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HLB그룹, 김연태 신임 HLB생명과학R&D 대표 선임..."그룹 내 첫 여성 대표"

HLB그룹은 HLB생명과학의 자회사 HLB생명과학R&D가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열고 김연태 HLB생명과학 부사장을 HLB생명과학R&D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27일 밝혔다. HLB그룹 최초의 여성 대표이사다. 김연태 신임 대표는 1964년새으로 서울대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약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웅제약, JW중외신약, 분당차병원 임상시험센터, 한국오츠카제약 등에서 전문 역량을 쏟아 왔다. HLB그룹에는 지난 2023년 합류했다. 현재까지 HLB생명과학 바이오사업부 총괄을 맡고 있다. 특히 HLB그룹이 간암 1차 치료제로 개발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의 국내 품목허가 신청을 추진하고 있다. HLB생명과학R&D는 지난 2022년 4월 1일 신약개발 전문성 강화를 위해 설립됐다. 현재 자체적으로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 파이로티닙, 초기 비임상 단계 물질을 도입을 위한 G2M 프로젝트 등 3개의 항암신약 물질에 대한 국내 전용실시권을 보유하고 있다. 김연태 신임 대표는 "HLB생명과학R&D는 HLB그룹의 차세대 항암신약 후보물질을 모색하고 개발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으로 리보세라닙과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최적의 병용 약물을 도입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파트너 기관인 독일 리드디스커버리센터(LDC)와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표적항암물질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27 17:12:15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정부, '산불 확산' 안동·청송·영양·영덕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행정안전부는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산불 확산으로 피해가 심각한 경북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고 밝혔다. 지난 22일 경남 산청군, 24일 울산 울주군, 경북 의성군, 경남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데 이은 조치다. 행안부는 "대규모 산림 소실과 이재민 발생을 비롯해 산불 피해가 커짐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도 정부 차원의 신속한 수습과 피해자 지원을 하기 위해 특별재난지역을 추가로 선포하게 됐다"고 밝혔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관련 법령에 따라 피해자 지원을 비롯한 범부처 차원의 조치가 이뤄지게 된다. 구체적인 지원 사항은 정부 합동 피해 조사를 통해 복구 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 심의를 거쳐 조속히 확정할 계획이다 한 권한대행은 "이번 산불은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주택 등 생활기반시설 피해가 많은 만큼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조속한 피해 수습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하루 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경북 22명, 경남 4명 등 26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중상자는 경북 3명, 경남 5명 등 8명, 경상자는 경북 16명, 경남 4명, 울산 2명 등 22명이다. 사상자 대다수는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대피 과정에서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 피해 면적은 3만5810㏊로, 역대 최대 피해를 냈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 면적(2만3794㏊)을 넘어섰다.

2025-03-27 17:02:07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산불 사망 27명으로 늘어…대부분 '대피 어려운 고령층'

경남과 경북 지역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27명으로 늘었다. 부상자는 32명으로 파악됐다. 사상자 대다수는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대피 과정에서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27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27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경북 의성군 산불로 23명이, 경남 산청군 산불로 4명이 숨졌다. 앞서 중대본은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를 26명으로 발표했으나 이후 1명이 더 늘었다.관계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50분께 경북 영덕군 영덕읍 매정리 한 차량에서 60대 산불감시원 1명이 화재로 숨진 채 발견됐다. 부상자는 산청 9명, 의성 21명, 울주 온양 2명 등 32명이다.주택 117곳을 포함해 불에 탄 시설물은 325곳에 이른다. 의성(242곳)에서 피해가 가장 컸고 산청(72곳), 울주(11곳) 순이었다.산불로 2만4000여명의 주민이 인근 체육관, 학교 등으로 대피했다. 이후 귀가자를 제외하면 9300여명이 여전히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지역별로 이재민은 의성·안동 2만2026명, 산청·하동 1797명, 온양 383명 등이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중·대형 산불은 산청·하동, 의성, 안동, 영양, 청송, 울주 온양, 김해, 옥천, 울주 언양 등 10곳에서 발생 중이다. 