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M-커버스토리]AI디지털교과서, '교육자료'로 지위 격하…찬반 논란 여전

오는 3월 도입 예정이었던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가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단순한 '교육자료'로 격하됐다. AI 교과서의 지위가 흔들리면서 교육계와 학부모, 에듀테크 업계 등 이해관계자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AI 디지털교과서, 교육 혁신의 도구에서 '교육자료'로 AIDT는 학생 개인의 학습 수준에 맞춰 학습이 가능하도록 AI 기술을 이용해 학습자료와 지원 기능을 실은 디지털 기반 교과서다. AI는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 자주 틀린 문항의 주요 개념을 다시 설명하거나 비슷한 문제를 제시하는 등 맞춤형 학습 정보를 제공한다. 9일 <메트로경제> 취재를 종합한 결과, AIDT는 법 개정으로 인해 필수 교재가 아닌 선택적 학습 보조 자료로 그 지위를 잃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입 3개월을 앞두고 교육부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교육부는 2023년 2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이후 2년 넘게 AIDT 도입을 준비해 왔다. 애초 계획은 2025년부터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영어·수학·정보 과목에 AIDT를 우선 도입하고,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검정 심사를 통과한 12개사 76종의 AIDT를 공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AIDT를 참고서와 같은 '교육 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선정해야 하는 교과서와 달리, 교육자료는 의무 채택 대상이 아니며 학교 재량으로 운영위원회를 거쳐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각 학교는 AIDT 활용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됐다. 교육부는 이에 즉각 반발했다. AIDT가 시행 직전에 무산될 경우 현장 혼란과 학습 격차가 발생할 것이라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개정법안 통과 직후 "학교 현장과 사회적 혼란이 우려된다"며 재의 요구를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자료는 교과서와 달리 무상·의무 교육 대상이 아니어서 학생과 학부모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 있다"며 "학교별 재정 여건에 따라 사용 여부가 달라져 학습 격차가 심화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교육감 성향에 따라 엇갈리는 도입 전망 AIDT의 활용 여부는 시·도 교육감의 성향과 정책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 인천, 세종 등은 AIDT를 학교 자율에 맡기겠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대구, 경기, 제주 등은 예산을 확보해 전면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은 지난 7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AIDT를 교육자료로 먼저 효과를 검증한 뒤 교과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반면, 강은희 대구시 교육감은 "법적 지위와 관계없이 AIDT를 교과서처럼 활용할 계획"이라며 전면 도입 의지를 밝혔다. 이 외에 울산과 전남 등 4개 지역은 선도학교 중심으로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나머지 6개 지역은 오는 17일 열리는 AIDT 관련 청문회 이후 상황을 지켜보며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계 "디지털 과의존·문해력 저하 우려" AIDT 도입에 대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일부 교육 전문가와 학부모들은 AIDT가 학생들의 집중력과 문해력을 저하시켜고 이로 인해 학습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교원단체들은 꾸준히 AIDT 도입을 반대해 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교사들은 지난달 10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AI 디지털교과서 거부' 기자회견을 열고 "검증되지 않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직후 전교조 등 126개 교육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AI 디지털교과서 중단 공동대책위원회'는 성명을 내고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학부모들 역시 국민동의청원까지 제기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해 5월 올라온 AIDT 도입을 유보해달라는 국회 국민동의청원은 약 한 달 만에 5만6505명의 동의를 얻어 국회 교육위원회에 넘겨졌다. 이에 교육부는 "AI디지털교과서는 수업의 보조 도구일 뿐"이라며 "종이 교과서를 폐지하지 않는다"고 해명한 바 있다. 서울 양천구에서 중학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데, 교과서까지 디지털 기기로 해야 할 이유를 모르겠다"며 "디지털 기기에 더 의존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학부모들은 AI 교과서가 학생들의 학습 격차를 줄일 기회라고 보고 있다. 서울의 한 학부모는 "지역과 학교에 따라 디지털 교육 혜택을 누리지 못한 학생들이 많았다"며 "AI 교과서는 모든 학생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에듀테크 업계는 AIDT 도입이 학습 생태계를 확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는 국내 에듀테크 시장은 연평균 8.5% 성장해 내년에는 약 9조9833억원, 2026년에는 10조8319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네이버클라우드, LG CNS 등 주요 IT 기업들은 AI 교과서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한국교과서협회도 회원사들이 네이버클라우드를 활용한 AIDT 서비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그러나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자 교과서 개발 업체들은 "교과서 지위를 잃으면 업체들은 다 죽는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년간 수십억원, 많게는 수백억원을 들여가며 교과서를 개발했다"면서 교육자료로 격하될 경우 소송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 해외는 아날로그로 회귀중 해외에서는 오히려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교육 방식으로 회귀하는 추세다. 