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일동제약그룹, '이기는' 한 해 만들것..."경쟁 우위 성과 창출 목표"

일동제약그룹은 서울 서초구 본사와 전국 주요 사업장에서 지주사 및 계열사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도 시무식을 거행했다고 2일 밝혔다. 일동제약그룹은 올해 경영 지표를 'ID 4.0, 경쟁 우위 성과 창출'로 설정하고 ▲매출 및 수익 성과 창출 ▲신성장 동력 확보와 지속 가능 사업 체계 구축 등을 2대 경영 방침으로 세웠다. 지난해에 다진 체력과 역량을 토대로 사업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 내는 동시에, 미래 먹거리 확보와 시장 개척, 생산성 개선을 통한 선순환 체계 구축에도 중점을 둔다는 전략이다. 지주 회사인 일동홀딩스의 대표이사 박대창 부회장은 "지난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리는 흑자 전환을 이뤄냈으며 연구개발 분야에서 P-CAB 계열 신약 후보물질 라이선스 아웃에 성공하는 등 저력을 발휘했다"고 설명했다. 또 박 부회장은 "목표 달성이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등 특정 분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 일동제약그룹 내 각 부서와 구성원 모두에게 부여된 임무이자 책임"이라며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반드시 성과를 이끌어 내고 2025년을 '이기는' 한 해로 만들자"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일동제약그룹은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기는' 조직 문화 구축,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확대, 사회적 책임 실천 등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2025-01-02 14:00:02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학력 인정’ 평생교육기관, 올해부터 정보 공시…등록금·교원 현황 등

올해부터 초·중등과 고등 학력을 인정하는 국내 4000여개 평생교육기관도 일반 대학처럼 수업료와 전임교원 현황 등 교육 인프라 정보가 공시된다. 학습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평생교육시설 책무성·투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해 개정된 평생교육법 및 시행령에 따라 올해부터 평생교육기관 정보공시를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평생교육기관은 '평생교육법'에 따라 운영되는 평생교육시설로 삼성전자공과대학, SPC식품과학대학, LH토지주택대학, 포스코기술대학 등 4개 사내대학과, 영남사이버대학교, 세계사이버대학교 등 2개 원격대학을 비롯해, 백제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정화예술대학교 등 전문대학이나 대학의 학위인정시설을 포함해 4066개가 있다. 최초 공시는 지난해 12월31일로, 총괄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교육부 장관 소관 평생교육시설 388개와 시도교육감 소관 평생교육시설 3678개 공시 자료를 수합해 일괄 공시됐다. 최초 공시 이후에는 항목별로 정해진 시기에 공시하게 된다. 공시 범위와 시기는 ▲고등학교 이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매해 5월, 9월) ▲전문대학 또는 대학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4월, 6월, 8월, 10월) ▲그 외의 평생교육시설(5월) 등 공시 대상에 따라 구분된다. 공시 정보는 온국민평생배움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료실에는 평생교육시설이 유형·지역별로 구분돼 있으며, 국민 누구나 별도 회원가입 없이 해당 정보를 내려받기할 수 있다. 이번 정보공시로 학습자가 평생교육시설의 교육과정·교육기간 및 학습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평생교육 프로그램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부는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공시를 위해 향후 '평생교육시설 정보공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최은희 인재정책실장은 "이번에 처음 실시된 평생교육시설 정보공시는 학습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평생교육시설의 책무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향후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평생교육시설 정보공시를 더욱 내실화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5-01-02 13:50:2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삼성SDS, IDC 공인 MSP 평가 국내 1위 선정