산불영향구역은 3만6009.61㏊로, 이 중 완진된 곳은 199.61㏊에 불과하다.옥천·언양(2단계)을 제외하고 이들 지역에 최고 수준인 산불 대응 3단계가 내려진 상태다. 진화율은 산청·하동 77%, 의성 54%, 안동 52%, 영덕 10%, 영양 18%, 청송 77%, 온양 76%를 기록 중이다. 김해와 옥천, 언양 산불은 진화를 완료했다. 산림 피해 면적은 3만5810㏊로, 역대 최대 피해를 냈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 면적(2만3794㏊)을 넘었다. 곳곳에서는 전기, 통신, 수도 공급이 끊기고, 도로가 통제되기도 했다.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산불 대응 중대본 6차 회의를 열고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기후위기의 현실을 이번 산불을 통해 또다시 체험하고 있다"며 "산불 발생 지역은 평균 대비 절반 수준의 강수량과 이례적인 강풍으로 산불의 확산세가 매우 빨라지면서 피해를 키웠다"고 했다. 이 차장은 "사망자와 중상자의 대부분은 60대 이상의 고령층으로, 신속한 대피가 어렵거나 대피명령에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우선 대피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어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지역 주민들이 개활지, 학교 운동장, 하천 등 안전한 지역으로 미리 대피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혼자 대피가 어려운 노약자, 장애인 등에 대해서는 조력자를 미리 지정하고 산불 위험징후가 보일 때 함께 대피하도록 미리 준비하라"고 했다. 정부는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로 민간이나 공공기관의 숙박시설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이번 산불 관련 심리 지원도 병행한다.이 차장은 "오후까지 전국적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산림, 소방, 군, 경찰, 지자체 등 모든 기관이 협력해 산불이 진화될 때까지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2025-03-27 16:59:35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강풍 힘받은 의성산불, 12시간만에 영덕갔다…51㎞ 이동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최초 발생해 서해안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경북지역을 초토화시킨 의성 산불의 화선이 위성정보로 정확히 탐지됐다. 산림청은 경북 5개 시·군인 의성과 안동·영양·영덕·청송으로 비화된 산불의 확산상태와 전체 화선분석을 위성정보로 분석해 과학적 산불진화 전략 수립 및 주민대피에 활용한다고 27일 밝혔다. 분석 결과 지난 22일 경북 의성 안평면에서 출발한 이번 산불은 전례없는 속도로 확산돼 25일 오후 서쪽 선단지 화선에서부터 영덕 강구항까지 직선거리 50㎞를 비화해 12시간만에 의성에서 51㎞ 떨어진 영덕에서 발견됐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이날 "미국 위성 등의 자료를 확인한 결과 지난 25일 오후 2시에 의성에 찍혔던 선단지 내 화선이 12시간 뒤인 이튿날 오전 2시에는 51㎞ 떨어진 영덕에서 찍혔다. 수시로 바람의 속도, 기상 조건이 따라 시간대 평균 속도를 낼 수 없지만 12시간 이내에 50㎞ 이동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건조한 봄날씨에 순간 초속 27m 내외 태풍급 바람의 영향이 크다. 이번 산불은 비화된 불티가 민가와 산림에 동시에 떨어져 불길을 키우고 이로 인해 생긴 불티가 또다시 민가와 산림으로 날아가 불이 확산되는 악순환으로 민가와 시설피해를 키운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위성 분석을 위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매핑 드론, 적외선 탐지 비행기, 미항공우주국(나사·NASA) Suomi NPP 위성에 탑재된 가시적외선이미지센서(VIIRS) 등을 총동원해 전체 화선을 이미지로 작성했다. 지상에서는 드론을 이용해 화선을 고해상도로 지도화해 대피와 진화 전략 수립에 활용하고 해양경찰청 소속 고정익항공기를 이용해 산불의 최외곽 좌표를 파악한 뒤 이를 화선 작성에 활용했다. 또 우주에서는 나사의 위성 기반 기술을 통해 전국 대형산불의 위치와 촬영 시점의 산불 확산 방향 및 경계 정보를 수집했다. 가시적외선이미지센서(VIIRS)는 375m의 해상도로 산불이 발생한 고온 영역 픽셀의 강렬한 적외선 신호를 탐지해 산불을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넓은지역(스캔 폭 약 3000㎞)을 한번에 관측할 수 있어 대규모 영향을 추적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주·야간, 안개, 연무 등 시야 확보가 어려운 조건에서도 산불 탐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산림청은 내년에 농림위성이 발사되면 5m 해상도로 한번에 120㎞를 촬영할 수 있어 기존에 운영하는 다른 위성과도 융합 활용이 가능, 대형산불 모니터링의 정확도를 높여 산불 진화전략 수립과 주민 대피 동선 계획 등 산불재난 대응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연무 등 기상악화 속에서도 대형산불의 화선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며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북지역 대형산불의 진화 전략을 고도화하고 주민 대피동선 확보 등 실효성 있는 대응방안을 마련해 국민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성 산불은 27일 낮 12시 기준 55%의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 산림당국은 진화헬기 40대를 투입하고 진화인력 3025명, 진화차량 629대를 배치해 주불 진화에 총력을 다하는 중이다. 산불영향구역은 1만2811㏊로 추정되고 총 화선 276㎞ 중 149㎞에 대한 진화가 완료됐다.

