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3월31일자 한줄뉴스

<정책사회> ▲ 정부가 복귀 마감 시한으로 제시한 3월 말일을 앞두고 의대생들의 대학 복귀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단, 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생들이 학기 등록 후 수업 거부 여부를 논의하기로 한 반면, 정부는 의대생들이 학기 등록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는 복귀 범주에 포함하지 않겠다고 밝히면 진통이 이어질 전망이다. ▲ 정부와 원청(대기업)의 재정지원을 받아 위험공정을 개선하는 정부 재정지원사업의 중소 사업장(사외하청) 대상 접수가 연장된다. ▲ 지난해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10곳 중 6곳은 신입 직원 채용시 헤드헌팅을 활용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채용 담당자가 확보한 인재풀에서 직원을 뽑는 경우도 10곳 중 4곳이 넘었다. ▲ 서울 열 집 중 네 집이 1인가구에 이르면서 서울시가 혼자 살면서 느끼는 일상과 자립, 연결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서울시 1인가구 수는 매년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약 163만 가구로 전체가구(414만 가구)의 39.3%를 차지하고 있다. <금융·부동산> ▲ 지난해 보험회사 대출채권 잔액이 27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회사 대출채권 잔액은 269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말과 비교해 2조7000억언 늘어난 수준이다. ▲ 금융위원회는 금융 특화 한글 말뭉치를 공급한다. 금융 특화 한글 말뭉치는 금융 분야의 다양한 전문 지식을 AI 모델이 가공·처리·분석할 수 있는 형태로 모은 대규모 한국어 언어자료로, 국내 금융권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 국제 금 가격이 3100달러를 돌파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이 초읽기에 들어선 가운데, 트럼프가 사전 협상 가능성에 선을 긋고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면서 시장 불확실성이 확산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관세에 대한 우려가 확산 중인 만큼 금값이 당분간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의 연임이 사실상 확정된 가운데 임기 2기 과제에 눈길이 쏠린다. 올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공매와 M&A(인수합병) 활성화가 예상된다. ▲ 최근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90%에 육박하면서 손익분기점(BEP)을 크게 웃돌고 있다. 주요 손해보험사는 다음달부터 자동차보험료를 최대 1% 인하할 예정이어서 보험사의 적자 부담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정치> ▲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의 공포 또는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시한이 내달 5일로 코앞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거부권 행사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대외 경제 여건 악화와 내수 부진 등의 이유로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며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경상권 산불 피해 등 민생 회복과 AI(인공지능) 등 첨단전략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의 편성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민 통합과 정국 수습에 앞장 서야 할 국회가 서로를 악마화하며 갈등과 분열을 조장해 사회가 심리적 내전 상태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본시장> ▲ 상법 개정안에 대한 정부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시한이 임박하면서 금융당국 내부 이견이 격화되고 있다. ▲ 올해 국내 증시에서 개인 투자자들은 적극적인 순매수에 나섰지만, 수익률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에 크게 뒤처졌다. ▲ 오늘부터 대체거래소(ATS)인 넥스트레이드 거래 종목이 796개로 확대한다. 대량·바스켓매매도 시작된다. ▲ 31일, 금지됐던 공매도가 5년만에 전면 재개됩니다. ▲국정 불안으로 한국 증시에서 외국인투자가들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는 휘청(원·달러 환율은 상승)하는 상황이 연일 반복되고 있다. ▲ 오픈AI가 GPT-4o 기반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공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GPT-4o 이미지 생성은 기존 DALL·E와는 전혀 다른 방식의 생성형 엔진으로, 멀티모달(Multi-Modal) 통합 모델을 기반으로 한 현존 최고 수준의 이미지 생성 AI로 평가된다. ▲ 챗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해 유명 애니메이션 지브리 필터를 씌운 사진을 만들어 공유하는 게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처럼 퍼지면서 기술 오남용, 저작권 침해 등의 AI(인공지능) 윤리 문제가 재점화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 기반의 온디바이스 AI 서비스를 발굴하고 도시 단위 실증을 추진하는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서비스 실증·확산' 사업을 본격화한다. ▲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경험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 국내 재계 총수들이 글로벌 위기 대응을 위해 촌각을 다투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미국, 중국 등 주요국 변수에 대처하는 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 삼성전자가 지난 28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웰컴 투 비스포크 인공지능(AI)' 행사에서 2025년형 '비스포크 AI' 신제품을 선보였다. 비스포크 AI는 삼성전자의 AI 기술과 '스마트싱스' 초연결 생태계를 결합해 가전제품 간 유기적인 연결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 LX하우시스가 사업 전반과 제조 부문을 따로 관장하는 각자대표 체제를 본격 가동하면서 올해 '보릿고개'를 어떻게 극복해나갈지 관심이다. ▲ 중소기업중앙회가 '대·중소 상생형 삼성 스마트공장'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유통·라이프> ▲셀트리온이 항암제 영역에 주력해 캐시카우를 확보했다. 