삼성SDS가 글로벌 IT 시장조사기관을 통해 국내 최고 클라우드 사업자로 공인됐다. 삼성SDS는 2일 글로벌 IT 시장 조사기관 IDC가 발표한 2023년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MSP) 마켓셰어 보고서'에서 1위를,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CSP) 마켓셰어 보고서'에서 2위(국내 사업자 중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IDC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 및 경쟁 동향을 분석하여 마켓셰어 보고서를 발표한다. IDC에 따르면 삼성SDS는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사업자(MSP) 평가에서 시장점유율 23.9%로 1위를 차지했다. 매니지드 클라우드(MSP) 사업자는 기업 고객의 클라우드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관련한 네트워크와 인프라 관리, 보안 및 모니터링 등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삼성SDS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로서도 시장점유율 11.0%로 2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국내 클라우드 회사로는 1위다. 삼성SDS는 SCP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CSP), 올인원 매니지드 서비스(MSP), SaaS 등 클라우드 전 영역에서 공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하며 2024년 3분기까지 1조 7238억 원의 매출을 달성, 2023년 대비 30% 성장했다. 이정헌 삼성SDS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오랜 시간 동안 삼성 관계사와 국내외 고객에게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고, 결국 국내 1등 사업자 선정이라는 결실을 거두어 매우 기쁘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IT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과 클라우드, 생성형 AI 여정을 함께하는 전략적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1-02 13:45:46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배달의민족' 우아한형제들, 새해 김범석 신임 대표이사 선임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2일 임시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열고 김범석 대표이사를 신규 선임했다. 미국 조지워싱턴대에서 국제관계학 및 경제학을 전공한 김범석 대표는 글로벌 차량공유 플랫폼 우버의 튀르키예 법인설립을 비롯해 음식배달앱 글로보, 트렌디욜 고 등 여러 스타트업 및 온디맨드 플랫폼 기업을 설립하고 경영한 바 있다. 우아한형제들 이사회는 "김범석 대표는 신규 시장에 우버, 글로보 등 플랫폼 사업을 안착 시키면서 시장 참여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빠른 성장을 이끌어 낸 경험을 가진 경영인"이라며 "글로벌 경험과 온디멘드 플랫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주도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선임 이유를 설명했다. 김 대표는 "고객 경험 개선을 모든 것에 우선하는 가치로 놓아 배민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전 시키고 새로운 성장 사업에 도전하겠다"며 "소비자의 편익과 플랫폼 파트너들의 성장이라는 공동의 이익을 키우는 것이 배민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피터 얀 반데피트 우아한형제들 임시 대표이사 겸 딜리버리히어로 최고운영책임자(COO)에 이어 이날부터 우아한형제들 대표이사직을 수행한다. 우아한형제들은 70여개 국가에 걸친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한 딜리버리히어로그룹의 일원이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1-02 13:44:12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삼양그룹, 새로운 100년의 출발..."고기능성 사업 강화할것"

삼양그룹은 경기 판교 디스커버리센터에서 새해 맞이 행사로 '2025년 삼양 뉴 데이 커넥트'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삼양그룹에 따르면 이날 행사는 올해부터 시무식 대신 열린 것으로, 새로운 100년을 향한 출발을 맞아 임직원간 화합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기획됐다. 김윤 삼양그룹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지난 해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되어 계획했던 만큼의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첨단소재, 반도체, 퍼스널케어 등 고기능성 사업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헝가리의 생분해성 봉합사 공장이 안정화되는 등 고무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회장은 "올해도 국제 경제의 불확실성과 국내 정세의 불안정성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 임직원이 새로운 100년을 향한 성공적인 첫 해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목표를 달성한다는 각오로 임해 주시길 바란다"며 "수년간 반복해서 강조해온 3대 경영방침인 ▲고기능성 분야 중심의 글로벌 사업 전략 고도화 ▲현금 흐름 중심 경영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모든 업무에 최우선으로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실제로 삼양그룹의 기업 가치관은 '생활의 잠재력을 깨웁니다. 인류의 미래를 바꿉니다'라는 슬로건과 함께 더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제안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김 회장은 "잠재력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넓은 시야와 끈질긴 도전정신으로 우리 안에 숨겨진 잠재력을 깨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저를 비롯한 회장단과 임직원 모두가 새로운 100년 역사의 초석을 놓는다는 마음가짐으로 3대 경영방침 실천과 기업 소명 내재화를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마무리했다.

2025-01-02 13:42:40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 지혜롭게 전진할것..."성장 방향성은 신약개발"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은 '구각(舊殼)을 탈피(脫皮)하고 전열을 재정비해 글로벌로 힘차게 전진하자'는 제목의 신년사를 그룹사 전 임직원에게 전달했다. 2일 한미약품그룹에 따르면, 송 회장은 이날 사내 업무망에 올린 신년사에서 "지난 한 해 많은 성과를 이끌어 낸 임직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지혜와 결단 그리고 유연함을 상징하는 푸른 뱀처럼 창조적 혁신과 도전 정신으로 새로운 미래를 향해 힘찬 발걸음을 내디디자"고 격려했다. 한미약품그룹은 지난해 국내 사업, 해외 사업, 연구개발 등에서 모든 계열사가 성장을 지속했다. 한미약품그룹은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 7년 연속으로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라는 기록을 세우고 있다. 또 '제2의 로수젯'을 비롯해 차세대 개량·복합신약 출시도 속도감 있게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사업에서는 사상 최초로 중동 지역에 완제품 수출해 한미약품그룹은 기업 입지를 넓혔다. 이와 함께 공격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해 '에페글레나타이드'를 포함한 다수의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냈다. 이러한 신약개발 기반의 성과는 한미약품그룹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송 회장은 "2025년 새해는 한미약품그룹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해"라며 "한미약품그룹 임직원 모두의 도전과 헌신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2025-01-02 13:41:3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Demand Contraction Leads to Decline in Crude Steel Production... Steel Industry Focuses on Profitability Defense This Year

