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Global Korea] 'Media Manipulation' National Pension on Samsung's Side?

'Media Manipulation' National Pension on Samsung's Side? As the general meeting on the 17th regarding the merging of Samsung and Cheil Fabric is about to start, the National Pension's ambiguous stance is causing confusion. According to Samsung C&T on the 13th, National Pension's share is 11.21% which has the greatest share among all share holders. And the analysis that the National Pension has agreed to the merging is dominant. But the National Pension is still remaining silent. The financial investment firms are questioning whether the National Pension can play its part wholly or not regarding the decision making. If any problems occur on their voting right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S Hedge Fund Elliot Management will become even more difficult./파고다어학원 영어회화 Chris Kim(김윤관) 강사 '언론플레이' 국민연금, 삼성편 맞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주주총회(17일)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의 어정쩡한 자세가 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13일 삼성물산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지분 11.21%를 갖고 있는 회사 최대 주주다. 국민연금이 이번 합병에 찬성의견을 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국민연금의 공식 입장은 여전히 '노코멘트'다. 금융투자업계 일각에서는 국민연금이 온전하게 삼성물산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국민연금 의결권에 문제가 생기면 미국계 헤지펀드 앨리엇 매니지먼트와의 싸움은 더 힘들어질 전망이다. [!{IMG::20150714000152.jpg::C::320::}!]

2015-07-14 17:51:07 김서이 기자
기사사진
서울여대, 2016학년도 수시대비 모의논술고사 실시

[메트로신문 복현명기자] 서울여자대학교(총장 전혜정)는 8월 1일 수험생 900명을 대상으로 2016학년도 수시모집 대비 모의논술고사를 실시한다. 이번 모의논술고사는 수험생들에게 논술고사 상황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논술고사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또 온라인 모의논술고사도 동시에 실시돼 지역적 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할 수 있고 모든 응시자들에게 채점결과를 제공한다. 오프라인 모의논술고사는 20일~23일까지 서울여대 입학홍보처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을 받아 선착순 500명을 대상으로 서울여대 50주년기념관에서 90분간 진행된다. 모의논술 문항은 실전과 동일하게 ▲제시형 문항 ▲도표형 문항 등 2문항으로 구성된다. 이어 시험 종료후 논술 해설 특강과 입시 지원전략 특강·일대일 입학상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온라인 모의논술고사는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8월 1일~3일 선착순 4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박진 입학홍보처장은 "서울여자대학교는 2016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우수자전형에서 논술성적 70%와 학생부교과성적 30%를 합산해 150명을 선발한다"며 "사고력·논리적 이해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여대 수시모집 원서접수 기간은 9월 9일~14일까지로 2016학년도 논술고사는 인문계·자연계 모두 11월 4일에 실시된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여대 입학홍보처 홈페이지(http://admission.swu.ac.kr)나 전화(02-970-5051~4, 02-970-5003~8)로 문의하면 된다.

2015-07-14 17:50:46 복현명 기자
기사사진
엠서클, 쉽고 편한 병원 홈페이지 '클릭메디' 출시

[메트로신문 최치선 기자] 병의원 IT 관련 컨설팅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종합 헬스케어 회사 ㈜엠서클(대표 유현오)이 새로운 병원 홈페이지 브랜드 '클릭메디'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김진호 엠서클 솔루션사업부장은 "날로 높아지는 병원 광고·홍보 비용을 최소화하고 손쉽게 효과적으로 병원 홍보를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병원 홈페이지 브랜드 '클릭메디'를 만들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클릭메디는 진료과별로 테마를 쇼핑하듯이 쉽고 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테마에는 디자인 스킨, 게시판, 의료 컨텐츠, 위젯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어 한번의 클릭으로 홈페이지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홈페이지 제작이 완료된 후에도 테마를 기반으로 새로운 스킨이나 위젯, 컨텐츠가 몇 번의 클릭만으로 바로 적용되는 등 업그레이드도 쉬워 고객들에게 늘 변화하고 새로워지는 병원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클릭메디는 처음부터 모바일, PC 홈페이지를 한번에 제작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모바일과 웹 버전 홈페이지를 각각 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홈페이지에 담을 컨텐츠가 풍부한 것도 클릭메디만의 장점이다. 엠서클이 보유하고 있는 1만여개의 완성도 높은 의료 컨텐츠를 저작권 걱정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홈페이지의 유용한 의료컨텐츠나 이벤트 등은 고객(환자)이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의 SNS로 바로 공유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자외선 지수, 식중독 지수, 미세먼지 지수와 같은 건강정보 위젯과 SNS, 빠른 상담 등 마케팅 관련 위젯이 제공되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추가될 예정이다. 클릭메디는 엠서클이 운영하는 건강/의료포털 1위 '하이닥'과도 긴밀하게 연계하여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5년 하반기 '하이닥'에서 오픈 예정인 전국 병원예약 서비스에 전자차트 및 클릭메디 홈페이지를 연동시킬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환자 예약 데이터를 통합하여 병원의 전자차트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진료 대기환자 정보를 홈페이지에서 볼 수도 있다. 또 하반기에 하이닥에서 병의원의 각종 이벤트 정보를 모아서 홍보하는 서비스가 런칭되면 클릭메디 홈페이지 병원들은 이를 통해 무료로 홍보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서비스는 고객(환자)과 가까운 지역의 병원 이벤트 정보를 먼저 노출하여 지역 고객 확보에 가장 효과적인 채널이 되도록 서비스할 예정이다. 김진호 엠서클 솔루션사업부장은 "의료계도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트렌디한 디자인과 레이아웃은 물론, 필요에 따라 쉽고 빠르게 홈페이지 수정 및 컨텐츠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클릭메디 홈페이지는 병원에 플러스가 되는 다양한 마케팅 연계 서비스로 고객(환자)에게 한걸음 더 다가가는 병원이 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5-07-14 17:50:15 최치선 기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IGSE교육원, 연수생 모집