바이오시밀러부터 항체·약물접합체(ADC) 기반의 신약까지 후속 파이프라인을 폭넓게 구축한 것이다. ▲부광약품이 미래 성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중장기적인 성과를 창출하려는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CJ그룹이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2025-03-31 06:00:57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Business tycoons take bold actions to respond to global crises… Lee Jae-yong, Chung Eui-sun, and Chey Tae-won focus o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Domestic business leaders are taking urgent actions to respond to the global crisis. Samsung Electronics Chairman Lee Jae-yong,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Chung Eui-sun, and SK Group Chairman Chey Tae-won, who is also the chairman of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re focusing on securing strategies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dealing with key factors in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China.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30th, Samsung Electronics Chairman Lee Jae-yong returned to South Korea after completing a week-long business trip to China, where he met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on the 28th, alongside global CEOs. This meeting was the first between Chairman Lee and President Xi in over 10 years, following their encounter at the Boao Forum in China in March 2015. During his trip, it is reported that Chairman Lee sought business cooperation with local electronics and electric vehicle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focus on the Chinese market is evident in its local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According to the company's business report, last year's revenue from China reached 64.9275 trillion won, a 53.9% increase (approximately 22.7 trillion won)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ch stood at 42.2007 trillion won. Although the report does not separately disclose revenue for regions in the DX (Device Experience) division, which handles mobile and consumer electronics, and the DS (Device Solutions) division, which oversees semiconductor operations, it is known that the majority of products exported to China are semiconductors. The performance of Samsung's sales and production subsidiaries in China also improved. Samsung China Semiconductor (SCS), the NAND flash production subsidiary in Xi'an, China, recorded revenue of 11.1802 trillion won and operating profit of 1.1954 trillion won last year. This represents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2023 performance, which saw revenue of 8.6938 trillion won and operating profit of 878 billion won amidst a slowdown in the industry.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Chairman Lee's visit to China, despite pressure from the Trump administratio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he Chinese market. It is likely that this trip included discussions on investments in new high-tech businesses in China." On the first day of his visit, Chairman Lee visited Xiaomi's electric vehicle factory, where he held an impromptu meeting with Chairman Lei Jun, and also made a visit to BYD's headquarters, showcasing his active approach to expanding Samsung's business in China.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Chung Eui-sun is making significant investments, focusing on the U.S. market. On the 24th (local time), Chairman Chung met with U.S. President Donald Trump in the White House Roosevelt Room and announced plans for major investments in the U.S. market. On the 26th, he attended the groundbreaking ceremony for the "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 in Ellabelle, Georgia. At the ceremony, Chairman Chung declared, "This will serve as a central hub for our global factories." This new plant marks Hyundai's latest challenge, coming 20 years after his father, Honorary Chairman Chung Mong-koo, completed the Alabama plant in the U.S. in 2005. Chairman Chung's efforts in the U.S. market are aimed at maintaining the momentum of local growth. Last year, Hyundai Motor Group achieved record sales, with Hyundai selling 911,805 units and Kia selling 796,488 units in the U.S. This marked the highest sales for both companies in their history. Hyundai and Kia surpassed 1 million cumulative sales in the U.S. in 1990 and crossed the 5 million mark in 2004. Since 2011, the companies have consistently exceeded 1 million units in annual sales, continuing their rapid growth. Hyundai Motor Group has secured a production base in Georgia with an annual capacity of 300,000 