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다로웠던 수능 '탐구영역'…"대학별 반영 비율 따라 전략 수립해야"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특히 탐구영역 난도가 높았던 가운데, 사회탐구 대부분 과목에서 만점 표준점수가 70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입시전문가들은 대학별로 각기 다른 탐구 반영 방법에 따라 정시 지원 전략을 수립해 합격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26일 진학사에 따르면, 올해 정시에는 서울·경기 다수 주여 대학이 탐구영역 반영 비율을 바꿨다. 경희대(인문), 광운대(상경), 연세대(인문), 인하대(인문/자연), 중앙대(인문) 등이 탐구 반영 비율을 확대했다. 중앙대 인문대학과 사범대학은 지난해 20%였던 탐구 반영 비율을 올해 35%로 올렸다. 반면, 건국대와 한양대는 탐구 반영 비율이 낮아졌다. 건국대는 올해 언어중심과 수리중심으로 나눠 성적을 산출하는데 두 유형 모두 탐구영역의 반영 비율이 20%로 낮아지고, 한양대는 인문계열의 경우 30%에서 25%로, 자연계열의 경우 35%에서 25%로 하락한다. 탐구를 한 과목만 반영하는 대학도 있다. 서울·경기 주요 대학 중에서는 가천대, 가톨릭대, 경기대, 덕성여대, 동덕여대, 명지대, 상명대, 서울여대, 한성대 등이 탐구를 한 개 과목만 반영한다. 특히 올해는 성균관대가 다군 선발하는 모집단위에서 탐구를 하나만 반영하기 시작한다. 글로벌경영,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 반도체융합공, 에너지, 양자정보공에서 총 105명을 선발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많은 관심이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탐구 영역을 아예 반영하지 않을 수 있는 대학도 있다. 서울지역 대학 중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 문예창작학과나 서울여대, 서경대 등이다. 서울시립대의 경우 경제학부, 세무, 경영학부, 자유전공학부(인문)의 경우 탐구 반영 비율이 10%로 낮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이와 같은 모집단위는 사회탐구를 응시한 학생에게도 관심을 받을 수 있지만 과학탐구를 응시한 학생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라며 "탐구 두 과목을 모두 사회탐구에 응시한 학생에게 가산점이 있지만 3%로 낮은 편이고, 자연계열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모집단위이기 때문에 인문계열로의 교차지원을 선택하는 학생이 비교적 많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서울시립대 국어국문(15%) 등 일부학과와 세종대 창의소프트학부(10%), 숙명여대 수학과 통계학과(15%) 등 역시 탐구 반영 비율이 낮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