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9월 3만2345가구 분양...전년 동월 대비 52%↑

9월 중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3만2345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월(2만1337가구) 대비 52%가량 많은 물량이다. 4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분양 예정 물량(총 가구수 30가구 미만 아파트 단지·임대아파트 단지·사전청약 등 제외)은 42개 단지, 총 3만2345가구로 조사됐다. 전월(2만9335가구)과 비교하면 10%(3010가구) 늘어난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7920가구, 지방은 1만4425가구가 공급된다. 전달과 비교하면 각각 11%(1793가구), 9%(1217가구) 많은 물량이 공급된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9122가구로 분양 예정 물량이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 5869가구 ▲인천 2929가구 순이었다. 서울에서 분양되는 단지로는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3구역아이파크자이'가 총 가구수 4321가구(분양 1641가구)로 가장 규모가 컸다. 경기도의 경우 화성시 장지동 '동탄레이크파크자연& e편한세상'이 총 세대수 1227가구(분양 1227가구)로 분양되는 단지 중 가장 규모가 컸다. 지방에서는 ▲부산 5828가구 ▲전남 2615가구 ▲광주 1872가구 ▲울산 1277가구 ▲강원 1022가구 ▲충남 791가구 ▲충북 644가구 ▲제주 376가구 순으로 분양 예정 물량이 많다. 직방 분석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 평균 1순위 청약경쟁률은 22.3대 1로, 6월 청약경쟁률(7.1대 1) 대비 3배 이상 높아졌다. 이달 분양시장 역시 8월의 분위기를 이어가며, 많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건설사들이 분양을 재개하면서 공급 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은 단지들의 청약이 예정돼 있어 청약 열기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분양한 서울 성동구 '청계 SK VIEW'는 1순위 평균 183.42대 1로 세 자릿수 이상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동대문구 '래미안그란데'(79.11대 1), 경기 광명시 '광명소하신원아침도시1'(14.18대 1), 대전 서구 '둔산자이아이파크'(68.67대 1) 등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두 자릿수 이상의 청약경쟁률을 보였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에서는 강동구를 비롯해 동대문구, 서초구, 송파구 등 도심 주거지 곳곳에서 분양이 예정돼 있다"면서 "경기 지역에서는 남양주 다산, 오산시 세교지구, 화성 동탄 등 신규 주거 조성지 위주로 물량이 많다. 지방에서는 최근 분양성적이 양호했던 광주나 강원에서 분양이 이어질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9-04 13:57:23 김대환 기자
1000억원 이상 대형공사 BIM 설계 의무화

1000억원 이상 대형공사 입찰 시 BIM 설계가 의무화된다. 국토교통부는 빌딩정보모델(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대가 기준을 마련, 적용한다고 4일 밝혔다. 현장의 설계기술인이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한 설계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의도다. BIM은 3차원(3D) 모델링 기반으로 건설 전 단계에 걸쳐 디지털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건설엔지니어링 대가 등에 관한 기준' 개정안을 마련해 5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한다. '대형공사 등의 입찰방법 심의기준' 개정에 따라 1000억원 이상 대형공사 입찰 시 BIM 설계 적용을 의무 검토하도록 했다. 그러나 관련된 대가 기준이 없어 BIM 설계 용역비에 대해 발주청별로 상이한 기준을 적용해 혼선이 있었다. 건설기술연구원, 국가철도공단과 함께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국민생활과 밀접한 교통 SOC(도로·철도)에 대해 우선 BIM 설계대가 기준을 마련한다. 이번 개정으로 인해 BIM 설계기술인이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는 BIM 설계 적용 확대로 이어져 향후 품질 향상, 시공오류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규철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이번 개정을 통해 설계기술인이 정당한 대우를 받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며 "기술인 처우 개선이 설계 품질과 안전성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9-04 13:53:47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SK에코플랜트, 싱가포르 데이터센터에 연료전지 공급