스웨덴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다가 지난해 이를 폐지했으며, 이탈리아와 핀란드 등에서도 교실 내 모바일 기기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스웨덴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나 2023년 이를 폐지하고 6세 미만 아동에 대한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을 완전히 중단했다. 대신 종이 교과서를 사용하고 종이에 글을 쓰는 등 아날로그식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나치게 디지털화된 학습 방식으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능력이 저하됐다는 비판에 따른 조치다. 실제 초등학교 4학년생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국제읽기문해력연구'(PIRLS)에 따르면 스웨덴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2016년 555점에서 2021년 544점으로 11점 하락했다. 이탈리아와 핀란드 등 일부 나라에서도 교육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교실 내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디지털교과서, '미래 교육의 나침반' 되려면 AI 디지털교과서가 '미래 교육의 나침반'이 되려면, 기대와 우려 속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AIDT의 효과성 검증과 부작용 방지를 위한 더 많은 연구와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 예산 부담과 인프라 문제 해결이 우선되지 않으면 교육 현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 교육 전문가는 "기술만으로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보장하기 어렵다"며 "예산 문제와 인프라 개선 방안을 명확히 마련해 우려를 해소하고, 기술과 교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는 오는 17일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청문회를 열 예정이다. AI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법안이 이미 처리됐지만 도입 찬반 논란이 여전히 큰 만큼 그 효과성을 다시 검증해 보자는 취지다. 증인으로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한 교육부 관계자와 대구, 광주 등 일부 시도 교육감, AI 교과서 개발 업체 대표 등 18명이 채택됐다.

2025-01-09 15:36:04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주말은 책과 함께] 자본을 읽자 外

◆자본을 읽자 에티엔 발리바르 외 4명 지음/진태원·배세진·김은주·안준범 옮김/그린비 오늘날 노동의 문제가 더욱더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라는 진단에 동의한다면, 이를 가지고 마르크스가 씨름해 써낸 저작 '자본'을 읽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알튀세르가 지적하듯 '자본'을 그 자체로 읽는 것은 부족하다. 마르크스주의 철학 없이 '자본'을 본다면, 과거의 독자들처럼 교조화라는 잘못된 길로 빠져들 수 있다. 저자들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이 철학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자본' 또한 올바른 방식으로 독해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자연 과학이 과학 철학의 도움을 통해 이해되듯, 마르크스의 '자본' 또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통해 더욱 적합한 방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고 책은 강조한다. 1152쪽. 7만2000원. ◆쓰기의 미래 나오미 배런 지음/배동근 옮김/북트리거 2022년 12월, 오픈 AI가 챗GPT를 공개한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은 우리 삶의 일부가 됐다. 첨단 IT 기술은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 맞춤법 검사기 등 우리에게 익숙한 도구가 돼 편리함을 제공한다. 명실상부 인류의 진보라고 할 만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기능들이다. 우리는 이런 도구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 면에서 이득을 취하고, 금전적·시간적 재화를 더욱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빛은 그림자를 동반한다. '기만적일 정도로 편리한' 이 도구들을 계속 사용한다면, 인간 고유의 언어 능력은 어떻게 될까. 책은 기술 발전에 따른 언어와 글쓰기의 진화, 그리고 AI가 제시하는 복잡한 과제와 기회를 조명한다. 628쪽. 2만7800원. ◆새로고침 서양 미술사 세트 이진숙 지음/돌베개 저자는 예술가의 삶과 이야기를 통해 르네상스부터 현대 미술까지 이어지는 방대한 흐름을 '시대와 인간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한다. '새로고침'이라는 제목은 기존 서양미술사를 나름의 관점에서 새롭게 써본다는 뜻과, 미술사를 뒤흔든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담았다는 중의적 의미를 지닌다. 예술가들이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포착하고, 새로운 미학 속에서 드러낸 풍부한 인간의 모습이 곧 미술의 역사다. 미술사의 혁신을 이끌며 새로운 예술의 역사를 써 내려간 101인의 창조적인 예술가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품, 시대적 과제, 창의적인 대응, 개인적인 삶의 궤적,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탐구한다. 1534쪽. 9만9000원.