The global steel industry continues to experience a decline in cumulative crude steel production due to weakening demand. This trend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downturn in the construction sector and an overall slowdown in demand, prompting steel manufacturers to adjust production levels. The steel industry anticipates that a recovery in market conditions will remain challenging through 2025 and plans to focus on cost reduction and production adjustments to protect profitability. According to the World Steel Association (WSA) on January 1, global crude steel production in November reached 150 million tons, a 0.8% year-over-year increase. However, it marked a 3.5% month-over-month decline and a 1.4% decrease year-to-dat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China, the world’s largest steel producer, reported November production of 78.4 million tons, up 2.5% from the same month in the previous year but lower than October's 81.9 million tons. Cumulatively, China's production for the year through November stood at 930 million tons, a 2.7% year-over-year decrease. The crude steel production of Japan,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South Korea—ranked 3rd to 6th globally—continues to decline. In November, production volumes for these countries fell by 3.1%, 2.8%, 9.2%, and 3.6%,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the previous year. This downward trend in production is largely attributed to seasonal demand slowdowns during the winter off-season. Steelmakers have been adjusting production levels to address sluggish demand and growing steel inventories, taking measures such as reducing plant operating hours. The steel industry is expected to adopt "downsizing" strategies through 2025 to navigate the ongoing recession. With an unfavorable market outlook for the year ahead, companies are focusing on minimizing risks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sustain their operations and profitability. In November, POSCO ceased operations at its Pohang Wire Rod Plant No. 1 after 45 years and 9 months of operation. This marks the second shutdown at the Pohang site in 2023, following the closure of Pohang Steel Plant No. 1 in July. The decision to shut down operations was driven by a combination of factors, including the global oversupply of steel, the influx of low-cost steel imports, and aging facilities. Hyundai Steel has also reportedly adopted a plan to scale back operations at its Pohang Plant No. 2, which handles steelmaking and rolling processes. The plant will transition its workforce structure from the existing four-shift, two-team system to a two-shift, two-team system for both its steelmaking and rolling operations. This adjustment is attributed to low utilization rates caused by the downturn in the construction sector. Hyundai Steel's Pohang plant, one of South Korea's key production bases for bar and shape steel products after its main Incheon plant, primarily focuses on producing H-beams. The operational adjustments highlight the impact of weak demand and challenging market conditions on the steel industry. To make matters worse, a surge in exchange rates is adding to the challenges faced by domestic steelmakers. Most raw materials required for steel production are imported from countries like Australia and Brazil, with payments made in U.S. dollars. As the exchange rate rises, the cost of these imports increases, further straining profitability. In a report, Samjong KPMG projected that global steel demand in 2025 will be driven primarily by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India. Additionally, it noted that if domestic interest rates are lowered, a recovery in construction orders could ease inventory burdens for bar products like rebar and H-beams. However, the report also highlighted potential risks, including market saturation due to an influx of low-cost Chinese products and profitability challenges stemming from rising industrial electricity rates. These factors are expected to exacerbate the difficulties for the steel industry in the coming years. hyeon@metroseoul.co.kr

2025-01-02 13:38:5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Mega Hit Product Story] Jeong Kwan Jang's Everytime: Diversifying Formats, Flavors, and Ingredients to Lead K-Health Functional Foods

