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지방 전세가율 '고공행진'...청약 수요로 이어지나

최근 지방의 아파트 전세가율이 70%에 육박하면서 신규 분양 물량을 선점하려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2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수도권 제외 지방 평균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62.17%로 나타났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7월 전세가율(52.95%)보다 9.22%포인트(p) 높았다. ▲경북 76.71% ▲전남 72.53% ▲충북 71.7% ▲강원 71.61% ▲충남 71.28% ▲경남 70.75% ▲전북 70.54% 등 지방 7개도는 모두 70% 이상의 전세가율을 보였다. 지방 부동산 시장의 전세가율 상승으로 청약시장으로의 수요자 유입도 가속화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수도권에는 2만3061가구의 공급물량에 15만1004건의 청약이 접수됐다. 반면 같은 기간 수도권 제외 지방은 3만7882가구의 공급물량에 24만5008건의 청약접수가 이뤄졌다. 수도권보다 약 9만4000건 이상의 청약이 접수됐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89.35를 기록, 2023년 7월(87.26)이후 11개월 연속 상승세다. 전세보다 매수세가 강해지면서 매매가격 역시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0.22%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업계 전문가는 "전세가율 고공행진이 지속될 경우 가격상승 전환 기대감이 커진다"며 "지방 전세수요자들의 매매 전환 속도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8-20 10:35:25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세대별 창고' 도입 아파트 늘었다

골프 캠핑 낚시 등 레저용품이나 계절별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아파트 입주자 전용 세대창고가 분양시장에서 세일즈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낮은 전용률을 보완하기 위해 주상복합아파트에 주로 선보이던 세대창고가 2020년께 아파트에도 적용된 이후 입주자 반응이 높아지자 전 세대에 창고를 제공하는 신규 단지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세대창고는 지하 주차장 등 자투리 공간을 수납장소로 활용하면서 서비스 면적으로 인식되는 데다 레저·스포츠 장비 등 보관에 편리한 장점이 입주자들 사이에서 인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분양 과정에서 세대창고 규모를 확대한 경우도 나왔다. 내년 3월 입주 예정인 부산 '양정 자이더샵 SK뷰'는 당초 전 세대의 20% 수준으로 계획했던 세대창고를 모든 세대로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브랜드 대단지에 세대창고를 전 세대에 적용하는 단지도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롯데건설은 인천 효성동에 분양 중인 '계양 롯데캐슬 파크시티'(3053가구) 모든 세대에 개별창고를 제공할 계획이다. 개별창고를 사용하는 입주자의 편의성 및 보안을 위해 디지털키로 설계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경기도 광주에서 분양 중인 '힐스테이트 광주곤지암역'에, GS건설과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서울 공덕동에 공급 중인 '마포자이 힐스테이트'에 세대별 창고를 도입한다. 업계 관계자는 "알파룸, 베타룸 등이 실내 서비스 면적이라면 세대창고는 실외 서비스 면적으로 볼 수 있다"며 "실외에도 풍부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게 세대창고의 매력이다"라고 말했다.

2024-08-20 10:20:34 박승덕 기자
기사사진
전통 '부촌' 방배동의 부활?…'얼죽신' 열풍 속 신축 관심

지난 2021년 이후 신축이 없었던 서울 방배동이 아파트 분양 소식에 들썩이고 있다. 입주까지는 2년 안팎이나 남았지만 방배5구역을 시작으로 분양이 줄줄이 예정되어 있고, 남은 재건축 사업도 속도를 내면서다. '얼죽신(얼어죽어도 신축 아파트)'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신축이 품귀현상을 빚는 가운데 강남권 전통 부촌(富村)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 지 청약 결과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20일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들어서는 '디에이치 방배'가 오는 26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청약 일정에 돌입한다. 디에이치 방배는 방배 5구역을 재건축하는 사업이다. 총 3064세대 대단지라 일반분양 물량도 1244세대로 많다. 방배6구역을 재건축하는 '래미안 원페를라'도 올 하반기 중 분양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래미안 원페를라는 총 1097세대 규모로 일반분양 물량은 465세대다. 방배 5, 6구역 만으로도 4000세대가 넘는 신축 타운이 형성된다. 방배동에 신축 아파트가 입주한 것은 지난 2021년 7월 '방배그랑자이'가 마지막이다. 후분양을 계획 중인 방배 6구역 래미안 원페를라가 내년 11월 입주, 디에이치 방배가 오는 2026년 9월 입주 예정임을 감안하면 5년여 만의 신축 집들이다. 방배그랑자이 역시 당시 3년 만의 신축으로 전세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선호도가 높았다. 방배동은 1970~1980년대 개발된 강남지역 중 하나로 서초구의 전통적인 부촌이었다. 초창기 들어섰던 고급 단독주택과 빌라, 대형평수 위주의 중소형 아파트 단지가 노후화 되면서 부촌으로서의 이미지가 약해졌지만 입지가 워낙 좋은데다 교육환경도 우수하다. 지하철 2·4·7호선을 이용할 수 있고, 서문여중·고와 동덕여중·고, 이수중, 방배중, 서울고, 상문고 등이 있는 대표적인 강남8학군이다. 5, 6구역 외에 나머지 재건축 사업 역시 막바지 단계다. 방배 13구역(방배포레스트자이)과 14구역(방배 르엘)이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오는 2028년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파트 재건축 중에서는 방배 삼익(아크로 리츠카운티)이 착공했고, 방배 신동아(오티에르 방배)가 관리처분인가 단계다. 정보현 NH투자증권 Tax센터 부동산 수석연구원은 "향후 2년 이내 대형 단지인 방배 5, 6구역 입주를 시작으로 방배동은 신축 고급 아파트 단지가 밀집된 지역으로 바뀔 전망"이라며 "다양한 주거용 부동산 유형이 고루 분포하고 넓은 녹지공간과 우수한 학군을 바탕으로 특색있는 강남 부촌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디에이치 방배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6497만원이다. 주택형별로는 최고가 기준 전용면적 59㎥가 17억2580만원, 84㎥가 22억4450만원이다. 규제지역으로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됐지만 구축이 많은 특성상 주변 시세보다 크게 낮지 않아 거주 의무기간이 없다. 재당첨제한 10년, 전매제한 3년만 있다. 주변 시세는 국민평형인 전용 84㎥ 기준으로 방배그랑자이가 지난달 28억원에 거래됐으며, 2010년 입주한 방배서리풀e편한세상과 2013년 입주한 롯데캐슬아르떼가 각각 25억1700만원, 24억3000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08-20 07:00:14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아파트 복도 자전거·킥보드 등 적치물은 소방법 위반"