2025-01-09 15:33:59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주말은 책과 함께] 너무 시끄러운 고독

보후밀 흐라발 지음/이창실 옮김/문학동네 인간은 시간의 힘에 짓눌려 소멸하지만, 고전은 세월 앞에 무릎 꿇지 않고 시간의 압력을 견뎌내며 끊임없이 재생산된다. 설령 책이 불에 탄다 하더라도 고전은 불사조처럼 재 속에서 부활한다. 검은 잿더미는 거름이 돼 나무에 흡수되고, 이는 다시 고전의 뼈와 살이 될 재료로 쓰인다. 체코의 국민작가로 불리는 보후밀 흐라발이 쓴 '너무 시끄러운 고독'은 고전의 저력을 보여주는 명작이다. 폐지 압축공인 주인공 한탸는 소설의 제목처럼 '너무 시끄러운 고독' 속을 살아가는 인물이다. 그의 동료는 말 없는 기계 한 대. 한탸는 압축기와 함께 매일 머리 위로 쏟아지는 폐지와 씨름한다. 한탸가 압축기로 사형 선고를 내리는 종이 중에는 그가 사랑해 마지 않는 책들이 껴 있다. 겉으론 잔잔한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은 그 누구보다도 시끄럽기에 그의 인생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 폐지 압축공으로 일하며 '뜻하지 않게' 교양을 쌓게 된 한탸는 자신의 업에 대한 죄의식을 갖게 된다. 그가 숭배하는 대상인 책('파우스트', '돈 카를로스', '히페리온',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을 파괴하는 일로 돈을 벌기 때문이다. 한탸는 고기 싼 종이에 말라붙은 피를 빠는 파리처럼, 책에 얼굴을 파묻고 괴테, 실러, 횔덜린, 니체의 사상을 게걸스럽게 빨아들인다. 그는 자신의 직업이 썩 맘에 들진 않지만, 책에 푹 빠져 다른 차원의 세계를 여행하는 황홀한 경험을 낙으로 근근이 살아간다. 손에 책만 쥐여주면 행복해하는 단순한 인간, 한탸에게도 존재의 위기가 찾아온다. 그의 압축기 20대 분량의 일을 해내는 거대 기계가 등장한 것. 수압 압축기가 있는 작업장을 찾은 한탸는 기계를 보고 금세 겁에 질린다. 그는 저 거대한 압축기가 자신과 같은 늙은 압축공들을 몰아낼 것이라는 사실을 직감한다. 작업장을 둘러보던 한탸는 노동자들이 손에 낀 장갑을 보고 모욕감을 느낀다. 그는 종이의 감촉을 더 잘 느끼고 두 손 가득 음미하기 위해 절대로 장갑을 끼지 않았는데, 이곳에선 그런 기쁨에, 폐지가 지닌 비길 데 없이 감각적인 매력에 아무도 마음을 두지 않았다. 책 속에서 근본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찾겠다는 열망으로 그가 종이 더미에서 구해낸 장서들과 함께 한탸는 자신의 생이 끝장났음을 깨닫는다. 결국 그는 폐지가 가득한 압축통에 자신의 몸을 넣고 녹색 버튼을 누른다. 압축통 벽에 눌려 다리와 턱이 들러붙고, 책의 단면이 한탸의 늑골을 뚫고 들어온 마지막 순간, 그는 자신이 감탄했던 탈무드의 구절을 떠올렸을지도 모른다. "우리는 올리브 열매와 흡사해서, 짓눌리고 쥐어짜인 뒤에야 최상의 자신을 내놓는다." 144쪽. 1만2000원.