2025-03-27 16:59:34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GC지놈, 코스닥 예심 승인..."11년만에 기업공개 나서"

2013년 GC녹십자 자회사로 설립된 GC지놈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고 27일 공식 발표했다. GC지놈은 올해 상반기까지 기업공개(IPO)를 완료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기술성장기업 상장특례 제도를 통한 기업공개의 첫 관문인 기술성 평가를 각 기관에서 'A·A'로 통과해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시장 상장 예비 심사를 신청했다. 액체생검 및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인 GC지놈은 질병을 진단하고 예측함으로써 맞춤형 치료를 완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태아부터 노년까지 생애 전주기에 걸친 유전자 검사를 300종 이상 구축했다. 주요 서비스로 ▲건강검진 검사 ▲산전·신생아 검사 ▲암 정밀진단 검사 ▲유전희귀질환 정밀진단 검사 등을 제공한다. 특히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다중암 조기 발견 및 선별이 가능한 '아이캔서치', 고형암 환자의 유전적 진단 및 치료 예측에 활용하는 '그린플랜 고형암 검사' 등을 개발했다. 현재 국내에서 상급종합병원 45개 기관을 포함한 약 900여 개 이상의 병·의원을 대상으로 영업망도 확보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19개 해외 지역에서 38개 기업과 연구개발을 협력하고 기술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자금은 차세대 암 스크리닝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2025-03-27 16:54:59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SK hynix, HD Hyundai, and LS Group present future growth strategies.

SK hynix, HD Hyundai, LS Group, and other major companies unveiled their future growth strategies and plans to enhance shareholder value during their regular general meetings of shareholders on the 27th. ◆SK hynix presents blueprint for the 'AI memory market'. At the 77th Annual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held at SK hynix's headquarters in Icheon, Gyeonggi Province, CEO Kwak No-jeong stated, "This year, the high-bandwidth memory (HBM) quantity has already been sold out," and added, "Next year's supply will be discussed with customers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o further strengthen revenue stability." Currently, SK hynix is supplying its 5th generation HBM3E 12-layer products to major clients such as Nvidia. On the 19th, it delivered the world's first 6th generation HBM4 12-layer samples to key customers and began the certification process. SK hynix plans to start mass production of HBM4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fter customer certification. In addition to HBM, SK hynix plans to expand its presence in the data center market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various product lines, including SoCAM, high-capacity enterprise solid-state drives (eSSDs) based on quad-level cell (QLC) technology. The company also aims to establish itself as a "full-stack AI memory provider" by expanding next-generation products such as LPCAMM 2 and UFS 5.0, which are designed for on-device AI applications. CEO Kwak stated, "This year, the HBM market is expected to grow ninefold compared to last year, and the AI server SSD market is projected to grow 3.5 times." He added, "Since HBM products require high investment costs and long production periods, we are enhancing sales visibility through pre-negotiations with customers." Meanwhile, last year, SK hynix achieved its highest-ever performance with revenue of 66.193 trillion won and operating profit of 23.467 trillion won. This year, the proportion of HBM in the overall DRAM sales is expected to exceed 50%. Additionally, in preparation for future AI memory demand, SK hynix has started the construction of the Yongin semiconductor cluster and plans to gradually expand cleanroom facilities. At the shareholders' meeting, four resolutions, including the reappointment of CEO Kwak as an inside director and the appointment of Han Myung-jin, CEO of SK Square, as a new non-executive director, were approved as originally proposed. ◆HD Hyundai drives AI and digital transformation. HD Hyundai held its 8th Annual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t the HD Hyundai Global R&D Center in Seongnam, Gyeonggi Province. Chairman Kwon Oh-gap stated, "HD Hyundai plan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ts existing businesses and continue to take on new challenges by advancing the group's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pushing forwar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igital transformation." During the meeting, four resolutions were approved: ▲Approval of the financial statements ▲Election of directors ▲Appointment of Audit Committee members ▲Approval of director compensation limits. HD Hyundai also reappointed Lee Ji-su, a lawyer from Kim & Chang law firm, as an outside director and Audit Committee member. The company reported a net profit with a revenue of 67.7656 trillion won and an operating profit of 2.9832 trillion won last year. At this shareholders' meeting, HD Hyundai decided to pay a year-end dividend of 900 won per share, in line with its mid- to long-term