units, establishing a local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producing 1 million units. The company plans to expand this capacity to 1.2 million units through further expansions. This move is aimed at minimizing the burden of the 25% import tariff on foreign cars imposed by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SK Group Chairman and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Chairman Chey Tae-won recently voiced concerns regarding the revised Commercial Act and the issues with the 52-hour workweek system. This is the first time Chairman Chey has directly expressed his opinions on the Commercial Act amendment, which appears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local businesses. Chairman Chey Tae-won expressed, "Given the current circumstances, I question whether it is the right time to amend the Commercial Act." He continued, "South Korea is facing a 'super unknown' era, with a combination of trade issues, inflation, financial instability, AI-driven technological shocks, and domestic political problems. In such a situation, decisions within companies are inevitably delayed, and I question whether it is the right moment to change the Commercial Act." The term "unknown" refers to risks arising from uncertainties that are entirely unpredictable. Chairman Chey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failure to pass the Semiconductor Special Act, which would allow for an exemption from the 52-hour workweek system for semiconducto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He emphasized, "While I understand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52-hour workweek exception, regulating it by law is different. If you're only allowed to take a bus but need to take a taxi to reduce travel time, you have no other choice. Regulations suppress autonomy and stifle creativity, which does not help growth or solve societal problem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30 16:24:2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관세부과 이번주 분수령... 美 무역적자 10개국 중 한국 주요 타깃 되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가 이번주 발표된다. 미국의 무역적자국 10순위 안에 드는 한국이 주요 타깃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2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다. 상호관세란 특정국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상대국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무역 정책을 뜻한다. 특정국이 미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면, 미국도 해당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통상 국내 물가상승을 부추기고, 보복관세 등 무역갈등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결과적으로 소비와 무역을 모두 위축시켜 실익이 크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상호호혜적 무역과 관세'라는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며 도입을 공식화했고, 두달여 만에 실현을 앞두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상대만큼 부과하는 간단한 원리라고 주장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관세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과의 무역수지를 반영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실질 관세가 낮더라도, 대미 무역에서 흑자를 거두고 있다면 해당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규제, 관행과 같은 비관세장벽은 물론 환율까지 고려해 상호관세를 책정한다는 방침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7일(현지 시간)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가 있을 것이며, 이는 특히 미국을 착취해온 국가들이 집중될 예정"이라며 "수십년간 중산층을 황폐하게한 불공정 무역 관행을 종식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을 '해방절(Liberation Day)'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앞서 백악관은 상호관세가 4월 2일 곧바로 발효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로 실질 관세가 거의 없지만, 지난해 기준 미국의 무역적자국 8위에 해당한다. 상호관세의 주요 목표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크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의회 연설에서 "한국의 평균관세는 (우리보다) 네 배 더 높다"고 밝힌 바 있다. 사실관계가 맞지 않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과의 무역관계에 불만을 품고 있음은 분명히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일단 주목되는 것은 관세 부과 규모다.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는다면, 수출 기업들의 어려움이 더 커진다. 통상 당국이 트럼프 행정부를 찾아 면제가 어렵다면, 적어도 다른 국가들에 비해 차별적 대우를 하지는 말아달라고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상호관세가 모든 품목에 일괄적으로 적용될지, 기존에 발효된 관세들과 중복될지 등도 지켜봐야할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산업에 25% 관세를 발표했고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해서도 추후 별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라고 뉴시스가 전했다.