2025-01-09 15:33:27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CES 2025] Choi Tae-won, After Meeting with Jensen Huang, "Development Speed Now Faster Than NVIDIA's Demands"

Choi Tae-won, Chairman of SK Group, met with Jensen Huang, CEO of NVIDIA, at the world's largest IT and technology exhibition, CES 2025. Chairman Choi revealed that through this meeting, he confirmed that SK hynix's development speed is surpassing NVIDIA's required level. On January 8 (local time), Chairman Choi Tae-won, attending CES 2025, held a press conference with domestic reporters and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K hynix and NVIDIA. This marks Chairman Choi's third consecutive year attending CES in person. In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additional discussions on HBM during his meeting with Jensen Huang, Chairman Choi stated, "I confirmed that SK hynix's development speed is now slightly ahead of NVIDIA's. In the past, we were asked to speed up development, but now the tables have turned." He also added that the supply quantity for this year has been fully decided by the working-level teams. He continued, "We exchanged views on physical AI, such as Cosmos™, and mentioned that it would be great to collaborate in the future. I also shared Korea's manufacturing know-how." Cosmos™ is the physical AI development platform announced by NVIDIA at CES this year. It is composed of cutting-edge generative World Foundation Models (WFM), advanced tokenizers, guardrails, and an accelerated video processing pipeline. On that day, Chairman Choi spent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explaining the direction of SK Group's AI business, including AI data centers. Chairman Choi stated, "At this year's CES, it was clear that AI has been integrated into everything," and added, "We plan to focus on AI data center-related businesses as a key initiative." Regarding SK's plans to expand into the U.S., he explained, "The AI data center-related industry is connected not only to the power plant business but also to energy issues across all stages, including semiconductors and cooling (thermal management)." He further stated, "I believe that there are many points of intersection between SK's portfolio and the U.S. market." At this year's CES, SK Group set up a booth under the theme "Creating a Sustainable Future with Innovative AI Technology," showcasing AI data center solutions, AI semiconductors including HBM3E 16-layer chips, and SKC glass substrate technology. Chairman Choi visited the booth and, holding a model of the SKC glass substrate, smiled and said, "I just sold thi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9 15:32:5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Riding High on the Strong Exchange Rate... Power Equipment Sector Expected to Boost Profitability with Foreign Exchange Gains"

Recently, the rapid ris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has become a negative factor for industries across the board. In contrast, the power equipment sector is showing positive signs for profitability. Since most of the power equipment business is driven by expanding overseas operations, it is expected to benefit from the increase in foreign exchange gains due to the ris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January 9, power equipment companies are expected to achieve strong performance in the fourth quarter. This i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ransformer demand as data center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operations expand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inauguration of Donald Trump's second administration, there is growing sentiment that the need to replace power infrastructure will increase. President-elect Trump has maintained the position that the U.S. must maintain dominance in the global AI industr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lead to additional demand for AI data centers. Moreover, the high exchange rate is also being cited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growth in performance. The won-dollar exchange rate surged to the 1,430 KRW range in early December 2024 due to a state of emergency, and on December 19, the U.S. Federal Reserve's announcement to adjust the number of interest rate cuts in 2025 pushed the rate past 1,450 KRW. Following that, after the impeachment vote of the acting president on December 27, the exchange rate surpassed 1,470 KRW, and it has remained around the 1,450 KRW range since then. In this situation, the power equipment sector is expected to benefit from positive effects due to increased sales in North America. With the ris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completion of investments in ultra-high-voltage transformers, there is ample potential for