In 2012, Jeong Kwan Jang introduced "Everytime," the first stick-type red ginseng product, ushering in an era of convenient health care. It quickly became a beloved essential for busy modern individuals seeking to maintain their health amidst hectic daily lives. By offering various formats such as sticks, films, and ampoules, and expanding its product lineup with diversified flavors, ingredients, and functionalities,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ading health functional food brand in South Korea. ◆ Convenient consump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ttracting 2030 customers. "Everytime" was born in 2012 as a result of listening to consumer demands for a more convenient way to consume red ginseng. Prior to the launch of "Everytime," KGC's (Korea Ginseng Corporation) sales were primarily driven by concentrate-type products. Through extensive field research, the company identified a growing demand among younger consumers for red ginseng products that were easy to carry and consume. In response, KGC began developing a stick-type red ginseng product and named it "Everytime," signifying its convenience for consumption anytime and anywhere. "Everytime" was the first product to introduce red ginseng in stick form. "Everytime" received an enthusiastic response from the outset. Its annual sales, which stood at 9 billion KRW in 2013, surged to 48 billion KRW in 2015, surpassed 100 billion KRW in 2016, and reached 190 billion KRW in 2019. Over 12 years since its launch, it achieved cumulative sales of 1.5598 trillion KRW, solidifying its position as a mega-brand. The product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after appearing in popular dramas such as Misaeng and Descendants of the Sun. This popularity led to "Everytime" being nicknamed "Misaeng Red Ginseng" at one point, earning explosive acclaim not only among the 20s and 30s demographic but also among 40-something office workers. ◆ Expansion of a tailored lineup for TPO (Time, Place, Occasion). Building on the success of "Everytime," Jeong Kwan Jang has consistently expanded its product lineup. Keeping pace with changing trends, the brand has introduced innovative formats beyond sticks, such as films and ampoules. Additionally, it has diversified its offerings by incorporating various ingredients and flavors tailored to TPO (Time, Place, Occasion), evolving from a "convenient red ginseng" product to a synonymous name for "convenient health." Among these innovations, the "Everytime Film," a red ginseng concentrate compressed into an oral dissolving film (ODF), has emerged as a second-generation "Everytime" product. Within just 16 months of its launch, it recorded cumulative sales of 4.8 million units. Its success is attributed to its ultra-lightweight individual packaging, making it easy to carry in a wallet or pocket, and the ability to consume it without water, offering convenience during busy workdays or workouts. "Everytime" has enhanced its accessibility by entering convenience stores and duty-free shops. With the growing demand for health products in accessible locations like convenience stores, Jeong Kwan Jang introduced two variants, "Everytime Refresh" and "Everytime Max," into these outlets. These products, designed to provide energy boosts and mood refreshment with a single stick, have gained popularity among office workers. In duty-free shops, the brand caters to the tastes of international visitors by offering delicious and enjoyable "Everytime" options. These include the "Everytime Film Fresh," featuring red ginseng with an apple-mint flavor, and the recently launched "Everytime Pear" and "Everytime Hallabong (Jeju Citrus)" flavors, inspired by Korea's representative fruits. Additionally, "Everytime Soft," enriched with licorice extract and propolis, offers a smoother red ginseng experience. It has gained significant traction online, ranking high in the health category on KakaoTalk Gift, underscoring its popularity as a convenient and thoughtful gift option. ◆ Rising as a K-Health Functional Food Leader… Annual Global Sales Reach 60 Billion KRW. "Everytime" is expanding beyond the domestic market, making significant strides in the global arena. In 2023 alone, it achieved overseas sales of approximately 60 billion KRW. This success stems from analyzing local health concerns, developing tailored products, and diversifying its distribution channels across major global markets. Notably, "Everytime" became the first Korean health functional food to be featured in Sprouts, a premium U.S. supermarket chain, receiving posi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Products such as "Everytime 2000mg," "Everytime Powerful Deer Antler," and "Everytime Energy Boost" have been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U.S. market and are available across all Sprouts locations. These offerings address the interest of American consumers in energy boosting and metabolism improvement, focusing on the blood circulation and fatigue recovery benefits of red ginseng, as recognized by Korean health authorities. Additionally, the products are formulated to reduce the bitterness of red ginseng, catering to the preferences of American consumers unaccustomed to such flavors. In Greater China, "Everytime" is credited with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shifting the market focus from traditional root ginseng to convenient ginseng-based products. Historically, Korean ginseng (red ginseng) was perceived as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the elderly," but since the launch of "Everytime," its convenience and ease of consumption have gained popularity, particularly among office workers in their 30s. In Taiwan, the grapefruit-flavored "Everytime You (柚)" has received widespread praise, especially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highlighting the brand's appeal to younger, health-conscious consumers. A representative from KGC Ginseng Corporation commented, "Everytime has continuously evolved to become a beloved health essential in the daily lives of modern individuals. Moving forward, we aim to further enhance the global status of K-Health Functional Foods by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lifestyles and health needs of people worldwid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2 13:30:16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