2025-03-30 16:15:37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 고리'지진...미안마→ 인도네시아로 이어지나

강진이 발생한 미얀마와 안다만해를 두고 마주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아체에서 30일 규모 5.2 지진이 일어났다고 신화통신 등이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기상지진청은 이날 오전 9시58분(한국시간 11시58분)께 수마트라섬 북단 아체주 주도 반다 아체 동북쪽 16km 떨어진 일대를 강타했다고 밝혔다.기상지진청은 진원 깊이가 12km라고 전했다. 앞서 기상지진청은 지진 규모가 5.4라고 발표했다가 하향 조정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오전 9시58분께 규모 5.1 지진이 반다 아체 남쪽 12km 지점에서 발생했다고 발표했다.진앙이 북위 5.434도, 동경 95.34도이며 진원 깊이가 10.0km라고 USGS는 확인했다.또한 기상지진청은 반다 아체와 베사르 지구에선 4MMI에 달하는 강력한 진동이 있었고 타켄곤에서도 3MMI, 피디에 지구와 피디에 자야 지구, 사방 2~3MMI의 흔들림이 감지됐다고 전했다. 기상지진청은 지진이 높은 파고를 일으키지 않았기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아직 이번 지진으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 피해에 관한 신고와 보고는 들어오지 않은 상황이다. 인도네시아는 지각과 화산 활동이 왕성해 '불의 고리'라고 부르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크고 작은 지진이 잦다. 앞서 수마트라섬 연안 시볼가에서 동북동쪽 50km 떨어진 곳에서 지난 18일 규모 5.5 지진이 있었다. 진원 깊이는 52.0 km이며 진앙이 북위 1.96도 동경 99.18도로 나타났다. 2월4일에는 토벨로 북쪽 140km 지점에 규모 5.9 지진이 내습했다. 진원 깊이는 115.8km이고 진앙이 북위 2.99도, 동경 128.13도였다.

2025-03-30 16:08:03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사법리스크' 떨쳐낸 이재명은 민생 챙기기… 당은 '尹 파면' 투쟁에 총력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 촉구 투쟁을 강화하는 가운데, 이재명 대표는 민생을 챙기는 모습이다. 이 대표는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 무죄 선고 이후 전국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 피해 현장을 직접 찾고 있다. 반면 박찬대 원내대표 등 지도부는 30일에도 기자간담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 파면 촉구를 외쳤다. 이날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는 지난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선고 직후 경북 안동으로 내려가, 나흘 연속 산불 피해 현장을 방문했다. 이 대표는 지난 28일에는 대전에서 열린 제10회 서해수호의날 기념식에 참석한 후 곧바로 경남 산청 산불 피해 현장으로 향했다. 주말인 29일에는 경북 영덕 산불지휘통합본부와 이재민 대피소를 방문해 이재민의 이야기를 들었다. 이같이 재판 이후 나흘 연속 지역 일정을 소화하면서, 이 대표는 자연스레 당의 '윤석열 파면 촉구' 투쟁과 거리를 두게 됐다. 당분간 이 대표는 산불 피해 현황 파악 및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해 향후에도 민생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 대표는 헌법재판소에 대한 야권이 압박이 강해지는 가운데 '달래기'에도 나섰다.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으니 몸 조심하라"고 일갈했던 모습과는 사뭇 대조되는 행보다. 당내에서 '굿캅-배드캅(Good Cop-Bad Cop·온건파-강경파)' 역할이 적절히 나눠진 모양새다. 이 대표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헌재의 대통령 탄핵 최종 선고가 늦어지면서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안타깝게도 대한민국 헌법 질서의 최종수호 기관인 헌재에 대한 불신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 대표는 "그러나 헌법재판관 여러분 또한 대한민국의 운명을 결정하는 이 중차대한 국면에서 우주의 무게만큼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불면의 밤을 보내며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고 계실 것으로 생각된다"며 빠른 재판 진행에 대한 헌재의 노고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변론 종결로부터 최종결론 선고가 많이 늦어지는 데는 필히 그 나름의 사정이 있겠지만 그 사정을 알지 못하는 국민들로서는 불안감과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도 현실"이라며 "국민 모두의 재판소, 국민 모두의 재판관께서 국민 모두를 위한 현명한 결정을 신속하게 해주시기를 요청드린다"고 호소했다. 이 대표가 이처럼 잠시 대통령 파면 촉구 투쟁에 거리를 둔 가운데, 민주당을 비롯한 야5당은 헌재의 조속한 대통령 파면 선고를 끌어내기 위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파면 촉구 투쟁의 중심에는 박찬대 원내대표와 당 지도부가 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헌법재판소가 왜 이렇게 시간을 끄는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헌법에 따른 결론은 파면밖에 없다. 