profitability growth, according to analysis. The securities industry also predicts that the power equipment sector will see an increase in fourth-quarter performance. HD Hyundai Electric is expected to achieve a revenue of 985.5 billion KRW in the fourth quarter, representing a 23.6%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growth is attributed to expanded production capacity, seasonal leverage effects, and the benefits of the high exchange rate. Additionally, although there was a gap in North American distribution transformers in the third quarter, it is estimated that smooth deliveries are taking place in the fourth quarter. According to HD Hyundai Electric's public disclosure, the exchange rates applied to the contracts for "380kV high-voltage circuit breakers and transformers" signed with Saudi Arabian companies in October and November 2023 were 1,357.6 KRW and 1,295.7 KRW, respectively. With forecasts suggesting that the exchange rate could break through the 1,500 KRW mark, there are opinions that the profitability of these existing contracts could improve due to the rising exchange rate. LS Electric's fourth-quarter revenue is expected to reach 1.1 trillion KRW, marking an 11.2%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Operating profit is forecasted to be 88.7 billion KRW, reflecting a 30.3% year-on-year increase. This growth is anticipated due to the benefits from the high exchange rate, particularly from transformer sales to North America in the power infrastructure sector. Hyosung Heavy Industries is also expected to achieve positive results. The fourth-quarter revenue is estimated to reach 1.4 trillion KRW, a 10.7%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Operating profit is projected to be 125.8 billion KRW, marking a 98.5% year-on-year increase. However, some point out that there are still uncertainties, such as concerns over domestic economic slowdown due to the high exchange rate, making it difficult to be overly optimistic without considering these risks. An industry insider stated, "As the export scale is increasing across the power equipment sector, we can expect the benefits of the high exchange rate in terms of performance. However, if the high exchange rate trend continues,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impact on the overall business, including the rise in raw material prices." He continued,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the replacement of aging power grids in North America, and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Europe, among other factors, the boom in the power equipment market is expected to continue throughout this year."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9 14:43:3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Hyundai Motor Group to Invest 24.3 Trillion KRW This Year for Change and Innovation, the Largest Investment in History

Amid an uncertain domestic and global business environment, Hyundai Motor Group is making a large-scale domestic investment to strengthen its future competitiveness, with a focus on South Korea as a hub for mobility innovation. Hyundai Motor Group announced on the 9th that it plans to invest a record-high 24.3 trillion KRW in South Korea this year. This year's investment is a 19%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record of 20.4 trillion KRW in 2024, marking an increase of 3.9 trillion KRW. Hyundai Motor Group's decision to make its largest-ever domestic investment this year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continuous and stable investment is essential to overcome the increasing uncertainties and secure future growth drivers. In his New Year's message this year, Chairman Euisun Ch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needed to face crises, the ongoing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through Hyundai Motor Group's continuous improv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NA for overcoming crises. He encouraged employees by saying, "We have always faced crises, overcome them excellently, and emerged stronger after each crisis." Hyundai Motor Group will allocate 11.5 trillion KRW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12 trillion KRW for ongoing investments, and 8 trillion KRW for strategic investments. The R&D investments will be used to secure key future capabilities, including enhancing product competitiveness, electrification, software-defined vehicles (SDV), hydrogen products, and the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Hyundai Motor Group will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electric vehicle demand by leading with high-performance, fuel-efficient hybrid models, next-generation hybrid systems, and extended-range electric vehicles (EREV). Hyundai Motor Group plans to steadily