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3546호 공급

국토교통부가 오는 21일부터 전국 15개 시·도에서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임대주택 3차 입주자 모집을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모집 규모는 청년 1388호, 신혼부부 2158호 등 총 3546호다. 신청자를 대상으로 한 자격 검증 등을 거쳐 입주자로 선정되면 이르면 오는 10월 초부터 입주할 수 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시세의 40~5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10년간 거주할 수 있다.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은 다가구 주택 등에서 시세 30~40%로 거주할 수 있는 신혼부부Ⅰ 유형(1232호), 아파트?오피스텔 등에서 시세 60~80%로 거주할 수 있는 신혼부부Ⅱ 유형(926호)으로 공급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모집하는 청년(1388호)·신혼부부(1728호)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모집 정보는 오는 21일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주택도시공사 등에서 모집하는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502호)에 대한 모집 정보는 해당 기관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도곤 국토부 주거복지지원과장은 "젊은 세대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주기를 바란다"면서 "청년·신혼부부의 주거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9-20 15:11:45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현대엔지니어링-CJ대한통운-HL에코텍, 차세대 MBR 공정 기술개발

현대엔지니어링과 CJ대한통운 건설부문, HL에코텍 3사가 '차세대 MBR(분리막 생물-반응기·Membrane Bio-Reactor) 공정'에 관한 기술개발 완료를 눈앞에 두고 있다. MBR 공정은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분리 공정 중 하나로, 생물학적 처리와 분리막을 통한 처리방식을 결합한 것이다. 현대엔지니어링-CJ대한통운 건설부문-HL에코텍은 지난 19일 '차세대 막분리 공정 공동기술개발 실증화 보고회'를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현대엔지니어링 권문한 자산관리사업부장과 CJ대한통운 건설부문 임채현 건설본부장, HL에코텍 조영대 본부장 등이 참석해 그동안의 기술개발 협력 과정에 대한 보고를 진행하고, 개발된 기술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보고회는 개발 기술의 효율을 검증할 수 있는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내 실증화 실험시설에서 개최됐다. 현대엔지니어링-CJ대한통운 건설부문-HL에코텍 3사는 기존 MBR 공정 개선 및 효율화를 위해 지난 2022년부터 협력하고 있다. 그동안 협력을 통해 ▲Grab-Cube ▲총인(T-P, Total Phosphrus) 제거 강화 시스템 ▲에너지절감형 산기관 등을 개발, 기존 MBR 공정에 적용함으로써 기술을 고도화했다. 'Grab-Cube'는 하수처리를 위한 전처리 단계에 적용돼, 머리카락 및 섬유사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설비다. 기존 MBR 공정에 설치된 분리막 보호설비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 섬유사 물질이 분리막을 오염시키고, 처리수량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향후, 차세대 MBR 공정에 Grab-Cube를 적용하면 분리막 세정 비용 절감, 여과 지속시간 증가, 분리막 내구연한 증가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총인(T-P) 제거 강화 시스템'도 도입했다. 기존 MBR 공정에 생물학적 총인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인 제거용 응집제 주입을 최소화 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다. 기존 MBR 공정에서는 분리막 세정 등을 위해 지속 주입되는 공기로 반송수 내 용존산소 농도가 높아져, 인 제거 효율이 저하됐다. 이에 따라. 공정 후단에 '총인 제거 설비' 추가 설치가 필요, 추가 공사비와 유지관리비 등이 발생했다. 현대엔지니어링-CJ대한통운 건설부문-HL에코텍 3사는 인 처리 효율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했다. 반송수 내 용존산소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생물학적 인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고, 방류되는 인 농도에 따라 인 제거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응집제 투입 설비와 방식도 개발해 적용했다. 이로써, 최근 인 처리 규제 강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MBR 공정의 처리 수질 안정화, 기계 공사비 절감 효과 등을 이끌어 냈다. '에너지절감형 산기관'은 분리막 세정을 위한 설비로 기존 MBR 공정의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는 전력비 과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다. 그동안 MBR 공정에서는 분리막 세정을 위한 공기 주입에 전체 전력비의 30% 이상에 해당하는 과다한 전력을 소모했다. 향후 에너지절감형 산기관을 적용할 경우, 기존 설비보다 분리막 세정 효과가 향상되고 주입되는 공기량도 절반 가량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기존 MBR 공정에 사용되던 전체 전력비의 15% 이상을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공정 내 주입되는 공기량도 감소해, 기존 MBR 공정에서 반송수 내 용존산소 농도가 올라 인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의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사업 관계자는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기능 향상과 비용절감 등 개선된 차세대 MBR 공정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수질기준 강화에 완벽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하·폐수처리시설 관련 사업 추진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09-20 15:11:13 채윤정 기자
기사사진
국토부, '뉴:홈' 3300가구 사전청약 실시