윤석열 파면이 아니라 나라를 파멸로 이끌 결정을 내린다면, 신(新)을사오적으로 역사에 오명을 남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박 원내대표 및 당 지도부는 헌재의 조속한 선고를 위해 강경책도 고심 중이다. 민주당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미임명 문제 등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재탄핵'도 검토하고 있다. 실제로 박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덕수 총리가 4월1일까지 헌법수호 책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은 중대결심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당 강경파 사이에서는 헌재 선고가 내달 18일까지 이뤄지지 않을 최악의 경우도 상정하고, '내각 총탄핵'을 통해 국무회의를 무력화하고 헌법재판관 임기를 연장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이는 강경책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도 감수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의 임기가 끝나도록 대통령 파면 여부가 결정나지 않으면, 그 후에 올 후과가 더 크다는 판단에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재명 대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최소화하도록 관련 투쟁은 원내지도부에 철저히 일임된 상태로 해석할 수 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30 15:57:5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여야 초선 기싸움, 與 "탄핵 폭주 기관차 다시 가동?" VS 野 "권성동 무고죄로 고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고발을 예고한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30일 "만약 권 원내대표의 고발장이 접수된다면, 우리는 무고죄로 고발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민주당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 운영위원회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적반하장도 유분수다. 누가 누구를 고발하겠다는 것인가"라며 "집에 칼을 든 강도가 들어 피해자가 강도를 고소하겠다고 하자 강도의 공범이 오히려 피해자를 고발하겠다고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더민초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미임명할 경우 한덕수 권한대행과 국무위원 전원을 탄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은 "어제 권 원내대표의 기자간담회는 궤변과 유체이탈의 절정판이었다"며 "민주당 초선 의원들의 탄핵 예고 배후엔 이재명 대표와 김어준씨가 있다"며 "김씨의 지령을 받고, 이 대표의 승인을 받아서 발표한 내란음모라고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명백한 허위사실이자 망상이다. 우리는 이 대표의 승인도, 김어준 씨의 지령도 받지 않았다"며 "받을 이유도 없다. 공당의 원내대표가 이런 발언을 하는 것을 보니, 국민의힘이야말로 전광훈과 내란 수괴 윤석열의 지령과 승인을 받고 있다 보다"라고 지적했다. 더민초는 "행정부를 완전히 마비시키겠다는 발상 자체가 반역이라면 전세계에 생중계된 입법부인 국회를 마비시키기 위해 국회에 총을 든 계엄군을 투입한 윤석열의 실체적 행위는 무엇인가"라며 "날로 높아지는 국민들의 높은 탄핵 열기에 초조한 처지임을 이해한다. 그렇다고 이성의 끈을 놓지 말라. 공당의 역할을 포기하지 말라"고 쏘아붙였다. 국민의힘 초선의원들도 곧바로 기자회견을 열고 한덕수 권한대행에게 민주당의 정당 해산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이들은 "민주당 초선의원들은 이 대표에 대한 충성 경쟁으로 대한민국을 벼랑 끝으로 몰아넣는 어리석은 짓을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며 "스스로 '민주'라고 부르면서 헌정 질서를 무너뜨리는 민주당의 행태를 국민은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한 "30번의 줄탄핵쇼로 국정을 마비시키고 국론을 분열시켰던 민주당이 9전9패라는 참담한 결과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반성은 커녕 망국적 탄핵 폭주 기관차를 또다시 출발시키려 하고 있는 것"이라며 "한덕수 총리 탄핵안의 헌재 기각으로 이 대표 개인 범죄 방탄과 정치적 보복을 위한 탄핵의 부당함이 여실히 입증되지 않았나"라고 반문했다. 아울러 "헌재도 더 이상 시간 끌기를 중단하고,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결론을 조속히 내려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헌재 재판관들은 탄핵 인용 의견이 6명에 이르지 못하면 탄핵 청구를 기각해야 할 헌법적 '의무'가 있음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했다.