"아파트 복도에 짐을 적치해두는 건 소방법 위반입니다. 세대 안에 들여놔주시고…." 19일 방문한 충남 아산의 한 아파트에서는 위와 같은 안내멘트가 나왔다. 이는 단발성 방송이 아니다. 경비원 A씨는 "주말에도 방송을 틀었고 오늘 저녁에도 한 번 더 나올 예정이다"라며 "주기적으로 방송을 내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A씨는 소방법 위반이기에 적치물을 두면 안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2022년 12월 개정된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관리)에 따르면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 주위 복도나 대피로에 적치물을 놓아두면 안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원활한 대피를 하기 위해서다. 위반 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을 수 있다. 그럼에도 지키지 않는 사람이 많고 민원을 제기하는 사람 역시 늘어나고 있다. A씨는 "그럼에도 직접적으로 조치를 취하기는 조심스럽다"며 "방송을 한 번 하고 해당 세대에 우편물을 보내고 그래도 지켜지지 않으면 직접 방문한다"고 설명했다. 입주민 B씨는 "원래는 복도가 깔끔했는데 새로운 입주민들이 들어오면서 복도와 비상계단 쪽에 적치물이 많아졌다"며 "유모차와 자전거 등 충분히 접어서 현관에 둘 수 있는데 귀찮으니 밖에 두는 것 같다"고 했다. 또다른 입주민 C씨는 "손자가 자주 갖고 노는 킥보드 하나만 문 옆에 뒀다"며 "매번 꺼내기가 번거로워 편하게 둔 것"이라고 했다. 모든 적치물이 과태료 대상은 아니다. ▲복도 끝이 막혀있는 구조로 그 끝에 피난 및 소방 활동에 지장 없는 물건들을 보관하는 경우 ▲상시보관이 아닌 일시 보관 중인 물품으로 즉시 이동이 쉬운 경우 ▲불법 적치물로 인한 장애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경우 ▲복도에 자전거 등의 적치물을 일렬로 세워둬 두 사람 이상이 대피 가능한 경우를 예외 사항으로 두고 있다. 그러나 이 항목들은 '현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어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해당 법률을 통해 강력한 조치를 취한다기 보다는 계도 목적이 강하다"며 "어차피 큰 영향이 없다는 걸 아는 사람이 많다고"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아파트에서 적치물 관련 안내 방송을 할 때 화재의 위험성을 언급해주는 편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며 "대피로를 막는 것도 문제지만 적치물 자체에 불이 붙어 더 큰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도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도 주민들끼리 서로 배려하는 문화가 조성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2024-08-19 13:44:37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사줄테니 일단 지어라"…LH, 공공택지 미분양 매입 확약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오는 19일부터 연말까지 수도권 LH 공공택지에서 공급되는 민간의 미분양 주택에 대한 매입확약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수도권 공공택지 매입확약은 '8·8부동산 대책'에 포함된 사항이다. 수도권 LH 공공택지에서 건설된 민간의 미분양주택을 LH가 준공 이후에 매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미분양 리스크를 줄여 민간 부문의 주택공급 속도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매입확약은 LH가 공급한 수도권 공동주택용지 중에서 내년까지 건축착공이 이뤄지는 토지를 대상으로 한다. 내년까지 토지사용이 가능한 수도권 내 기매각 또는 공급 예정토지에서 건설되는 주택 약 3만6000호가 직접적인 대상이 된다. 다만 실제 매입은 준공 후에도 남아있는 미분양 주택에 한해 이뤄진다. 매입가격은 미분양률, 세대규모 등을 감안 분양가격의 85%~91% 수준에서 차등 적용된다. 향후 매입확약에 따라 LH가 인수하는 주택은 민간 브랜드의 분양전환형 임대주택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LH는 이번 매입확약으로 건설사의 주택착공 의사결정이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LH의 신용보강으로 조달 금리가 인하되고, 더 나아가 본 프로젝트 파이낸싱(PF)으로의 전환이 쉬워져 사업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한준 LH 사장은 "매입확약은 민간건설사에게는 미분양의 우려를, 무주택 서민들에게는 내집 마련에 대한 불안을 더는 방안"이라며 "올해 LH가 목표로 하는 10.5만호 인허가, 5만호 주택착공, 5만호 신축매입과 더불어, 이번 매입확약이 수도권 집값 안정이라는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는 전환점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08-18 11:42:57 안상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