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여, 야 '내란선동 고발'에 무고·명예훼손 맞고발…"전형적 내로남불"

국민의힘은 3일 더불어민주당이 권성동 원내대표 등을 내란 선전·선동혐의로 고발한데 대해 무고 혐의 등으로 맞고발에 나서며 반발했다. 당 법률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는 주진우 의원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김민석 내란극복·국정안정 특별위원장 등을 무고 및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주 의원은 "이 대표 등은 내란선동죄가 성립될 수 없음을 명백히 알고 있음에도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 등을 고발하도록 해 무고 및 명예훼손을 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당은 탄핵 남발로 국정을 마비시킨 것도 모자라, 국회의 한 축인 여당 의원들에 대해 무고성 '내란선동죄 고발'을 남발함으로써 국회 기능까지 왜곡하려고 해 맞고발을 통해 바로잡고자 한다"라며 "민주당은 여당 국회의원들 뿐만 아니라, 댓글을 다는 평범한 일반 국민들에 대해서도 법사위에서 내란선동죄로 고발될 수 있다고 겁박하는 등 오만과 독주가 도를 넘어섰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논리대로라면 이재명 대표의 방북 대가 등으로 800만 달러를 북한에게 몰래 갖다준 것이 사실심의 최종인 2심까지 인정됐음에도, 이를 비호하고 이화영 부지사를 감싸면서 북한에게 돈을 갖다 준 사실이 없다는 식으로 옹호한 것도 '불법 대북송금 사건'의 공범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재명 대표에 대해서만 무죄 추정을 부르짖고 온갖 수단으로 재판을 지연시키면서 내란선동죄 고발을 남발하는 것은 전형적인 내로남불이므로 향후에도 엄정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당 내란극복 국정안정특별위윈회는 전날 "내란 행위 및 내란 우두머리 윤 대통령을 옹호하는 등의 행위는 형법 제90조 2항에 따른 내란 선전죄에 해당한다"며 "정치인 8명, 소위 극우 유튜버 4명 등 총 12명에 대해 고발한다"고 밝힌 바 있다.

2025-01-03 14:51:20 뉴시스 기자
기사사진
'尹지지' 김흥국, 해병대 선후배 반발 댓글에 "너나 잘 살아"

가수 김흥국이 윤석열 대통령을 공개 지지한 가운데, 유튜브 채널에서 누리꾼들과 설전을 벌였다. 몇몇 누리꾼들은 지난 2일 김흥국의 유튜브 채널 '김흥국 들이대TV'에 게재된 영상 댓글을 통해 김흥국의 윤 대통령 지지를 비난했다. 한 누리꾼은 "채상병 사건 이후 해병대 선후배 전우들은 김흥국 씨를 더이상 해병대로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정치 모임에서 두 번 다시 해병대 선후배 언급하지 말아 달라"라는 댓글을 남겼다. 이에 김흥국은 "니네만 해병대냐"라는 댓글을 달았다. "해병대의 수치. 대한민국 연예게의 수치. 대한민국 국민의 수치. 바로 김. 흥. 국"이라는 한 누리꾼에게도 김흥국은 "니가 뭔데"라는 댓글을 달았다. 또다른 누리꾼은 "흥국형 정신 차리쇼. 나라 꼴이 말이 아닌데"라는 댓글을 달았다. 이에 김흥국은 "너나 정신차려라"라고 답했다. 한 누리꾼은 "요즘 행보 보니까 해병대가 아니라 해상 자위대 같던데 아니십니까"라는 댓글을 달았다. 이에 김흥국은 "해병 맞냐"고 답글을 달았다. 또다른 누리꾼이 "인생 말년 저렇게 살면 안 되겠구나를 보여주는 노인"이라고 비판하자 김흥국은 "너나 잘살아"라고 응수했다. 김흥국은 지난 2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근처에서 열린 윤 대통령 지지자 집회에서 "집 구석에 있다는 건 대한민국 사람이 아닌 것 같다"며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그는 "전 해병대 출신이다. 나라가 어렵고 국민이 힘들 때 해병대가 제일 앞장서서 대한민국을 지키는 게 해병대라고 배웠다"고 밝혔다. "존경하고 사랑한다. 여러분이 대한민국 주인"이라며 윤 대통령 지지자들을 응원했다. "오늘부로 전국 전 세계 해병대 출신 여러분, 한남동으로 다 들이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흥국은 "여러분, 우리가 뭉치면 산다. 관저에 계시는 윤 대통령, 하루하루 얼마나 힘들겠나. 어제도 편지를 봤다. 여러분 때문에 끝까지 싸우겠다는 저런 분이 어딨나. 2년 반동안 이 분만큼 잘한 대통령 어디 있냐.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도 잘 하셨지만, 윤 대통령이 제일 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지난달 30일 서울서부지법에 윤 대통령의 내란 및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에 대한 체포영장과 수색영장을 청구했다. 법원은 다음 날인 31일 영장을 발부했다. 현직 대통령에게 체포영장이 발부된 것은 헌정사 처음이며 체포영장 유효기간은 6일까지다. 윤 대통령 측 변호인인 윤갑근 변호사는 지난 2일 서울서부지방법원에 체포 및 압수수색 영장 집행에 대해 이의신청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윤 변호사는 "'지난달 31일자 체포 및 압수수색 영장은 형사소송법 및 헌법에 반해 집행할 수 없으므로 집행을 불허한다'는 재판을 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조수사본부(공조본)는 3일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다가 중단했다. 