2025-03-30 15:31:49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의대생들 “제적 피해 일단 등록” …교육부 “복귀 후 수업거부, 인정 안 돼”

정부가 복귀 마감 시한으로 제시한 3월 말일을 앞두고 의대생들의 대학 복귀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단, 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생들이 학기 등록 후 수업 거부 여부를 논의하기로 한 반면, 정부는 의대생들이 학기 등록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는 복귀 범주에 포함하지 않겠다고 밝히면 진통이 이어질 전망이다. 30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생들이 최근 100% 등록한 데 이어 가톨릭대,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울산대 등 전국 의대생 대다수가 집단 휴학을 멈추고 복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생들은 줄곧 단체 휴학 의지를 비쳐 왔지만, 마감 시한이 다가오자 제적을 피하기 위해 복귀 움직임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21일이 복귀 마지노선이던 고려대, 연세대 의대 등에서 당시 절반 정도만 복귀하는 분위기였지만, 27일 서울대 의대생들이 투표를 거쳐 복귀하기로 한 이후 다른 의대생들도 동참하는 분위기다. 교육부와 각 대학은 학생 복귀 규모를 아직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지만, 서울대와 울산대는 전원이, 연세대는 1명을 제외한 전원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40개 의대생의 복귀 마지노선은 3월 말이다. 이화여대, 동국대, 영남대, 인하대도 등록 절차를 마감했으며 건국대와 경희대, 아주대, 한양대 등도 각각 30~31일 같은 절차 앞두고 있다. 교육부는 31일 전국 40개 의대의 학생 복귀 현황을 취합해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당초 교육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동결하는 조건으로 '전원 복귀'를 전제로 뒀지만, 이후 '전원 복귀' 기준을 '정상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기준'으로 바꿨다. 절반 가량 학생이 돌아오면 수업이 가능할 것이란 게 교육부 설명이다. 31일까지 등록하지 않은 의대생은 제적 처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의대생들이 휴학계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해서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복귀 의대생들은 제적을 피하기 위해 이번 학기 등록은 했지만, 수업 거부, 최소 학점 수강 신청 등의 방식으로 투쟁 방식을 정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정부는 의대생들이 수업에 정상적으로 참여해 학점을 이수하는 것까지를 '복귀'로 보기 때문에 양측의 갈등 구도는 계속될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등록 후 수업 거부 등의 투쟁은 복귀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대학 관계자도 "학생들이 등록만 하고 수업을 거부하면 학칙에 따라 유급, 제적 등의 처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3-30 15:30:46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챗GPT로 만든 지브리풍 이미지, AI 윤리 문제 재점화

오픈AI가 이달 25일(현지 시간) 챗GPT-4o에 탑재한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해 유명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의 필터를 씌운 사진을 만들어 공유하는 게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처럼 퍼지면서 기술 오남용, 저작권 침해 등의 AI(인공지능) 윤리 문제가 재점화하고 있다. 30일 미국 IT 매체 더버지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챗GPT로 지브리 그림체를 모방한 이미지를 생성해 SNS에 게시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생성형 AI 모델을 둘러싼 도덕적 문제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 더버지는 백악관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남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백악관은 지난 28일(이하 현지 시간) 공식 엑스(X·구 트위터) 계정에 손목에 수갑이 채워진 상태에서 눈물을 흘리는 여성의 이미지를 게시했다. 백악관은 "펜타닐 불법 거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추방된 외국인 범죄자가 미국에 불법으로 재입국한 뒤 필라델피아에서 체포됐다"며 "그녀는 체포될 때 울었다"는 설명을 달았다. 