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자 화백, 8월 뉴욕 자택서 별세
한국의 대표적인 여류화가 천경자(91)화백이 지난 8월 미국 뉴욕 맨해튼 자택에서 숨을 거둔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10여 년부터 국내 미술계와 소식이 끊겼던 천 화백은 1년 전부터 생사 여부가 논란이 있었다. 천 화백의 맏딸 이혜선(70)씨는 22일 한 언로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지난 8월 6일 새벽 5시쯤 현저히 맥박이 떨어지더니 의사가 보는 가운데 잠자는 것처럼 평안하게 돌아가셨다"면서 "어머니 시신은 화장해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극비리에 뉴욕의 한 성당에서 조용하게 장례를 치렀고 한국과 미국 양쪽에 사망 신고를 했다"고 밝혔다. 유골이 안치된 장소에 대해선 함구했다. 이씨는 뉴욕에서 함께 살며 천 화백을 간호해 왔다. 화가 천경자는 강렬한 채색화로 한국 화단에 큰 자취를 남겼다. 1972년 베트남전 당시 홍일점 종군화가로 맹호부대에 종군해 1주일간 M-16소총을 들고 꽃나무 그늘에 잠복하는 병사들, 연분홍 아오자이를 입고 자전거로 거리를 누비는 아가씨들을 많은 스케치와 담채 작품으로 남겼다. 타고난 글재주로 1955년의 '여인소묘' 등 단행본, 수필집, 신문잡지 연재 등을 통해 대중과도 호흡했다. 당대의 패션리더이기도 했던 그는 큰 키에 파격적인 색깔과 무늬의 옷, 뾰족한 하이힐, 머리를 둘러싸는 커다란 화관이나 얼굴을 감싸는 커다란 선글라스, 가늘게 그린 눈썹과 붉게 칠한 입술, 담배를 문 모습으로 주변을 압도했던 스타 화가였다. 김환기, 박고석, 최순우, 김흥수, 유영국, 김현승, 고은 등의 남성 예술인과 박경리, 한말숙, 전숙희 등 여성 문인들과 단짝이었으며 이덕화, 조용필 등 연예인들과 함께한 시간들도 사진으로 남아있다. 1924년 전남 고흥에서 군서기였던 아버지 천성욱과 무남독녀였던 어머니 박운아의 1남2녀 중 장녀로 태어난 천화백은 유복한 어린시절을 보냈다.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시절 담임 선생님이 그림에 소질을 발견했고 졸업 후 의대에 가라는 부친의 권고를 뿌리치고 1941년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로 유학을 갔다. 1942년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외할아버지를 그린 '조부(祖父)'가 입선하고 1943년 제23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외할머니를 그린 졸업 작품 '노부(老婦)'가 입선하면서 화단에 들어섰다. 1952년 피란지인 부산에서 연 개인전에 나온 우글우글한 뱀 그림 '생태(生態)'로 일약 화단의 스타작가로 뛰어올랐다. 이 작품은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돼 있다. 국내 대표 여성작가로 승승장구했지만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 미인도 위작 사건'으로 미술관 측과 소송에 들어갔다 패소한 후 붓을 꺾고 맏딸 이혜선씨가 사는 뉴욕으로 떠났다. 1998년 11월 일시 귀국해 작품 93점을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2003년 봄 뇌출혈로 병상에 누운 뒤 외부와의 접촉을 끊었다. 지난해에는 대한민국예술원이 천 화백에게 지급하던 수당 180만원을 중단하면서 생사여부가 수면위로 떠올랐다. 당시 맏딸 이혜선씨는 "어머니는 살아계시다"면서도 "어머니를 예술원 회원에서 제외해 달라"고 말해 논란이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