[메트로신문 최치선 기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부설 IGSE교육원은 서울시교육연수원의 2015학년도 특수분야 연수기관으로 선정, 여름방학 동안 진행될 공교육 교사 대상 직무연수과정 수강생을 오는 20일까지 모집한다. Cambridge TKT(Teaching Knowledge Test) 과정에서는 랭귀지 러닝과 티칭 이론, 수업 계획 수립, 교사의 역할과 학급관리 등에 대해 학습한다. 오는 27일부터 30일까지 4일 동안 총 15시간에 걸쳐 수업이 진행되며, 15명까지 선착순으로 접수 받는다. 수강료는 6만9천원. Process Writing 과정은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라이팅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에세이 작성법, 라이팅 피드백에서 교사의 역할, 라이팅 수업 실습 등으로 구성되며, 8월 3일부터 6일까지 15시간 동안 수업을 받게 된다. 수강료는 6만9천원이고, 15명을 선착순 모집한다. 영어능력향상과정은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각 등급별 듣기, 말하기, 발음교정 수업이 실시되며, 7월 27일부터 8월 7일까지 10일 동안 30시간을 교육 받아야 한다. 각 등급별로 12명을 모집하고, 수강료는 9만2천원이다. 전국 초등, 중등, 고등학교 교원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IGSE교육원 홈페이지(http://sce.igse.ac.kr)에서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교육은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에 위치한 IGSE 랭귀지 센터에서 진행한다.

2015-07-14 17:49:51 최치선 기자
기사사진
엘리엇 “삼성물산 자사주 처분 대표권 남용…무효 정당”

[메트로신문 이홍원 기자]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이하 엘리엇)가 "삼성물산의 자기주식 처분은 일방적인 대표권 남용"이라고 주장했다. 14일 서울고등법원 민사40부(이태종 수석부장판사) 심리로 엘리엇이 KCC를 상대로 제출한 '삼성물산 자사주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 항고심 2차 심문기일이 열렸다. 앞서 엘리엇은 KCC로 넘어간 삼성물산 자사주의 의결권 행사를 막아달라며 가처분을 냈다가 패소, 이에 불복해 항고했다. 엘리엇 측 변호인은 "자사주 처분의 목적과 시기에 합리성을 찾아볼 수 없고, 이는 불공정하게 이행됐다"며 "KCC측 또한 이를 알면서도 자사의 이익을 위해 합병 승인을 목적으로 자기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무효처분은 정당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엘리엇 측은 지난 3월 30일자 연결재무상태표를 토대로 합병 후 삼성물산 총주주에게서 제일모직 총주주로 약 8조2970억원이 대가없이 이전된다는 점도 가처분 금지 근거로 내세웠다. 이에 대해 삼성물산은 "자사주 처분 이유는 합병을 성사시키기 위한 지분을 확보하고, 단기 차익을 보려는 회사로부터 다수 주주를 보호하려는 것"이라며 "가처분이 기각되더라도 엘리엇이 받는 이익은 없다. 하지만 가처분 금지가 허용되면 자사의 주가는 급락하고, 영업가치 훼손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 조차 이번 합병 발표가 없었다면 삼성물산의 주가가 7.7% 하락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며 "현재 삼성물산의 주가는 약 15% 상승해 시가총액은 총 1조2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합병 시너지를 증명하는 요소"라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삼성물산 주주총회가 예정된 오는 17일 전까지 이 사건의 항고심 결론을 낼 계획이다.