시세보다 저렴하게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공공분양주택 '뉴홈' 세 번째 사전청약이 실시된다. 국토교통부 오는 22일부터 하남교산, 구리갈매역세권 등 3295호의 '뉴:홈'(공공주택 50만호) 사전청약을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세 번째 뉴:홈 사전청약은 나눔형으로, 하남교산과 서울 마곡 10-2 등에서 1152호, 일반형으로 구리갈매역세권, 인천계양 등에서 1225호가 공급된다. 이번 사전청약을 통해 처음으로 공급되는 선택형은 구리갈매역세권, 군포대야미, 남양주진접2에서 918호가 공급된다. 나눔형과 일반형의 추정분양가는 전용면적 기준 60㎡ 이하의 경우 2~4억원대, 69~84㎡의 경우 4~5억원대 수준으로 산출됐다. 선택형의 전용면적 기준 60㎡ 이하 추정임대료는 월 50~60만원대로 산출됐다. 공급일정은 오는 22일 일반형(구리갈매역세권, 인천계양, 남양주진접2)을 시작으로, 25일에는 나눔형(하남교산, 안산장상), 26일에는 선택형(구리갈매역세권, 군포대야미, 남양주진접2), 27일에는 서울 마곡 10-2에 대해 사전청약 공고를 실시한다. 청약접수 일정 및 신청방법 등 자세한 정보는 뉴홈 누리집 또는 시행사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사용취약자(만 65세 이상 및 장애인)의 경우, 현장접수처를 방문해 접수할 수 있다. 진현환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이번 사전청약뿐만 아니라 주택공급 일정도 차질 없이 추진해 국민들의 내 집 마련기회를 앞당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9-20 14:44:19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전국 아파트 신고가 거래량 4개월 연속 증가