공수처와 경찰이 속한 공조본이 윤 대통령 관저에 진입해 체포영장 집행에 나섰지만, 경호처가 강하게 저지하면서 영장 집행이 5시간만에 불발됐다. 공조본은 "법에 의한 절차에 응하지 않은 피의자의 태도에 심히 유감이다. 향후 조치는 검토 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흥국은 지난 대선에서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지원을 위해 20일간 유세 현장을 찾았다. 작년 4·10 총선에서도 국민의힘 소속 후보들을 지지하며 유세 현장을 누볐다. 2008년 18대 총선 때는 홍정욱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후보를 지원한 바 있다. 김흥국은 박정희 전(前)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다큐 영화 '그리고 목련이 필때면'을 제작하기도 했다. 육 여사 서거 50주년에 맞춰 지난해 8월15일 개봉한 '그리고 하얀 목련이 필때면'은 70% 실록 영상, 30% 재연이 혼합된 120분 짜리 논픽션 영화다. 당시 김흥국은 "박정희 대통령, 육영사 여사의 사실상 첫 다큐 영화 개봉을 앞두고 가슴이 터질 것 같다"고 밝혔다.

2025-01-03 14:30:0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민주 "윤 체포 방해는 현행범…내란 선동 9명 추가 고발"

더불어민주당은 3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고 있는 대통령 경호처 등을 '내란공범'으로 규정하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나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중대 범죄 현행범"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공수처와 경찰이 내란수괴 윤석열 체포 영장을 집행하고 있고, 체포 과정에서 경호처 소속 인원들과 수도방위사령부 소속으로 추청되는 인원들이 공무 집행을 방해하고 있다"며 "경호처장은 체포 영장을 제시받고도 수색을 불허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박종준 경호처장, 김성훈 경호차장, 이광우 경호본부장 등 경호처 수뇌부 이름을 부르며 "본인들의 잘못된 판단으로 경호처의 부하들이 억울하게 또는 부당하게 처벌받지 않게끔 현명한 선택을 하라"고 경고했다. 그는 "적법하고 정당한 법집행 방해한 자들은 그가 누구든 특수공무집행방해, 권리남용 권리행사방해, 범인 은닉 내란공범으로 처벌받아야 한다"며 "현행범인 만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은 현장서 즉각 체포하길 촉구한다. 민주당은 체포를 방해한 모두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는 당 차원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만나 지휘권 발동을 촉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경호처장에 대한 지휘감독 책임은 최 대행에게 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이 사태를 조기 종식 해야 하고, 경호처의 불법적인 반발과 저항을 행정권한으로 제압해야 한다"며 "그래서 공수처엔 신속하고 단호한 법집행을, 경찰엔 경호처의 저항을 압도할 수 있는 병력 지원을, 경호처엔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하라고 명령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전날(2일)에 이어 내란 선전·선동 혐의 국회의원·정치인·유튜버 등에 대한 고발도 이어간다. 노 원내대변인은 "현재 12명을 고발했고, 오늘은 9명을 추가 고발한다"며 "단기간 안에 추가로 고발되는 사람이 두자릿수 이상이 될 것이다. 극우유튜버 계정은 폐쇄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회로 되돌아온 8개 법안 재의결 일정에 대해서는 "민주당 입장은 8개 법안 중 가능하면 2개 특검법(내란 일반 특검법·김건희 여사 특검법)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시급히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어제 최고위원회를 통해 확인했다"며 "다만 이 부분은 국회의장과 조율돼야 하는 문제여서 적극 협의에 나설 예정"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은 국회의장실에 조속한 본회의 개최 필요성, 쌍특검법 처리 시급성 등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본회의는 다음주에 개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25-01-03 13:20:3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사상 초유 현직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일촉즉발 4시간