dividend policy. Including quarterly dividends, the total annual dividend per share will be 3,600 won. The company also plans to continue dividends in the future and pursue various measures to enhance shareholder value. Chairman Kwon Oh-gap emphasized, "Despite the challe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including global geopolitical risks, the group's market capitalization grew more than twic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chieving remarkable progress." He added, "We will continue preparing for the future and lay a solid foundation for growth over the next 100 to 200 years." ◆LS Vice Chairman Myung No-hyun apologizes to shareholders. At the regular shareholders' meeting held at LS Yongsan Tower in Seoul, Vice Chairman Myung No-hyun apologized to shareholders regarding the recent controversy over dual listings. Vice Chairman Myung stated, "Despite achieving the milestone of surpassing 1 trillion won in operating profit for the first time, I apologize for causing concern among shareholders due to the recent dual listing controversy. I believe this happened because of insufficient communication regarding the financial strategy and shareholder return policies, including the listings of our affiliates, and I stand here with a sincere sense of regret." LS is currently pursuing the domestic listing of its subsidiaries, including LS E-Link, LS Power Solutions (formerly KOC Electric), and Essex Solutions.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the listing of these subsidiaries could decrease the corporate value of the parent company, LS. In response, LS has announced a shareholder return strategy that includes increasing dividends by more than 5% annually, aiming to raise dividends by over 30% by 2030. In addition to regular dividends, the company is actively considering interim dividends within its financial resources and plans to hold corporate briefings at least twice a year to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shareholders. Vice Chairman Myung emphasized, "We will listen to shareholders' voices and actively communicate with shareholders and the market during the IPO process to ensure that shareholder value is not compromised."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27 16:35:5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경제6단체 만난 韓 권한대행… "통상전쟁 피해 최소화위해 모든 네트워크 활용"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7일 "통상전쟁의 상황에서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가진 모든 네트워크를 활용해 미국 정부와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경제6단체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장,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한 권한대행은 "정부는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의 국익과 산업을 지키기 위해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며 "우리 기업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기 위해 기업과 함께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맞춤형 기업지원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활동과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경제 최일선에 계신 기업인의 목소리를 경청하면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산 자동차에 25% 품목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해 "우리 핵심 산업인 자동차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상황"이라면서 "우리 경제는 대외적으로는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 증대와 경쟁국의 기술 추격, 대내적으로는 불안정한 국내 정치 상황과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특히 미국이 4월2일 상호관세 부과를 공언하는 등 글로벌 관세전쟁이 현실화되면서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도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크고 작은 어려움이 닥쳐왔지만 그때마다 민간과 정부가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해왔다"며 "지금의 위기도 기업과 정부, 국민이 한마음이 돼 총력을 경주한다면 충분히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위기 때마다 경제인 여러분이 보여줬던 혁신과 도전 정신이 필요하다. 민관이 원팀이 돼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경제단체에서 앞장서서 힘을 보태달라"고 당부했다. 경제6단체장들은 이날 간담회에서 한 권한대행에게 트럼프 신정부 출범 이후 관세 장벽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공유하고,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3일 더불어민주당이 통과를 주도한 해당 법안은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 의무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경제단체들은 소송 남발, 행동주의펀드의 경영권 공격 수단 등을 우려하며 상법 개정안에 반대해왔다. 여당인 국민의힘도 이사 충실 의무를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넓히는 것은 기업의 부담을 가중할 것이라고 반대했다. 상법 개정안 공포 및 거부권 행사 시한은 내달 5일까지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27 16:27:48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국내 의료기기 기업, '국산 임플란트' 앞세워 해외 영토 확장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이 '국산 임플란트'를 앞세워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분주하다. 27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척추 임플란트 제조업체 메디쎄이는 해외 사업에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메디쎄이는 2024년 실적으로 매출은 255억원, 영업이익은 3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4%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45% 급증했다. 