2015-07-14 17:44:21 이홍원 기자
기사사진
‘4개월짜리 계약’과 '2년 계약' 놓고 국민대vs시간강사 대립

[메트로신문 김서이 기자] "필요하다면 누군가 계란으로라도 바위를 쳐야 한다. 계란이 다 하면 이제 손에 망치를 들 날이 올지도 모른다. 망치로 바위치기는 할 만하지 않는가." 전국대학강사노동조합 소속 황효일 국민대분회장의 말이다. 14일 모교에서 23년째 시간강사로 재직 중인 황 분회장은 "2011년부터 특별한 일이 없으면 매일 오전 1시간 남짓 1인 시위를 한다"고 말했다. 2년 계약 강사임용과 4개월짜리 계약서 철폐를 위해서다. 황 분회장은 올해 1학기 휴지 기간 후 다음 학기 강의 배정을 통보받지 못했다. 통상 비정규직인 시간강사는 최대 4학기 강의 후 한 학기의 휴지 기간을 갖는다. 비정규직인 시간강사는 방학이 끝날 즈음 학교의 연락을 받고 다음 학기 수업을 결정하는 구조인 셈이다. 이런 이유로 황 분회장은 차기 강의를 받지 못하면 이를 실질적인 '해고'로 봐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올해 1학기에 그가 속한 국어 교양과 시간강사 10여명도 1학기 강의를 배정받지 못했다. 황 분회장은 지난 10일 국민대에서 기자와 만나 "최대 4학기동안 강의를 지속할 수 있고 그 후 한 학기동안 휴지 기간을 둔다. 이는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이 비정규직 보호법을 발의한 것을 토대로 2년 계약이 넘어갔을 시, 정규직으로 전환해야하는 법망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2010년도부터 근로관계를 보장해야한다는 정부의 지침에 따라 4개월짜리 계약서를 만들었지만 이는 정부의 지침을 악용한 것"이라며 "이 방식은 근로의 연속성이 없어 퇴직금 청구 권리가 박탈된다"고 꼬집었다. 반면 국민대 교무팀 관계자는 "시간강사는 학기 단위 계약이므로 한 학기가 끝나고 다음 학기 배정을 받지 못한 것일뿐 해고라고 할 수 없다"며 황 분회장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4개월짜리 계약서'와 관련해서도 "고등교육법 상 수업은 15주를 하게 돼 있다. 국민대는 16주로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한 기간에 대한 계약서를 작성해 그에 따른 강사료를 지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황 분회장은 올해 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및 부당노동행위로 학교측을 제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에 지방노동위원회 심리가 열렸고, 해고 및 해고에 따른 부당노동행위는 기각됐다. 다만 지배 개입에 따른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은 인정돼 황 분회장은 노동청에 학교 측에 대한 고소를 준비중이다.

2015-07-14 17:43:57 김서이 기자
기사사진
법무부 사면심사위, '심사'는 없고 '보좌'만

법무부 사면심사위, '심사'는 없고 '보좌'만…"영역 침범하지마!"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특별사면 방침을 밝힌 가운데 사회대통합을 빙자해 측근과 사회 지도층을 무더기 사면한 역대 정부의 행보를 답습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견제하기위한 사면심사위원회가 법무부 산하에 도입됐지만 심사 기능을 잃어 대안이 되지 못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14일 법무부는 박 대통령이 8·15 광복절 특사와 관련, 필요 범위와 대상을 검토하라고 주문함에 따라 본격적인 실무 절차에 착수했다. 구체적 범위 등 사면 기준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국가발전을 언급한만큼 경제 사범에 대한 특사가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의 특사 발언 이후 수감된 정치인과 재벌총수들이 거론되면서 특사 남용 우려가 팽배하다. 특사 남용은 역대 정부에서 비일비재했다. 이를 견제하고자 사면법이 제정 60년만인 2008년 개정돼 사면심사위가 설치됐지만 자문과 권유의 기능만 있어 실질적 역할은 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이명박 대통령은 2013년 퇴임을 2주 앞두고 측근 중심의 '셀프 사면'을 단행해 논란이 됐다. 사면위원회가 도입된 이후였지만 특사 오·남용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예를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심사는 고사하고 보좌만한 셈이다. 이 같은 사례를 막기 위해 이후 10건의 사면법 개정안이 무더기로 제출됐지만 2년 넘게 표류 중이다. 정부여당과 야당일 때 이해관계가 달라지는 정치의 속성 때문이다. 사면심사위 구성원 9명 중 4명이 법무장관 등 정부 측 인사로 구성돼 공정성을 저해한다는 지적도 같은 맥락이다. 2004년 한나라당은 당시 대표였던 박 대통령 주도로 '특사를 행할 때 국회의 의견을 구한다'는 내용의 사면법 개정안을 낸 바 있다. 그러나 현재 정부 여당의 입장인 새누리당은 유사 법안에 대해 "대통령의 고유권한"을 이유로 반대 의사를 표출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야당 대표에서 국가 통수권자로 위치가 달라지자 새누리당도 정부여당의 위치에서 입장을 달리한 것이다. 사면법 개정과 심사위의 독립이 거론되지만 매번 수포로 돌아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면법 첫 개정이 법 제정 60년 만에 이뤄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재교 변호사는 "사면심사위는 도입부터 자문과 권유의 역할만 가지고 있었다"면서 "특사는 결국 대통령의 의지에 달렸다. 심사위는 권력의 남용을 견제하고 전횡을 막자는 취지로 설치됐기 때문에 통합을 명분으로 한 무더기 사면은 오히려 사회대통합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사면심사위가 제 역할을 하려면 시민사회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구성원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연미란 기자/actor@metroseoul.co.kr