expand the development of new electric vehicle models and accelerate the transition to electrification. Hyundai aims to establish a full lineup of 21 electric vehicle models by 2030, ranging from economy models to luxury and high-performance vehicles. Kia, on the other hand, will complete its full lineup of 15 electric vehicle models, including various purpose-built vehicles (PBV), by 2027. In the SDV (Software-Defined Vehicle) field, the goal is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an SDV pace car featuring high-performance electric and electronic architecture for vehicles by 2026 through in-house software development. The project aims to expand this technology to mass-produced vehicles. Ongoing investments will be directed towards expanding production facilities to support the transition to electric vehicles (EVs) and the development of new models, innovating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enhancing infrastructure such as customer experience centers. Hyundai Motor Group will make large-scale investments in the construction of dedicated EV factories this year as well. Last year, Kia launched the Gwangmyeong EVO plant and began production of the small electric vehicle EV3.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group plans to complete the Hwaseong EVO plant and start full-scale production of customer-specific PBV electric vehicles. The Hyundai Ulsan dedicated EV factory,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with the goal of starting operations in the first half of 2026, plans to begin mass production with an electric ultra-large sports utility vehicle (SUV) model, followed by a variety of other vehicle types. Strategic investments will be allocate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ey future businesses, including autonomous driving, software (SW),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When classified by business sector, the investment in the finished vehicle sector amounts to 16.3 trillion KRW. In addition to the finished vehicle sector, 8 trillion KRW will be invested in other sectors such as parts, steel, construction, finance, and other businesses to discover new venture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core businesses. A Hyundai Motor Group official stated, "To realize humanity's dream of 'safe and free mobility and a peaceful life,' we will continue to secure future growth drivers through active investments, constant improvement of ou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hanges and innovations, without being shaken by internal and external business environmen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9 14:37:3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합격" 대학 '이중등록' 금지 원칙…"추가 합격 등록시 유의"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박시현 학생은 정시전형에 지원한 A대학에 합격해 등록을 마쳤다. 그리고 얼마뒤 가장 원했던 B대학으로부터 추가 합격 통보를 받았고, 시간이 촉박해 바로 등록했다. 두 대학에 등록한 셈이다. 이래도 될까? 9일 2025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시모집에서 합격한 대학에 이미 등록을 한 사람이 다른 대학 정시모집에 충원 합격해 그 대학에 등록하고자 할 경우, 먼저 등록한 대학을 포기한 후 충원 합격 대학에 등록하는 게 원칙이다. 동일 학기에 두 개 이상의 대학에 동시에 등록하면 '이중 등록'이 된다. 이는 교육부 지침에 따라 금지돼 있다. 간혹 수험생들이 단순히 등록 취소 의사만 전달하면 충분하다고 오해하기도 하지만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판단하는 등록 기준은 '등록금 납부 여부'이다. 이미 등록한 대학에 취소를 할 경우 단순히 의사 전달만 해서는 안 되며, 등록금까지 환불받아야 등록 취소로 인정된다. 대교협은 이중 등록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대입지원방법 위반 사전예방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일시적인 이중 등록은 처벌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으며, 수험생이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 취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그럼에도 이중등록은 다른 수험생들의 입학 기회를 박탈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중 등록으로 인해 충원하지 못한 인원은 그대로 결원이 되기 때문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특히 충원 합격자 통보 마지막 날의 경우 이중 등록자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등록 의사가 없을 경우 빠르게 등록 포기해서 다른 수험생들에게 기회가 넘어가도록 해야 한다"라며 "이중 등록을 피하는 것은 자신의 입학을 지키는 동시에 다른 수험생들에게도 간절한 기회를 보장하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5-01-09 14:30:3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크래프톤, CES2025서 엔비디아와 함께 만든 AI 'CPC'소개