헌정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집행되고 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은 3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 관저에 진입해 체포영장 집행에 나섰지만, 경호처와 경호처 산하 군부대의 저항으로 4시간 넘게 대치하고 있다. 공수처 차량 출발부터 관저 진입까지 한남동 오전 상황을 시간대별로 짚어봤다. ▲오전 6시15분. 공수처 수사관들은 정부과천청사에서 차량 5대에 나눠 타고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출발했다. 관저 앞 대통령 수호 집회엔 지지자 500여명(경찰 비공식 추산)이 모여들었다. 경찰은 서울기동대 소속 45개 부대 약 2700여명, 기동대 버스 135대 차량을 추가 투입해 안전 관리에 나섰다. ▲오전 7시7분. 공수처의 체포 영장 집행이 임박해지자 한남동 관저 앞은 일촉즉발의 긴장감이 감돌았다. 태극기와 피켓을 든 지지자들은 공수처 차량이 과천을 출발했다는 뉴스에 "대통령을 지키자"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한 지지자는 확성기로 "자기 나라 대통령 잡아가는 거 찍으면 재밌습니까, 안 부끄럽습니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지자들이 하나 둘 몰리자 경력 30여명이 추가 배치됐다. ▲오전 7시17분. 공수처 체포팀 선발대·후발대 차량이 차례로 관저 앞에 도착했다. 공수처 관계자들은 대통령실 경호처와 체포영장 집행을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경호처는 공수처와 경찰의 진입을 막기 위해 정문 내부에 대형 버스를 대고 관저 입구를 막았다. 지지자들은 체포조 도착 소식에 북을 두드리며 '경호처는 발포하라' '윤석열 지키자' 등 구호를 외쳤다. ▲오전 8시2분. 공수처 수사관들이 도착 40여분 만에 관저 진입을 시작했다. 2분 뒤 추가 인원이 진입하며 공수처는 기자단 공지를 통해 체포영장 집행 개시를 알렸다. 집행 인원은 공수처 30명, 경찰 특수단 120명 등 150명이다. 이 중 관내에 진입한 인원은 공수처 30명과 경찰 50명 등 80여명이다. 남은 경찰 인력 70명은 관저 밖에서 대기 중이다. ▲오전 8시7분. 공수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착수하자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경호처는 목숨을 걸고 윤통 지켜라" 등 구호가 터져 나왔다. ▲오전 8시30분~9시40분. 경호처는 버스를 이용해 추가로 진입하려는 경찰들을 가로막았고, 경찰은 채증에 나서며 이에 맞섰다. 같은 시간 관저 앞 집회 인원은 1200명으로 늘어났다. 오전 9시29분께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도착해 관저로 들어섰다. ▲오전 10시. 체포조는 경호처의 1·2차 저지선을 뚫고 한남동 관저 건물 앞까지 진입했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뉴시스에 "(수방사의 행위에 대해서는) 일단 채증을 했기 때문에 나중에 판단할 것"이라며 "몸싸움이 있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체포영장 집행 저지에는 대통령경호처가 아닌 관저 외곽 경호를 맡는 육군 수방사 55경비단 사병들도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전 10시9분. 체포조는 관저 저지선을 넘어 관저 건물 앞까지 진입, 경호처장에게 체포영장을 제시했다. 이에 경호처장은 경호법과 경호구역을 이유로 실내 수색을 허용할 수 없다고 맞서며 대치는 장기화했다. ▲오전 10시29분. 체포조는 군부대의 2차 저지선은 뚫은 상태지만 관저 건물 앞에서 경호처와 재차 대치하고 있다. 관저 앞에서 지지자들은 "대통령 지키자" "김건희 지키자" "경호처 힘내라" "자유대한민국 만세" 등 구호를 외쳤다. ▲오후 12시. 윤 대통령의 법률 대리인인 윤갑근 변호사와 김홍일 변호사가 관저에 도착해 정문을 통해 들어갔다. 현재까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관 등 30명과 경찰 기동대 120명은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관저 경내에서 대통령 경호처와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2025-01-03 12:34:3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윤 대통령 영장 집행된다면…공수처 조사→서울구치소 구금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이 집행된다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이동했다가 서울구치소로 향하는 동선이 그려질 전망이다. 공조수사본부(공수처·경찰·국방부 조사본부)는 3일 오전 8시께부터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가 적시된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나섰다. 대통령 경호처 등과 대치 상황이 길어지며 아직 집행에 성공하지 못한 상태다. 공조본이 차정현 공수처 수사4부장검사 명의로 발부받은 체포영장에는 인치 장소로 공수처 또는 체포지 인근 경찰서, 구금 장소로 서울구치소가 명시돼 있다. 윤 대통령 체포영장에 적시된 대로 공조본은 신병을 확보한 직후 정부과천종합청사 내 공수처 청사 혹은 용산경찰서로 갈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에 관한 본격적인 피의자 조사는 경찰과 검찰로부터 사건을 넘겨받은 공수처 청사 3층에서 진행된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 조사를 위해 일반 검사실 크기로 별도 공간을 마련했다고 한다. 장시간 조사에 대비한 휴게실 등도 준비돼 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에게 출석 요구서를 발송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100쪽이 넘는 질문지를 준비해 뒀다. 