전국 아파트 신고가 거래량이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아파트 10건 중 1건이 신고가를 기록하면서 신고가 거래비중은 3개월 연속 늘었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신고가 거래량은 1505건으로, 전월(1315건)에 비해 14.4%(190건) 늘었다. 지난 5월(1152건)을 시작으로 신고가 거래량은 4개월 연속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고가 거래의 비중은 4.36%에서 4.30%로 0.06%포인트(p) 줄어 지속되던 상승세가 꺾였다. 신저가 거래량은 434건으로, 전월(445건)에 비해 2.5%(11건) 줄면서 3개월 연속 하락했다. 8월 신저가 거래비중은 1.24%로, 7월(1.43%) 대비 0.19%p 줄어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 지역의 아파트 신고가 거래는 지난달 349건으로 전월(357건)에 비해 2.2%(8건) 줄었다. 같은 기간 신고가 거래비중은 9.93%에서 10%로 0.07%p 높아졌다. 3개월 연속 증가한 신고가 거래비중은 지난해 10월(14.31%) 이후 10개월 만에 10% 이상을 기록했다. 신저가 거래 비중은 0.89%로, 2021년 9월(0.97%) 이후 23개월 만에 처음으로 1% 밑으로 떨어졌다. 서울 외 지역 가운데 지난달 신고가 비중이 10%를 넘어선 지역은 제주가 18.18%로 유일했다. 서울과 제주, 강원 외 지역의 신고가 비중은 전부 5% 이하로 나타났다. 신저가 거래비중이 1% 이하인 지역은 서울 외 ▲충북 0.53% ▲전남 0.63% ▲전북 0.86% ▲강원 0.89% ▲경기 0.93% ▲세종 0.93% ▲광주 0.96% ▲울산 1.00% 등으로 조사됐다. 신고가 상승액 상위 50개 아파트 중 66%인 33개 아파트가 서울에 집중돼 있고, 서울 외에는 부산 10개, 경기 5개, 대전과 대구 각각 1개로 집계됐다. 신고가 상승액 1위인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3'은 지난달 전용면적 161.90㎡가 53억원에 거래되면서, 이전 최고가 36억원(2019년 11월)에 비해 17억원 상승했다. 서울 외 수도권 지역에서 신고가 상승액이 가장 높은 아파트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DMC한강에일린의뜰'로 지난달 전용면적 106.982㎡가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이전 최고가 6억원(2022년 11월)에 비해 5억5000만원 상승했다. 지방에서 신고가 상승액 1위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경동제이드'는 전용면적 222.935㎡가 지난달 44억원에 거래되면서 이전 신저가 32억원(2020년 10월)에 비해 12억원 올랐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9-20 13:11:45 김대환 기자
벤츠 E클래스 등 1만2881대 리콜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스카니아코리아그룹, 현대자동차, 비엠더블유코리아, 바이크코리아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28개 차종 1만2881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 E 230 4MATIC 등 11개 차종 9620대는 연료펌프 내 부품(임펠러)의 결함, S 580 4MATIC 등 6개 차종 650대는 12V 접지선의 연결볼트 고정 불량으로 오는 22일부터 리콜한다. 스카니아 카고트럭 등 2개 차종 1287대는 등화장치(번호등)의 점등 불량에 따른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오는 27일부터 리콜한다.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 835대는 조수석 승객감지센서 소프트웨어 오류로 21일부터, 뉴카운티 90대는 좌석안전띠의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27일부터 시정조치를 시작한다. BMW Z4 sDrive20i 등 4개 차종 48대는 수신기 오디오 모듈의 안전기준 부적합이 확인됐다. iX1 xDrive30 5대는 앞바퀴 동력전달장치(드라이브 샤프트) 조립 불량으로 21일부터 리콜한다. 바이크코리아가 수입한 트라이덴트 660 등 2개 차종 346대는 흡기공기량측정센서 호스 불량으로 9월 26일부터 리콜한다. 차종의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 및 차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9-20 11:03:16 이규성 기자
공항 '짐배송 서비스'…22일부터 김해·대구 등 확대

제주공항에 도착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시행됐던 '짐배송 서비스'가 전국 5개 공항으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는 오는 22일부터 '국내선 수하물 짐배송서비스'를 확대·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짐배송 서비스는 공항의 수하물 수취장에 도착한 승객의 짐을 배송업체가 대신 찾아 숙소·자택 등 목적지까지 배달하는 서비스다. 정부는 지난 2021년 7월부터 시범사업(김포 출발→제주 도착)을 개시한 후 이듬해 7월부터는 제주공항 도착을 기준으로 전국 권역별 5개 공항(김포·김해·청주·대구·광주공항) 출발로 확대·운영해 왔다. 이에 따라 공사는 오는 22일부터 제주와 전국 5개 공항에서도 양방향 서비스를 확대 운영한다. 기존 제주공항에 도착해야 가능했던 서비스가 해당 5개 지역으로 서비스가 확대된 셈이다. 배송 서비스는 서울과 부산, 청주, 대구·경산, 광주, 제주 전 지역에서 받을 수 있다. 출발 하루 전까지 통합예약 누리집 또는 짐배송 업체 누리집에서 서비스 예약이 가능하다. 이상일 국토부 공항정책관은 "이번서비스 확대가 공항 이용객 편의 증진과 짐 없는 편리한 항공여행 문화 정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9-20 11:00:43 이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