더버지의 테크·정책 분야 수석 에디터인 에디 로버트슨은 "백악관의 X 계정은 눈물 흘리는 구금자의 사진을 올렸고, 그 인물이 체포된 펜타닐 밀매자이자 불법 체류자라고 자랑하듯 적었다"며 "그리고 그 뒤엔 거의 확실히 AI로 생성된 것으로 보이는, 여성을 수갑 채우는 경찰관의 만화 이미지를 덧붙였다"고 밝혔다. 에디는 "백악관이 미국 내 이민자들을 강제적이고 불법적으로 추방하려는 시도를 챗GPT를 활용해 홍보하는 것에 대해 오픈AI와 샘 올트먼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챗GPT로 사랑하는 사람들의 귀여운 사진을 만드는 밈을, 백악관이 약자를 괴롭히는 수단으로 선전하는 것을 오픈AI가 묵인하는 건 매우 슬픈 일"이라며 "오픈AI는 이를 진정 '선한 AI'의 실현이라고 생각하는가"라고 꼬집었다. 지브리 밈의 그늘에는 이민자 탄압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사람들이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한다는 것 외에 예술가의 허락 없이 AI 훈련에 무단으로 사용된 창작품 문제도 남아 있다. 앞서 오픈AI는 지난 27일 공개한 GPT-4 기술 문서를 통해 예술가들의 미학을 재현하는 데 있어 보수적인 접근을 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해당 문서에 의하면 사용자가 생존 예술가의 작풍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려고 시도하려는 경우 챗GPT가 이를 거부하는 기능이 작동하지만, 보다 넓은 범위의 스튜디오 스타일의 이미지 생성은 허용된다. 시사 잡지 더애틀랜틱은 "많은 사람들이 AI를 이용해 지브리 스타일의 이미지를 만드는 동시에, GPT-4o가 처음부터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업물로 훈련됐는지 묻고 있다"며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그의 미학을 이토록 잘 모방할 수 있었는지, 미야자키의 작품으로 훈련됐다면 그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는지 등의 질문이 뒤따른다고 짚었다. 오픈AI가 예술가 개인의 화풍 재현은 막으면서도 스튜디오 스타일의 이미지 제작을 허용한 것과 관련해서는 예술가와 스튜디오를 구분하는 것은 잘못된 이분법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특히 미야자키의 경우 그의 개인적 감성이 스튜디오 지브리 영화 전체의 분위기를 정의한다는 이유에서다. 더애틀랜틱은 "'지브리 스타일'이 곧 '미야자키 스타일'이다. 만약 오픈AI가 GPT-4o는 그의 작품으로 훈련된 게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역설이 발생한다"면서 "특정 예술가의 작업물이 아닌 그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상만으로 훈련된 모델이 그 스타일을 어떻게 그렇게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겠느냐"고 꼬집었다.

2025-03-30 15:19:43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셀트리온, '항암제' 속속 본궤도..."캐시카우 상품군 확장"

셀트리온이 항암제 영역에 주력해 캐시카우를 확보했다. 바이오시밀러부터 항체·약물접합체(ADC) 기반의 신약까지 후속 파이프라인을 폭넓게 구축한 것이다. 셀트리온은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제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가 자사 핵심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베그젤마는 지난해 연매출 2212억원의 판매고를 올렸다. 1분기 35억원, 2분기 40억원, 3분기 69억원, 4분기 77억원 등으로 매분기 매출 증가세를 지속했다. 베그젤마 전체 매출에서 미국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4%에 달한다. 미국 판매 1년 만에 총 758억원의 매출을 냈다. 시장점유율 측면에서는 베그젤마는 지난해 말 미국에서 6%대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미국 베바시주맙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베그젤마는 네 번째로 출시된 후발 주자로서, 베그젤마 처방은 공공 의료보험을 중심으로 확대됐다. 공공 의료보험 규모는 미국 의료보험의 11% 수준으로, 65세 이상 고령층은 공공 의료보험인 메디케어 대상으로 분류돼 정부 지원을 받는다. 메디케어는 정부 지원을 통해 운영되고 있어 보험사 처방집 등재 여부와 상관없이 치료제 환급이 가능하다. 셀트리온은 이러한 메디케어 특성을 분석해 맞춤형 판매 전략을 펼쳤다. 셀트리온은 베그젤마가 앞서 유럽, 일본 등에서 제품 경쟁력을 입증한 만큼, 향후 미국에서도 매출 성장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베그젤마는 유럽에서도 경쟁 제품 대비 2~3년 늦은 후발 주자로 베바시주맙 시장에 진입했는데 최근 시장점유율 1위에 올랐다. 