이는 검찰로부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피의자 신문조서를 이첩받기 전 분량으로 현재는 200쪽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사안 중대성을 고려해 조사를 영상 녹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피의자에게 사전 고지한 후 전체 진술을 영상으로 녹화할 수 있다. 피의자 동의가 필수는 아니지만, 지난 2017년 검찰은 박근혜 전 대통령 측 거부로 영상 녹화를 하지 못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을 체포한 때로부터 48시간 안에 구속영장을 청구해야 해 조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동의를 받고 야간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으나, 윤 대통령이 조사 자체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조사가 중단됐다가 다시 시작되기 전까지 윤 대통령은 서울구치소에 마련된 구인 피의자 대기실로 이동해 대기한다. 서울구치소 구인 피의자 대기실은 원룸 형태로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설이 갖춰져 있다고 한다. 화장실과 TV 등 일반 수용자가 생활하는 구치소와 동일한 조건이다. 구인 피의자 대기실이 1개인 만큼 다른 피의자가 사용하고 있다면 윤 대통령은 독거실(독방)에 머물게 된다. 공수처가 피의자 조사 내용을 토대로 구속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해 영장을 청구한다면 윤 대통령은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 서울구치소에 있어야 한다. 서울구치소는 아직 윤 대통령이 구금되는 상황에 대비한 별도 준비는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가 윤 대통령을 체포한 후 영장 사본을 비롯한 관련 문서를 보내야 구금 절차가 시작된다. 윤 대통령이 구치소에 구금된 후 출정 조사를 받을 경우에는 법무부 교정본부 소속 직원들이 동행하게 된다. 다만 공조본이 난항을 겪고 있고, 통상적으로 피의자가 임의 출석한다면 체포영장을 집행하지 않고 추후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는 식으로 강제 수사가 진행되기도 하는 만큼 윤 대통령 구금 시점은 예측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2025-01-03 12:32:15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신년사] 홍범식 LGU+ 사장 "AX전환 핵심은 고객 감동"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이 인공지능 전환(AX) 컴퍼니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 가치로 '고객 감동'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고객가치 창출, 인공지능(AI) 전환 생태계 구축, 데이터와 지표, 품질 및 정보보안의 기본기 등에 집중하겠다는 목표다. 홍범식 사장은 2일 임직원에게 전한 신년사에서 "고객 감동을 통해 밝은 세상을 만드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추구해 나가자"라며 "LG유플러스가 'Growth Leading AX Company(AI 전환을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회사)'로 나아감에 담긴 핵심적 가치는 '고객 감동을 통해 밝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홍 사장은 "사람이 중심이 되어 고객을 감동시킬 수 있는 가치를 찾아 잘 전달하면, 만족한 고객이 스스로 추천자(Promoter)가 되고, 이것이 우리의 가치를 올리고 다시 고객에게 가치를 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라며 "이러한 선순환의 고리가 단단해지면 결국 고객과 파트너, 구성원 모두가 행복해지는 보다 밝은 세상이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객 감동을 실현할 수 있는 네 가지 요소로 ▲고객 초집중을 통한 고객가치 창출 ▲AX(AI 전환) 생태계 구축을 통한 구조적 경쟁력 확보 ▲데이터와 지표에 기반한 선택과 집중 ▲품질, 정보보안, 안전의 기본기 확립 등을 꼽았다. 홍 사장은 "온전히 고객에게 몰입하고 집중하면 고객의 니즈(Needs)와 시장의 변화를 선제적으로 알 수 있다"며 "세분화된 고객을 깊이 이해하고 세그먼트(Segment)별 고객 경험 여정을 디테일하게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객의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개선하는 데서 나아가 고객이 '와우(Wow)' 할만한 포인트를 발굴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고객 관점으로 눈높이를 높이고 남들이 하는 수준을 뛰어넘는 차별적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사장은 "AI 기술이 곳곳에 확산되면서 고객 경험의 전 여정에서 초개인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졌다"며 "우리가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하는 길은 AI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 