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시대 개막] 대선 승부처와 투표율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0일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앞에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son@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의 개표 막판까지 벌어진 치열한 접전 끝에 24만7077표, 0.73%p(포인트) 차이로 당선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20대 대통령선거는 선거인수 4419만7692명 중 3406만7853명이 투표에 참여해 전국 투표율은 77.1%로 집계됐다. 2103년 도입된 사전투표는 36.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최종 투표율은 제19대 대통령선거와 비교했을 때 0.1%p(포인트) 낮았다. 개표 결과 지역별로 살펴보면 윤 당선인은 서울,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경남 등 10곳에서 승리했고, 이 후보는 경기, 인천, 광주, 세종, 전북, 전남, 제주 등 7곳에서 윤 당선인을 앞섰다. 특히, 이번 대선에서 윤 당선인의 당선을 결정지은 곳은 서울로 분석된다. 서울은 25개 지역에서 834만6647명의 유권자 중 650만1831명이 투표에 참여해 77.9%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서울에서 윤 당선인은 종로, 동대문, 마포를 비롯해 국민의힘 텃밭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등 14곳에서 325만5747표(50.6%)를 얻어 294만4981표(45.7%)를 획득한 이 후보를 31만766표 차로 따돌리며 승리의 발판을 놓았다. 민주당은 서울을 대선 막판 최대 승부처로 꼽으며 내부 여론조사 결과 4~5% 열세인 상황에서 "서울에서 이기면 선거에서 이긴다"고 판단하고 총력전을 펼쳤다. 이에 민주당은 20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8일까지 서울 곳곳을 누비며 집중 유세를 비롯해 대규모 부동산 공급 대책 등을 알렸지만, 4.9% 차이를 뒤집지 못했다. 아울러 '제주에서 승리하면 대통령에 당선된다'는 공식도 20대 대선에서 깨졌다. 1987년 직선제로 치러진 제13대 대통령선거부터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까지 제주에서 1위를 차지한 대선 후보는 당선됐다. 13대 대선 노태우(49.77%)·14대 대선 김영삼(39.97%)·15대 대선 김대중(40.57%)·16대 대선 노무현(56.05%)·17대 대선 이명박(38.67%)·18대 대선 박근혜(50.46%)·19대 대선 문재인(45.51%) 대선 후보까지 대통령 당선인은 모두 제주에서 1위를 기록했었다. 하지만 20대 대선에서 윤 당선인의 제주지역 득표율은 17만3014표(42.69%)로 2위를 차지했지만 이 후보는 21만3130표(52.59%)로 집계돼 제주의 표심이 처음으로 빗나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