)보다 줄여야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데 대해선 "대학으로써 무리"라고 일갈했다. 양 회장은 "그간 대학은 의대 교육을 위해 교수 채용, 실험·실습 자재 확충 등 인프라를 갖춰왔고, 2025년 증원에 따라 전북대만 교수 33명을 증원했다"라며 "정원이 이전보다도 더 줄게 되면 대학은 투자한 것을 되돌려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며 어려움이 따른다"고 우려했다. 양 총장은 이날 신임회장에 선임되면서 오는 3월 1일부터 1년 임기를 시작한다. 양 회장은 "2025년은 대학들에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지난 2023년 신설돼 대학 재정에 큰 역할을 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가 올해 말 일몰을 앞두고 있는데, 이를 연장시키는 게 (대교협 총장으로서)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고등교육재정교부금도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협력을 이끌어 내겠다"라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5-01-22 14:26:3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내란국조특위 첫 청문회, 윤석열 대통령 등 7명에 동행명령장 발부

국회 내란국조특위(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의 1차 청문회가 22일 열린 가운데, 특위는 청문회에 불출석한 윤석열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노상원·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등 7명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국조특위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표결을 통해 18인 중 찬성 11인, 반대 7인으로 '동행명령장 발부의 건'을 야당 주도로 가결했다.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재택된 한덕수 국무총리,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은 출석했으나 윤 대통령, 김용현 전 장관, 노상원·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김용군 정보사령부 예비역,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구삼회 전 육군 제2기갑여단장 총 7명이 응하지 않았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은 모친상으로 출석하지 않았다. 특위 야당 간사를 맡고 있는 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증인들의 불출석에 대해 "국민 대표기관인 국회에 대한 중대한 도전, 모독"이라며 "내란 수괴 윤석열 증인에게 즉각 동행명령장을 발부해주시고, 조치를 취해달라"고 안규백 특위 위원장에게 요청했다. 이에 박준태 국민의힘 의원은 "대통령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는 망신주기 아닌가"라며 "지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국민적 비판을 받는 이유 중 하나가 대통령이 구속됐는데 접견을 불허하고 가족 면회도 금지시키고 서신도 못받게 하면서 강제구인하려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이 수형복 입은 모습을 보여주려고 공수처가 쇼하는 것 아니냐고 비판을 받는 것"이라며 "위원회가 필요에 따라서 대통령이 출석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지금 대통령이 구속된 상태에서 강제로 동행명령장을 발부해서 출석시키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다. 안 위원장은 "어제 국민들도 상황을 봤지만, 피고인 윤 대통령은 어제 헌법재판소(헌재)에 출석해서 1시간 43분 동안 본인에 대해 진술하고 방어권을 행사했다"며 "공수처에는 나가지 않고 헌재는 나가고 취사선별해서 의견을 개진하고 유불리를 따지던데, 어제 헌재에 대통령이 나가지 않았다면 동행명령장 발부를 하지 않겠지만, 어디는 나가고 어디는 안나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안건 표결을 진행했다. 한편, 야당 의원들은 전날(21일)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3차 변론 기일에 출석해 발언한 주장을 반박하는데 시간을 할애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윤 대통령이 헌재에 출석해 비상계엄 선포 후 최상목 경제부총리에게 '비상입법기구 설치 예산 확보' 등이 담긴 쪽지를 준 사실을 부인한 것을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이런 쪽지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은 김 전 장관 밖에 없다며 책임 떠넘기기를 하는 모습도 보였다. 박 의원은 "윤 대통령이 최상목 부총리에게 문건으로 한 지시 여부가 쟁점"이라며 "어제 안창명 합참 작전본부장은 (현장조사에서) 12월3일 저녁 10시20분 합참 엘리베이터 근처에서 김용현 전 장관을 만났다고 한다"라며 "그 이후 김 전 장관이 합참 전투통제실로 갔다. 윤 대통령은 저녁 22시20분부터 (비상계엄 선포)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할 동안 11시10분까지 합참 전투 통제실에 있었다"라고 했다. 김철진 국방부 군사보좌관은 박 의원에게 이를 확인해줬다. 박 의원은 "공소장에 의하면 윤 대통령이 긴급 대국민 담화를 마치고 다시 국무위원들에게 와서 한덕수 총리, 조태열 외교부 장관, 최상목 부총리에게 문건 지시를 했다고 돼 있다"라며 "그 시간은 22시43분으로 추정된다. 그 시간에 김 전 장관은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하고 있었다. 김 전 장관은 그때 대통령실 국무위원 대기실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상목 부총리가 대통령에게 바로 받았다는 것이 확실하고 즉 대통령의 주장은 거짓이라고 본다"며 "최 부총리는 (지난해) 12월13일 본회의에 나와서 대통령이 계엄을 발표하고 와서 종이를 접어서 줬다. 그리고 본인은 그 종이를 갖고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갔다고 돼 있다. 김 전 장관이 최 부총리에게 줬다든지, 누가 줬는지 모르겠다는 것은 완전한 허위"라고 말했다.