2015-07-14 17:43:49 연미란 기자
의협·의학회, 2020년말까지 국가감염병 중장기 공동 추진

[메트로신문 최치선 기자]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와 대한의학회(회장 이윤성)는 국가감염병 예방관리 선진화 중장기계획 추진(안)을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양단체는 국무총리실 산하 국가감염병예방관리선진화위원회를 구성해 의료계가 제안하는 10개 중점 추진 아젠다를 적극 논의·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양 단체는 14일 오전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의료계와 정부가 공동으로 국무총리 산하 '국가감염병예방관리 선진화위원회'를 구성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중장기 국가감염병예방관리 계획을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국가감염병 예방 관리의 새로운 프레임 마련과 지속적인 중장기 계획을 통한 대안 마련이 시급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실행만이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임을 강조했다. 중장기 계획에는 보건의료부 독립, 위기관리소통체계 구축, (가칭)감염관리기금 조성, 감염관리보험급여 정상화, 의료기관감염관리지원사업단 운영, 공중보건 위험정보 관리체계, 국립보건연구원의 역량 강화와 국립감염관리전문연구병원 설립, 보건소 중심 공공보건의료체계 정상화 등 종합적인 대책을 포함하여 5개년 단위로 수립하고 결과를 국회에 보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 단체는 보건복지부와 의료계가 감염병 예방관리 선진화를 위한 중장기계획을 수립·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대책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단체가 공동으로 마련한 중장기계획은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이 총 망라돼 있다. 즉, 위기관리소통체계, 국가감염병관리체계, 의료제공기관과 의료이용문화의 총체적인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범부처가 모두 참여하고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사업으로 추진해야 된다는 것이다. 의료계와 정부가 합동으로 국가감염병 예방관리선진화 중장기계획 준비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구성·운영해 2020년 말까지 선진국 수준으로끌어 올린다는 방침이다. 양단체는 감염병 예방관리 체계를 마련·활용을 목표로 이른바 '국가감염병 예방관리선진화 일차 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추진단은 의료계가 제안하는 주요 중점 추진 사업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5개년 연차별 중기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제시했다. 이번에 제시된 주요 중점 추진 사업으로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의료이용체계와 의료문화의 개선 ▲감염병 예방을 위한 응급실 의료체계 개선 ▲국민안전을 위한 의료계의 자율적 감염병 예방관리 활동 강화 ▲국민안전을 위한 의료기관의 감염병 예방관리 지원 사업 강화 ▲국가적 중점관리 감염성질환 예방관리 철저 ▲의료계와 공조를 통한 위기관리소통 체계의 구축 ▲보건의료부 독립과 질병관리본부를 청으로 승격 ▲감염병 예방관리 분야 첨단기술 연구, 개발 체제 확립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한 인적자원 확충 ▲국가 감염병 예방 및 관리 분야의 국제화 추진 등과 같은 10가지 아젠다를 제안했다. 의협과 의학회 두 단체는 "의료계가 국가감염병 예방관리선진화 중장기계획 추진(안)을 제안한 만큼 '국가감염병예방관리선진화위원회'를 구성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시행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제2, 제3의 메르스 사태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 위협받지 않는 감염병관리체계 강화를 비롯한 감염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의료체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5-07-14 17:29:34 최치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