고객 경험의 가치를 잘 이해하고 있는 플랫폼 기업들과 같이 다양한 파트너들과 생태계를 구성해 경쟁사들이 넘보지 못하는 독점적인 진입장벽을 세우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모든 사업 및 업무의 목적성을 명확히 노력 대비 고객 감동의 효과가 큰 것을 선정해 자원 투입을 집중해야 한다"며 "이에 따른 실효성을 데이터와 지표로 확인하고 우리가 발전하는 모습을 직접 경험하고 느껴봤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홍 사장은 "품질, 보안, 안전은 유플러스가 세계 최고라는 인정을 받고 싶다"며 "사고를 막겠다는 인식을 넘어 인지 품질, 체감 품질의 기준을 고객 관점으로 상향하며 기본기를 반드시 강화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홍 사장은 앞서 언급한 네 가지 요소가 단단한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공 경험을 축적하다보면 한 번의 성공이 아닌 '확실한 성공 모델'이 만들어지게 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끝으로 홍 사장은 "작은 성공을 하나씩 만들고자 하는 전사의 열망과 의지를 모으면 우리 모두 밝은 미래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02 18:00:18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신년사] 김영섭 KT 대표 "MS협업 통해 B2B 사업 성과낼 것"

김영섭 KT 대표가 025년 을사년을 맞아 임직원에게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한 기업간거래(B2B) 사업 성과를 올해 추진할 중점 목표로 제시했다. 김 대표는 2일 판교사옥에서 진행한 시무식에서 "지난해 MS와의 파트너십으로 B2B 인공지능 전환 사업 성장을 마련했고 통신기술과 미디어, 네트워크 분야에서 다양한 AI 혁신을 추진했다"며 "올해는 인공지능+ICT 컴퍼니(AICT)로 도약하는 실질적 원년"이라고 밝혔다. 그는 2025년은 'AICT 컴퍼니'로 도약하는 실질적 원년으로 KT에게 매우 중요한 한 해라면서 세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김 대표는 "올해 중점 목표 중 첫 번째는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가진 MS와 협업을 바탕으로 B2B 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는 것이다"며 "두 번째는 미디어 사업 분야의 성장이다. KT 잠재력 기반으로 혁신해 통신, IT에 이은 핵심 포트폴리오로 만들어 나가는 원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는 번 조직개편에서 독립시킨 미디어 사업 분야의 성장도 주요 과제로 꼽았다. 그는 "미디어 사업을 KT 잠재력 기반으로 혁신해 통신, IT에 이은 핵심 포트폴리오로 만들어 나가는 원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경영 관리 시스템 등을 혁신해 AI와 IT 기술을 접목해 현대화된 시스템 변화를 만들어 혁신 속도를 높이자고 당부했다. 김 대표는 "KT가 통신과 IT를 가장 잘 하는 기업으로 거듭나 산업 영역에서 혁신을 선도하고 국가에 기여하는, 기존과 다른 수준의 성과를 내는 한 해로 만들 것"이라며 "KT 구성원들이 역량을 높이고 협력의 고수가 돼야 한다. 사명감을 갖고 함께 화합해 달려가자"고 주문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02 17:56:45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U.S. Solar Cell Import Dependence to Increase This Year… Positive News for Korean Solar Industry

U.S. solar module imports are expected to decline throughout 2025 following the expiration of tariff exemptions for Chinese-origin modules assembled in Southeast Asia. However, the increase in solar cell imports signals a positive trend for domestic companies involved in building the solar energy value chain with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January 2, U.S. solar module imports peaked at 5.88 GW (gigawatts) in May 2024 but began to decline in June 2024. This downturn coincided with the expiration of duty-free measures on June 6 for panels assembled in four Southeast Asian countries—Thailand, Vietnam, Cambodia, and Malaysia. These countries have been widely regarded as alternative routes for Chinese manufacturers to assemble and export solar modules to the U.S. market. In contrast, U.S. solar cell impor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rising from a low of 0.71 GW in April 