SK에코플랜트는 중국 데이터센터 개발·운영 기업 GDS가 싱가포르에 구축하는 데이터센터 전력공급시스템으로 연료전지(SOFC)를 공급·설치하는 사업을 수주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SK에코플랜트와 GDS가 지난해 8월 체결한 '연료전지 연계 데이터센터 사업개발을 위한 협약'에 따라 이뤄졌다. 싱가포르 데이터센터에 SOFC가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최초 사례다.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양사의 의지가 반영됐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GDS 데이터센터에 연료전지 공급을 비롯한 연료전지 전체 패키지 설계·조달·시공(EPC) 업무를 도맡는다. 이번에 공급되는 SOFC는 3세대 연료전지로 현존하는 연료전지 기술 중 발전효율이 가장 높다. GDS는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이 선정하는 신규 데이터센터 구축사업자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는 수소 사용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SK에코플랜트와 협력해 SOFC를 도입하는 것은 물론 향후 재생에너지를 통해 만들어진 그린수소를 직접 연료로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데이터센터, 병원 등 중소규모부터 대규모 발전용 연료전지까지 연료전지 기반 전력공급 솔루션 경험을 두루 갖춘 만큼 다양한 상업화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이라면서 "국내 기업들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을 선점하며 수출에도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9-04 11:03:59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현대엔지니어링, 고층 모듈러주택 특허 출원

현대엔지니어링이 모듈러 공법으로 고층 공동주택을 건설하기 위한 연구개발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달 25일 '고층 모듈러 건축 구조 및 접합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4일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모듈러 공법에 관한 것이다. 번들형 기둥과 내진·내화 H형강을 구조 형식으로 채택했다. 네 가지의 다양한 모듈러 골조 접합 방식을 고안한 것이 특징이다. 모듈러 공법은 주요 구조물과 건축 마감 등을 포함한 모듈러 유닛을 공장에서 선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해 조립하여 건설하는 공법을 말한다. 번들형 기둥을 활용한 건축 구조는 소형 기둥 여러 개를 천장보와 바닥보 사이 벽체 내부에 다발로 묶어 시공하는 방식을 뜻한다. 이 방식은 소형 기둥들을 벽체 내부에 위치시켜 기둥이 실내로 돌출되지 않고, 고층 건물에서도 기둥 개수를 추가하는 것으로 구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내진·내화 H형강을 활용함으로써 고층 모듈러 건축물의 내화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제철이 연구개발을 통해 내진 성능을 향상 시키고, 내화피복저감 기술을 적용한 고품질의 내진·내화 H형강을 활용할 계획이다. 설계 및 시공 조건에 따라 최적의 접합 방식을 선택해 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접합 방식을 고안한 것도 특징이다. 고장력 볼트를 사용해 모듈러 골조를 접합하는 방식 두 가지와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앵커 타입의 접합 방식 두 가지로 총 네 가지 방식이 고안됐다. 네 접합 방식 모두 실내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고소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국내 주택 수요자들이 원하는 중·대형 평수의 고층 모듈러 공동주택을 건설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 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9-04 10:55:16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후분양에 진심인 대우건설, 어디서 나오나?

최근 '철근 누락' 논란으로 아파트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황에서 후분양 아파트가 주목받고 있다. 계약금, 중도금을 받지 않고 대규모 아파트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건설사가 많지 않다. 그만큼 자금력이 있다는 의미다. 하반기에만 후반양 아파트를 4곳이나 내놓는 업체가 있다. 대우건설이다. 대우건설은 서울과 부산, 경기 광명, 인천 송도 등에서 후분양 단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달에는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일원에 '더 비치 푸르지오 써밋' 59~114㎡, 1384가구 중 391가구를 일반분양한다. 푸르지오 최고급 주거 브랜드 '푸르지오 써밋'이 수도권 외 지역에 최초로 적용되는 단지로 올해 12월 입주 예정이다. '푸르지오 써밋'의 시그니처라 할 수 있는 스카이라운지가 최고층에 들어서 광안대교와 바다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사우나, 라이브러리 카페, 키즈카페, 게스트하우스, 피트니스클럽, 필라테스, GX룸, 골프클럽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에서는 동작구 상도동에서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 59~84㎡ 771가구를 선보인다. 특별공급 370가구, 일반공급 401가구다. 발코니 확장과 시스템 에어컨 등 다양한 옵션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입주는 내년 2월이다.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는 2020년 6월 같은 동에 분양한 '상도역 롯데캐슬 파크엘'(950가구) 이후 3년 만에 분양하는 신규 단지다. 인천 서구에서는 하반기 '왕길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 59~99㎡ 1500가구를 분양한다.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에 이은 리조트도시 시즌2다. 광명에서는 광명2R구역을 재개발한 '트리우스 광명' 39~102㎡, 3344가구 중 730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대우건설·롯데건설·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으로 시공하는 후분양 단지다. 후분양 아파트란 공정률이 60~80% 이상 진행된 시점에 분양을 진행하는 단지를 말한다. 실물을 확인하고 분양을 결정할 수 있어 부실시공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빠른 입주가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4일 "후분양 단지는 주거선호도가 높은 새아파트의 동간거리, 조망권, 녹지면적 등을 직접 확인하고 분양을 받을 수 있고 실입주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며 "최근 불거진 아파트 부실시공 이슈로 후분양 아파트에 대한 청약 수요자들의 관심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9-04 09:28:25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우미건설,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 이달 분양