특히 핵심 사업인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수출 매출은 145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늘었다. 해당 매출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 수준이다. 미국 달러 기준으로 살펴보면, 2024년 1063만달러(한화 145억원), 2023년 1010만달러(132억원), 2022년 1074만달러(139억원) 등으로 메디쎄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1000만달러대의 정형외과 임플란트 판매고를 올려 왔다. 메디쎄이는 미국과 칠레 해외법인의 매출 성장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미국 매출은 433만달러로 가장 큰 실적을 냈고, 태국 149만달러, 칠레 120만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동화약품이 2020년 인수한 메디쎄이는 척추 임플란트 부문 국내 1위 기업으로, 현재 25개 국으로 수출을 전개하고 있다. 메디쎄이는 척추 임플란트 제품을 비롯해 인체 전체 부위에 걸쳐 다양한 제품군을 구축했다. 국내 최초로 3D 티타늄 프린터를 활용해 광대뼈, 안와연, 사지 등에 해당하는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를 개발하기도 했다. 대웅그룹의 특수관계사인 정형외과 임플란트 연구·제조 전문기업 시지메드텍는 다양한 질환 분야에서 임플란트 사업을 다각화한다. 시지메드텍은 지난 21일부터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에 자사의 골대체제 '노보시스 트라우마' 납품을 시작했다. 노보시스 트라우마는 뼈 재생과 회복 기능을 동시에 갖춰 급성 골절, 골결손 부위 등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시지메드텍은 기존 척추 수술에 사용하던 제품을 골절 치료 영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시지메드텍은 지난해 말에는 치과 디지털 임플란트 연구개발 및 생산 기업 '지디에스'를 인수했다. 지디에스 지분을 100% 취득해 치과 분야로 진출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 올해부터 치과 관련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업 구조를 기반으로 시지메드텍은 해외 사업에도 속도를 낸다.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3D 프린팅 경추 수술용 케이지 '유니스페이스', 척추고정술용 스크류 '이노버스 스크류' 등을 출시한 데 따른 것이다. 시지메드텍은 지난해 해외에서 131억원의 매출을 냈고, 이 중 미국 매출은 36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36% 증가했다. 수익성이 높은 미국을 중심으로 매출 개선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전체 실적으로는 매출액 346억원, 영업손실 1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0.9%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전년 16억에서 5억원 줄였다. 당기순이익은 8000만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국내 대표 치과 임플란트 기업인 오스템임플란트는 글로벌 시장에서 'K임플란트'의 성장가능성을 높인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해 말 한국무역협회 주관으로 열린 '제6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3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며 한해를 마무리했다. 올해도 시작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우선 오는 29일까지 독일 퀼른 국제전시장에서 열리는 '2025년 국제 치과기자재 전시회(IDS 2025)'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을 모색한다. 이번 행사에는 60여 개국의 2000여 개 기업들이 참가하는 가운데, 오스템임플란트는 역대 최대인 70개 부스를 통해 브랜드 대표 제품을 전시하며 자사 경쟁력을 알린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오는 2028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이라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기업 경쟁력뿐 아니라 외형 측면에서도 호실적을 경신해 왔다. 특히 3년 연속 연간 매출 1조원대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누적 매출은 98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다. 국내 제약 기업 관계자는 "임플란트는 전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고령화 시대에 핵심적인 필수재로 부상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웰빙이라는 소비자 수요뿐 아니라 의료발전과 함께 여러 의료 현장에서 응용되고 있다"며 "각종 전문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기업 입장에서도 세부적인 전문성을 갖춰 나가려고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3-27 16:20:31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우원식 의장 담화문 발표 "헌재 尹 신속 선고·韓 마은혁 임명 요청"

우원식 국회의장이 27일 헌법재판소에 최대한 신속하게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내려줄 것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겐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조속히 임명하라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발표한 담화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우 의장은 두 가지를 요청하며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의) 선고가 지연될수록 우리 사회가 감당할 혼란이 커질 것"이라며 "그 대가는 고스란히 국민이 치르게 된다"고 우려했다. 또한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고 있는 한덕수 권한대행을 향해선 "명백한 위헌이 아닌가"라며 "대행이 스스로 헌법 위반의 국기문란 상태를 끌고 가면서 국민께 어떤 협력을 구할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우 의장은 "불확실성을 최대한 빠르게 해소하고, 훼손된 헌정질서를 바로잡는 것만이 대한민국, 국민이 주인인 대한민국, 우리 국민이 만들어온 대한민국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지금 국민들은 '국가 시스템이 과연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가',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는가'란 근본적 질문까지 던지고 있다"며 "민주주의 헌정질서를 회복할 수 있는지, 대한민국의 역량에 대해 의문을 품고 있다. 이것은 너무나 참담한 일"이라고 표현했다. 이어 "근현대사의 온갖 난관을 오직 국민의 헌신과 용기로 헤쳐온, 그렇게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이룩한 우리 자신의 역량과 자부심이 시험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나라의 주인은 국민이고, 헌법의 주인도 국민이다. 모든 헌법재판은 헌법을 수호하기 위한 것이고 그것은 곧 국민의 기본권과 삶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민 대다수가 불안감을 호소하고, 국론 분열로 대한민국 공동체의 기반이 흔들리는 상황이 계속되는 것을 정상적인 헌정질서라 할 수 없다"며 헌재와 한 권한대행의 결단을 촉구했다.

2025-03-27 16:03:49 박태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