2024 to 1.41 GW in October 2024—an approximately 100% growth. Cumulative solar cell imports for the U.S. reached 10.86 GW by October, a staggering 281% year-over-year increase. This growth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tariff rate quota system implemented under the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s (ITC) safeguard measures. In January 2018,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U.S. introduced a safeguard policy that exempted tariffs on annual imports of up to 2.5 GW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In February 2022, President Biden raised the quota to 5 GW, and in August 2023, expanded it further to 12.5 GW. Imports exceeding this limit remain subject to a 14.25% tariff. This policy adjustment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driving the substantial increase in U.S. solar cell imports. In this context, the U.S. is projected to face a mid- to long-term shortage in solar cell production capacity compared to its module produc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 (SEIA), the U.S. has an estimated solar module production capacity of approximately 40 GW, but its cell production capacity is below 10 GW. As a result, the U.S. is expected to rely heavily on imported cells to meet its module production needs. This reliance is seen as a positive signal for domestic companies establishing solar value chains in the U.S., such as Hanwha Solutions' Qcells division (Hanwha Qcells). Hanwha Qcells is anticipated to benefit significantly as it invests over 3 trillion KRW to create a "solar hub" in the U.S. The hub will include the entire solar value chain, from ingot and wafer production to cells and modules, with the project slated for completion in early 2025. Hanwha Qcells is expanding its production capabilities, targeting a total capacity of 8.4 GW by combining its upgraded Dalton plant and the newly constructed Cartersville plant. This comprehensive approach positions Hanwha Qcells as a key player in addressing the U.S. solar industry's cell production gap. OCI Holdings is also targeting long-term performance growth through the expansion of its solar value chain in the U.S. The company is reportedly working to establish a joint venture in the U.S., aiming to enhance its vertical integration. This includes leveraging OCIM's polysilicon production, MSE in Texas, and OCI Energy to build a non-China-centric solar value chain. A potential variable, however, is the shift in energy policies under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While there is speculation that a return to some fossil fuels may occur, the dominant view is that the administration will intensify its stance on containing China. An industry insider noted, "If the Trump administration's measures to counter China become more aggressive, it could create significant opportunities for domestic solar companie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2 17:18:24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