우미건설이 이달 중 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에서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를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는 광주시 북구 동림동 일원에 지하 6층~지상 최고 29층, 6개동, 전용면적 84·94·101㎡, 총 734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84㎡ 399가구 ▲94㎡ 50가구 ▲101㎡ 285가구다. 일부 세대에서는 운암산과 영산강을 동시에 조망할 수 있다. 단지 주변으로는 상무지구와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본촌일반산업단지, 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 1·2지구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인근에는 한울초, 서강중, 서강고 등도 위치해 아이들의 우수한 면학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 단지는 채광 및 통풍이 우수한 4Bay 설계와 오픈형 테라스(해당 세대) 등을 적용해 개방감과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100% 지하주차장 설계를 적용하고, 조경면적 약 43%로 공원형 단지를 구성해 쾌적함을 더했다. 영산강조망이 가능한 최상층 스카이라운지를 비롯해 피트니스, 실내골프연습장, 카페 Lynn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이 마련됐다. 우미건설은 효율적인 미세먼지 저감이 가능한 에어클린시스템, 무인택배시스템 등 최첨단 시스템을 도입해 주거 편의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편,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의 견본주택은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동 164-8번지에 마련되며, 이달 중 오픈 예정이다.

2023-09-03 12:04:3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SK에코플랜트 참여 캐나다 프로젝트, 최대 규모 풍력 부지 확보

SK에코플랜트가 핵심 역할을 수행 중인 대륙 간 상용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뉴지오호닉(Nujio'qonik)' 프로젝트가 20조원 규모의 3단계 사업 추진을 위한 중요한 관문을 통과했다. 뉴지오호닉 프로젝트의 주관사인 캐나다 월드에너지GH₂는 지난달 31일(한국시각) 캐나다 주 정부로부터 풍력발전을 위한 국유지 사용 승인을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 뉴지오호닉 프로젝트는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탄소 배출 없이 그린수소를 뽑아내고, 이를 다시 그린 암모니아로 전환해 유럽 등 타 대륙으로 운송하는 초대형 상용 그린수소 사업이다.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캐나다 동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Newfoundland and Labrador)주의 뉴펀들랜드 섬에는 과거 왕실이 소유했던 '크라운 랜드(Crown Land)'가 있다. 현재는 국유지로 이 중 일부에 대해 풍력발전 및 수소생산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사업자들에게 입찰을 거쳐 임대가 진행되고 있다. 풍력부지 입찰에는 총 24건의 프로젝트가 참여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사업수행 경험, 전력계통 연계 등 종합적인 평가가 이뤄졌다. 뉴지오호닉 프로젝트 등 4개 프로젝트만 최종 평가를 통과했다. 이번에 부지 사용 승인을 받은 토지 면적은 총 1077.91㎢다. 서울 전체 면적(605.24㎢)의 약 1.8배에 이른다. 이번 국유지 사용 승인으로 뉴지오호닉 프로젝트는 향후 3단계 확장까지 필요한 풍력부지를 모두 확보하게 됐다. 가능한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4GW, 원자력발전소 3~4기 분량에 육박한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5월 월드에너지GH₂와 투자 협약을 통해 뉴지오호닉 프로젝트 중 1단계 사업 지분 20%를 보유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기본설계(FEED·Front End Engineering Design)를 비롯해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기를 공급, 설치할 예정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오는 2025년 그린수소 상용화의 주역으로서 '뉴지오호닉' 프로젝트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9-03 10:06:01 김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