지난해 3분기 유럽에서 전분기 대비 9%포인트 증가한 29%의 점유율로 시장 선두에서 오리지널 및 경쟁 바이오시밀러 제품들과 격차를 벌렸다. 또 지난해 말 일본에서는 출시 1년 만에 베바시주맙 시장점유율 23%, 처방 2위 등을 기록했다. 베그젤마 일본 출시 1년 만의 성과다. 베그젤마 성장세가 미국,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주요 국가에서 고르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 '허쥬마' 처방 성과도 이어지고 있다. 트룩시마와 허쥬마 지난해 매출은 각각 4500억원, 1970억원이다. 각각 전년 대비 1133%, 129% 급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트룩시마는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31%, 30%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했다. 허쥬마는 일본에서 72%, 유럽에서 29%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유지했다. 이와 함께 셀트리온은 후속 항암제 바이오시밀러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CT-P51', 다발골수종 치료제 'CT-P44' 등을 개발하고 있다.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인 면역항암제 CT-P51도 글로벌 임상 3상에 진입해 있다. 표적항암제 CT-P44의 경우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로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 셀트리온이 올해부터 속도를 내고 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기반 신약개발도 항암제 시장을 정조준한다. 셀트리온은 올해 'CT-P70' 임상 1상에 착수해 환자 투여를 개시할 예정이다. CT-P70은 비소세포폐암, 대장암 등을 적응증으로 하며 암세포에서 활성화돼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세포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하는 기전을 갖췄다. 셀트리온은 방광암 신약 후보물질 CT-P71과 CT-P72, CT-P73 등 고형암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준비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기존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경우, 베그젤마가 후발주자의 불리함을 극복하고 단기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고, 올해 계획하고 있는 후속 연구개발에서도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사적으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3-30 15:19:41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서울사이버대 실용음악과, 재학생 공모전 정식 음원 출시

서울사이버대학교(총장 이은주) 실용음악과는 재학생 대상으로 실시한 '음원 발매 공모전'에서 지난해 선발된 고대비(박하늘) 학생과 신민정 학생의 앨범 '초승'과 '존재'이 음원으로 출시됐다고 30일 밝혔다. 발매된 음원은 유튜브, 멜론, 지니뮤직, FLO, 벅스, 바이브, 애플뮤직 등 각 음원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들어볼 수 있다. 실용음악과는 지난 2021년부터 매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원 발매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다. 매년 2곡의 자작곡을 선발해 재학생들에게 음원 제작의 기회를 제공하여 대중음악을 비롯한 실용음악 전 분야의 전문 음악인을 양성한다. 공모전에서 선발된 학생들은 실용음악과 교수님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문적인 편곡을 진행하고, 국내 정상급 연주자들과의 레코딩,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와의 믹싱·마스터링 과정을 거쳐 정식으로 음원을 발매하게 된다. 2021년도에 BlueBird <시계파편(feat. 우지)>, 장재혁&승찬 <P.L.M.K>이 발매된 것에 이어, 2022년도에는 김소은, 김은혜 학생으로 이뤄진 '소은자매' 팀과 최정원 학생이 선발돼 소은자매 <빛>, 정원 <잊지 못하는(feat. 정유진)>이 발매됐고, 2023년도는 천장원 학생의 <응원>과 최용주&서주원 학생의 <퇴근>이 발매됐다. 2024년도 공모전에서는 박하늘 학생과 신민정 학생이 선발돼 고대비 <초승>과 신민정 <존재>가 출시됐다. 최정한 교수(실용음악과 학과장)는 "서울사이버대 실용음악과는 매년 공모전을 통해 재학생들의 음원제작을 지원, 꿈을 펼치도록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 실용음악과는 다양한 특강 진행 및 재학생 지원을 통해 전문 음악인 양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3-30 14:56:33 이현진 기자