크래프톤이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5'에서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 'CPC'를 선보였다. 크래프톤은 지난 8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퐁텐블로 호텔에서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탄생한 혁신적인 AI 기술을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본부장은 엔비디아와 개발한 AI 협업모델 'CPC'를 발표했다. 이 본부장은 "CPC는 엔비디아 에이스(ACE) 기술로 구축된 게임에 특화된 온디바이스 소형 언어 모델(On-device SLM for Gaming)을 기반으로 게임 이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캐릭터"라며 "기존 논 플레이어 캐릭터(NPC)와 달리 이용자와 대화하고 협력하며 상황을 유연하게 파악해 대응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크래프톤은 PUBG IP 프랜차이즈와 인조이(inZOI)를 포함한 다양한 게임에 CPC를 확대 적용해 이용자 경험 혁신을 이어가겠다"며 "CPC가 게임 업계의 새로운 기준점이 될 수 있도록 최적화와 표준화 작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AI 기술이 게임 산업에 가져올 큰 변화를 믿고 엔비디아와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행사에서는 CPC가 적용된 PUBG IP 프랜차이즈와 인조이의 시연 영상도 공개했다. 먼저 PUBG IP 프랜차이즈 영상에서는 이용자와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고, 상황에 맞춰 전략을 세우며 플레이 스타일을 세밀하게 조정하는 등 고도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PUBG Ally'의 모습을 담았다. 인조이 영상에서는 '스마트 조이(Smart Zoi)'를 선보였다. Smart Zoi는 사람처럼 특색 있는 성격과 감정을 지닌 CPC로 이용자와의 깊이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높은 몰입감과 생동감 넘치는 시뮬레이션 경험을 제공한다. 크래프톤은 CPC가 적용된 게임을 최초로 체험할 수 있는 시연대를 마련해 참석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

2025-01-09 14:29:31 최빛나 기자
기사사진
최상목 대행 "1월27일 임시공휴일 지정 검토… 중앙·지방 재정 '역대 최대' 신속집행"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국민여러분께 충분한 휴식기간을 드리고 국내 여행을 촉진하기 위해 국민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1월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첫번째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위축될 우려가 있는 국내 관광을 활성화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연휴기간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등 교통 편의를 지원하고 각종 문화시설도 무료 개방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연휴 동안 국민의 안전에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며 "이를 위해 부문별 안전관리 상세 방안을 담은 '설연휴 안전관리대책'을 통해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했다. 또 최근 경제 상황과 관련해 "지금 우리나라는 내우외환의 상황에 놓여있다"며 "국제정세의 변화로 통상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며 외교와 안보의 지형이 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 신정부 출범과 국내 정치상황 등이 맞물리며 우리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며 "국가 전반적인 위기 대응 역량이 약해지는 것은 아닐지 많은 국민의 불안과 우려도 큰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최 권한대행은 "국민들께서 염려하지 않고 일상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국정과 경제의 조기 안정에 모든 정책역량을 결집하겠다"며 "이를 위해 모든 부처, 전 국무위원이 원팀이 돼 더욱 자주 소통하고 협업체계도 대폭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최 권한대행은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포함된 정책과제들을 최대한 신속히 추진해 우리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며 "먼저 내수가 조속히 활성화 될 수 있도고 공공부문이 합심하여 전례없는 규모와 속도로 재정 신속집행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지자체 , 지방교육청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의 신속집행 목표를 설정하여 상반기에 358조원을 집행하겠다. 특히 85조원 수준의 민생과 경기 활성화 관련 사업은 상반기 70%, 1분기 40% 이상 집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삽반기 공공기관 및 민간투자로도 각각 37조6000억원, 2조8000억원을 투입해 건설경기 회복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최 권한대행은 "'국가정책 콘트롤타워'로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본격 가동하겠다"며 "경제는 물론 사회, 외교, 안보, 치안 등 국정 전 분야를 관계부처 장관들과 함께 빈틈없이 점검하고 정책을 구체화 해나가는 실질적 논의의 장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반도체 특별법, 전력망특별법 등 경제민생 입법도 여야정 국정협의체 등을 통해 신속히 추진하고, 시행령 개정으로 가능한 사안은 1~2월 중 마무리짓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과기부·행안부·문체부·농식품부·산업부·복지부·고용부·여가부·국토부·해수부·중기부·국조실·공정위·금융위 등 장·차관이 참석했다. 회의에선 2025년 설 명절대책, 2025년 경제정책방향 추진계획, 2025년 신속집행 추진계획, 굴 양식산업 발전방안 등이 논의됐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1-09 14:27:5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CES2025] 최태원, 젠슨 황 회동 후 "엔비디아 요구 보다 개발 속도 빨라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세계 최대 IT·기술 박람회 CES2025에서 만났다. 최 회장은 이번 만남을 통해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 수준 보다 빨라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8일(현지시간) CES2025에 참석한 최태원 회장이 국내 기자들을 대상으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SK하이닉스와 엔비디아의 관계 등에 관한 질문에 답변했다. 최 회장은 3년 연속 CES에 직접 참석했다. 최 회장은 젠슨 황과의 만남에서 HBM에 관한 추가 논의가 있었냐는 질문에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를 조금 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과거 개발을 빨리해달라는 요구를 받았으나 이젠 역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공급량에 대해서는 실무진 내에서 모두 결정 완료했다고도 덧붙였다. 이어 "코스모스(Cosmos™) 등 피지컬 AI에 관한 의견을 교환 했고 앞으로 같이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제조 노하우에 대해서도 전했다"고 말했다. 코스모스는 이번 CES에서 엔비디아가 발표한 물리 AI 개발 플랫폼이다. 최첨단 생성형 월드 파운데이션 모델(World Foundation Model, WFM)과 고급 토크나이저, 가드레일, 가속화 비디오 처리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됐다. 최 회장은 이날 AI 데이터센터 등 SK그룹의 AI 사업 방향성을 설명하는 데 긴 시간을 썼다. 최 회장은 "올해 CES에서는 모든 것에 AI가 들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AI 데이터센터 관련 비즈니스를 중점 추진 과제로 삼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한 미국 진출 구상에 대해서는 "AI 데이터센터 관련 산업은 발전소 사업뿐 아니라, 반도체·쿨링(열관리) 단계 등 모든 에너지 문제와 관련이 있다"며 "미국에는 SK가 가진 포트폴리오와 많은 접점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SK그룹은 이번 CES에서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다'는 주제로 부스를 꾸리고 AI 데이터센터 솔루션과 HBM3E 16단을 포함한 AI 반도체, SKC 유리기판 기술 등을 선보였다. 최 회장은 부스에 방문해 SKC 유리 기판 모형을 들고 "방금 팔고 왔다"고 웃으며 말하기도 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1-09 14:05:09 김서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