2025-01-22 14:26:03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Short but Impactful" The Short-Form Drama Boom: China Leading, Will Korea Follow?

Short but impactful "short-form dramas" are changing the landscape of the global content market. In particular, as the short-form platform TikTok overcomes its survival crisis, attention is focused on whether the rapidly growing short-form drama market, primarily centered in China, will benefit from this trend. According to the "2024 China Short-Form Drama Industry Development White Paper" released by the China Internet Video Association on the 22nd, the size of China's short-form drama market reached approximately 50.44 billion yuan (about 10.037 trillion KRW) last year, showing a 35% growth compared to 2023. This surpasses the total size of China's film market in the same year, and it is expected to reach around 19 trillion KRW by 2027. ◆ AI and Localization Strategy: The Key to the Success of Chinese Short-Form Content China's leading short-form drama platform, "Lilshot," produces vertically formatted dramas with each episode lasting about one minute. This short, fast-paced format has become extremely popular among consumers who prefer quick and engaging content. Lilshot has especially gained attention in the U.S. market. In November of last year, it surpassed TikTok to become the most downloaded app in the U.S. with a total of 28.6 million downloads. In-app purchase revenue reached $80 million (approximately 105 billion KRW). Other Chinese short-form drama platforms, such as "DramaBox" and "GoodShot," continue to grow in the Chinese-speaking and Southeast Asian markets as well. The success of Chinese short-form dramas can be attributed to AI technology and localization strategies. AI technology has enabled high-quality content production while reducing costs and production time. Additionally, localized stories that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long with strategic partnerships, have accelerated their entry into the global market. Lilshot has attracted consumer interest with its reasonable pricing policy and a diverse range of content genres. Typically, a series consists of 70 to 80 episodes, with the first 58 episodes available for free. Subsequent episodes are offered for a fee, with the total viewing cost around $30 (approximately 40,000 KRW). The average production cost per series is only around $300,000 (approximately 400 million KRW), making it a highly profitable model. ◆ K-Content Takes on the Short-Form Market K-Content, which enjoys strong recognition in the global market, has also ventured into the short-form drama market. Since the launch of South Korea's first short-form drama platform, 'TopReels,' in April last year, 'BeagleU' and Watcha's 'ShotCha' have also actively entered the short-form market. TopReels is operated by Fox Media, a subsidiary of the game distributor NeoRidge, and offers not only original dramas such as "My Revenge Partner" and "Acquired Four Men" but also Chinese short-form dramas. BeagleU is the first domestic short-form platform to enter the Japanese market, offering around 90 dramas in seven languages, including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Recently, it gained recognition for its growth potential by securing an investment of approximately 120 billion KRW from Krafton. In particular, ShotCha has attracted attention as Watcha was the first domestic OTT platform to step into the short-form drama market. TVing is also preparing to enter the market by planning original short-form dramas. However, the lack of independent platforms and limited experience in large-scale production are seen as major obstacles in the Korean short-form market. An industry expert positively assessed the potential of short-form dramas as a new growth driver for the Korean content industry, emphasizing, "Strengthening production capabilities through global collaboration and adopting a content strategy that highlights the unique appeal of short-form dramas are essential."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22 14:05:44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